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남중국해의 여름철 대기-해양 상호작용과 동아시아 강수량의 상관성 분석

Analysis of Atmosphere-Ocean Interactions over South China Sea and its Relationship with Northeast Asian Precipitation Variability during Summer

  • 장혜영 (한양대학교과학기술대학해양융합과학과) ;
  • 예상욱 (한양대학교과학기술대학해양융합과학과)
  • Jang, Hye-Yeong (Department of Marine Sciences and Convergent Technology, Hanyang University, ERICA) ;
  • Yeh, Sang-Wook (Department of Marine Sciences and Convergent Technology, Hanyang University, ERICA)
  • 투고 : 2013.04.26
  • 심사 : 2013.06.16
  • 발행 : 2013.09.30

초록

대기-해양 상호작용의 과정에서 해양의 표층 수온이 대기 강제력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상태인지 해양 강제력으로 작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Wu and Kirtmman(2007)은 대기-해양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것이 대기 대순환 모형에서 표층수온이 강제력으로 작용하는 실험의 모의 결과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제시 하였다. 즉 표층 수온이 해양 강제력으로 작용하는 경우 그와 같은 실험의 모의 결과가 관측과 유사하게 나타날 수 있는 반면 대기 강제력이 해양 표층 온도를 유도하는 경우 대기 대순환 모형의 모의 결과가 관측과는 전혀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근 지구 온난화에 기인하여 표층 수온이 증가하고 있는 경향에서 이와 같은 대기-해양 상호작용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1979년부터 2011년까지 33년간 남중국해 표층 수온과 주요 대기 변수들(강수량, 바람, 잠열속, 단복사량, 구름운량, 하층기압)과의 동시, 및 지연 상관성 분석을 통해 남중국해 대기-해양 상호작용의 특성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이와 같은 특성변화와 동아시아 여름철 강수량과의 상관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남중국해 지역의 여름철 해양 표층 수온과 강수량은 1990년대 후반을 경계로 그 상관성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 지역의 대기-해양 상호작용의 특성이 1990년대 후반 뚜렷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Fig. 7). 1990년대 후반 이전 시기에서는 남중국해에서 바람-증발 피드백 과정과 구름-복사 피드백 과정을 통해 하층기압의 감소가 동풍의 증가를 동반하면서 표층 풍속의 증가를 유도하고 그와 동시에 해양에서 대기로의 잠열속이 증가하는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연직 상승운동의 증가는 구름운량의 증가와 함께 강수현상을 동반하면서 대기에서 해양으로 들어오는 단파복사의 양을 감소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해양의 표층 수온은 감소하게 된다. 즉 1990년대 후반 이전에는 이와 같은 일련의 대기-해양 상호작용 과정들을 통해 대기 변동성에 기인한 해양 변화의 특성이 강하게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그에 반해 후반기의 경우에는 표층 수온의 변화에 따른 대기 변수들의 변화는 전반기와 큰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지연 상관계수 분석은 남중국해 지역의 표층 수온의 증가는 시간 지연을 통해 잠열속량과 구름 운량 및 연직 속도의 증가와 상관성을 가지면서 단파 복사량의 감소와 함께 강수량의 증가의 상관성을 보였다. 비록 상관계수의 결과이지만 이와 같은 결과는 후반기 남중국해 표층 수온의 증가가 시간 지연을 두고 대기 변동성의 변화를 유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나아가 대기 변수들 또한 상관성이 크지는 않지만 시간 지연을 두고 표층 수온의 변화와 어느 정도 상관성을 보여 1990년대 후반 이후에는 이전 시기에 비해 남중국해의 해양 강제력에 의한 대기 변동성이 뚜렷함과 동시에 시간 지연을 두고 해양과 대기의 상호작용이 일어났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남중국해에서의 대기-해양 상호작용 특성 변화가 남중국해와 동북아시아 지역 강수량과의 상관성에 어떤 변화를 유도하는 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후반기의 남중국해의 표층수온이 동북아시아 지역의 강수량 변동성과 음의 상관성을 보이고 나아가 남중국해의 강수량 변동성이 동북아시아 강수량 변동성과 유의한 음의 상관성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상관성의 변화는 남중국해 지역의 표층수온이 해양 강제력으로 작용함으로 이 지역에서의 강수량 변동성이 동북아시아 강수량 변동성에 더욱 밀접한 상관성을 유도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구온난화 환경에서 남중국해 표층수온의 변화가 동아시아 몬순 특성에 민감한 강제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제시된 기존 연구결과(Shin et al., 2011)와 어느 정도 일치하는 것이다. 향후 해양의 표층 수온이 강제력으로 작용할 때 동북아시아 강수량 변동성뿐만 아니라 다른 대기 변동 특성에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살펴보는 것은 이 지역에서의 기후 변동 특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s in the atmosphere-ocean interactions over the South China Sea (SCS) by analyzing their variables in the period of 1979~2011 during the boreal summer (June-July-August). It is found that a simultaneou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nd precipitation over SCS during summer is significantly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late-1990s. That is, the variation of precipitation over SCS is negative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ST variations before (after) the late-1990s. Our further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 atmospheric forcing of the SST is dominant before the late-1990s accompanying with wind-evaporation feedback and cloud-radiation feedback. After the late-1990s, in contrast, the SST forcing of the atmosphere through the latent heat flux from the ocean to the atmosphere is dominant. It is found that the change in the relationship of atmosphere-ocean interactions over SCS are associated with th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with Northeast Asian summer precipitation. In particular, a simultaneou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precipitation over SCS and Northeast Asia becomes stronger during after the late-1990s than before the late-1990s. We argue that the increase of the SST forcing of the atmosphere over SCS may lead a direct relationship of precipitation variations between SCS and Northeast Asia after the late-1990s.

