DOI QR코드

DOI QR Code

Prediction of Continuous Discharge and Water Quality Change for Gate Operation in Seonakdong River Experimental Catchment Using SWAT

서낙동강 시험유역에서의 SWAT 모형을 이용한 수문 운영에 따른 연속유출 및 수질변화 예측

  • 강덕호 ((주)한성개발공사.수자원부) ;
  • 김정민 (인제대학교.환경공학부) ;
  • 김태원 ((주)웹솔루스.수자원시스템본부) ;
  • 김영도 (인제대학교.환경공학부(낙동강유역환경연구센터))
  • Received : 2011.10.28
  • Accepted : 2012.01.17
  • Published : 2012.02.28

Abstract

The dominant land use at the Seonakdong river watershed is paddy and forest areas and the Seonakdong river stands still. Thus, the water pollution in the Seonakdong river is becoming more serious for the non-point source. In this study,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model was evaluated for simulation of flow and water quality behaviors in Seonakdong river. To perform the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SWAT model, the measurements of discharge and water quality were performed for the period from 2006 to 2007 at 5 gauging stations in Seonakdong river. The $R^2$ value for discharge and water quality were 0.86 and 0.70 respectively for calibration after the sensitive analysis. The $R^2$ value for discharge and water quality were 0.81 and 0.51 respectively for verification.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BOD value in the river tends to decrease after the opening of gates and the patterns of TN and TP concentrations are similar as that of BOD. The gate operators need to determine how to supply water in drought season for effective water quality improvement. This study shows that the SWAT model, which is capable of simulating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behaviors temporarily and spatially at watershed scale, could be used to get the gate operation rule for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in Seonakdong river.

서낙동강 유역의 대부분은 농경지와 임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낙동강은 상하류에 위치한 수문으로 인해 자연적인 하천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정체수역으로서 비점오염원등의 오염원으로 인해 수질이 점점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여 수문운영에 따른 서낙동강의 유량과 수질 거동을 모의하였다. SWAT 모형을 검보정하기 위하여 2006년에서 2007년까지 서낙동강 주요 지류의 5개의 수위관측소 지점에서 유량 및 수질을 측정하였다. 민감도 분석을 수행한 이후에 유량과 수질의 보정 결과로 $R^2$ 값은 각각 0.86과 0.70으로 나타났다. 검증기간에서의 $R^2$ 값은 각각 0.81과 0.51로 나타났다. 수문 운영에 따른 수질모의 결과, 수문개방시 BOD 농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TN과 TP도 BOD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단위의 시공간적인 수문 및 수질 모의가 가능한 SWAT 모형을 사용하여 서낙동강의 수질관리를 위한 수문 운영 기법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수문 운영자는 갈수기 수질향상을 위한 최적의 유입량 및 방류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경남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2007. 서낙동강 대저수문과 녹산수문 운영시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 인제대학교 낙동강유역환경연구센터 연구보고서.
  2. 김보경, 김상단, 이은태, 김형수. 2007. SWAT 모형 매개변수의 적정 범위 추정방법개발: 임하호 유입량 및 부유사량에의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7(6B): pp 661-668.
  3. 김연수, 김수전, 김형수. 2011. HEC-HMS 모형에 의한 장기유출량과 EFDC 모형을 이용한 호소내 수질특성 분석, 한국습지학회지, 13(3): pp. 707-720
  4. 김정민, 김영도(2011). SWAT-SWMM 연계모의를 이용한 서낙동강 오염부하량 산정 방안 연구, 상하수도학회지, 25(6): pp. 825-837.
  5. 김해시.2006. 낙동강수계 낙본 N 단위유역 경상남도 김해시 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6. 박민지, 신형진, 박근애, 김성준. 2010. SWAT 모형을 이용한 소양강댐 유역의 미래 수자원 영향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0(4B): pp. 337-346.
  7. 박윤식, 김종건, 박준호, 전지홍, 최동혁, 김태동, 최중대, 안재훈, 김기성, 임경재. 2007. 임하댐 유역의 유사 거동 모의를 위한 SWAT 모델의 적용성 평가.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3(4): pp. 467-473.
  8. 박종윤, 박민지, 안소라, 김성준. 2009. 기후변화가 충주댐 유역의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평가를 위한 유역 모델링.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42(10): pp. 877-889.
  9. 서낙동강관계기관합동. 2005. 서낙동강수질개선종합대책.
  10. 예령, 정세웅, 이흥수, 윤성완, 정희영 .2009. SWAT 모형을 이용한 대청댐 유역의 기후인자에 따른 유출 및 유사량 민감도 평가.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5(1): pp. 7-17.
  11. 이남주, 김영도, 권재현, 신찬기. 2007. 수문운영에 따른 서낙동강 수질변화에 관한 이차원 수치모의. 상하수도학회지, 21(1): pp. 101-112.
  12. 이종소, 김수전, 김덕길, 강나래, 김형수. 2011. SWAT 모형을 이용한 미계측 유역의 수리계수 산정. 한국습지학회지, 12(2): pp. 319-327.
  13. 정은성, 이길성, 신문주. 2006. SWAT 모형과 EMC 산정결과를 이용한 안양천의 수량 및 수질 특성.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2(4): pp. 648-657.
  14. 최대규, 신현식, 윤영삼, 김상단. 2009. SWAT 모형을 이용한 영양물질 모의 및 유달율 추정에의 적용.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5(3): pp. 375-385.
  15. 최정화, 이정주, 권현한. 2009. 조경천 유역의 도시화에 따른 유출 변화 추이 분석. 한국습지학회지. 11(3): pp. 161-169.
  16. Arnold, J. G., Williams, J. R., Srinivasan, R., and King, K. W.. 1996.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User's Manual. USDA, Agriculture Research Service, Grassland, Soil and Water Research Laboratory, Temple, TX.
  17. Arnold, J.G., Srinivasan, R., Ramanarayanan, T.S., and DiLuzio, M.. 1999. Water resources of the Texas Gulf basin. Water Science Technology, 39(3): pp. 121-133. https://doi.org/10.1016/S0273-1223(99)00044-X
  18. Hwang, J.Y., Kim, Y.D., Kwon, J.H., Park, J.H., Noh, J.W., Yi, Y.K.. 2011. "Numerical Modeling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of Seonakdong River in Korea." Desalination and Water Treatment, (in press).
  19. Ramanarayanan, T. S., Williams, J. R., Dugas, W. A., Hauck, L. M. and McFarland, A. M. S.. 1997. Using APEX to identify alternative practices for animal waste management. Minnea-polis, MN. Paper No. 97-2209
  20. Smithers, J.C. and Engel, B.A.. 1996. An initial assessment of SWAT as a hydrological modeling tool for the Midwest USA. ASAE, No. 96-2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