키워드

참고문헌

  1. Centurioni, L. R., P. N. Niiler, and D. K. Lee, 2009: Nearsurface circulation in the South China Sea during the winter monsoon. Geophys Res. Lett., 36, L06605.
  2. Chen, J. M., C. P. Chang, and T. Li, 2003: Annual cycle of the South China Sea surface temperature using the NCEP/NCAR reanalysis. J. Meteor. Soc. Japan, 81, 879-884. https://doi.org/10.2151/jmsj.81.879
  3. Chu, P. C., N. L. Edmons, and C. W. Fan, 1999: Dynamical mechanisms for the South China Sea seasonal circulation and thermohaline variabilities. J. Phys. Oceanogr., 29, 2971-2989. https://doi.org/10.1175/1520-0485(1999)029<2971:DMFTSC>2.0.CO;2
  4. Ding, Y. H., 1992: Summer monsoon rainfalls in China. J. Meteor. Soc. Japan, 70, 373-396. https://doi.org/10.2151/jmsj1965.70.1B_373
  5. Frankignoul, C., and K. Hasselmann, 1977: Stochastic climate models. II: Application to sea-surface temperature anomalies. Tellus., 29, 284-305.
  6. Frankignoul, C., Z. Czaja, and B. L'Heveder, 1998: Air-sea feedback in the North Atlantic and surface boundary conditions for ocean models. J. Climate, 11, 2310-2324. https://doi.org/10.1175/1520-0442(1998)011<2310:ASFITN>2.0.CO;2
  7. Frankignoul, C., Z. Czaja, and J. Mignot, 2002: The surface heat flux feedback. Part II: direct and indirect estimates in the ECHAM4/OPA8 coupled GCM. Climate Dyn., 21, 27-51.
  8. Hu, J. Y., H. Kawamura, H. S. Hong, and Y. Q. Qi, 2000: Areview on the currents in the South China Sea: seasonal circulation, South China Sea warm current and Kuroshio intrusion. J. Oceanogr., 56, 607-624. https://doi.org/10.1023/A:1011117531252
  9. He, Z., and R. Wu, 2012: Coupled seasonal variability in the South China Sea. J. Oceanogr., 69, 57-69.
  10. Kalnay, E., and Coauthors, 1996: The NCEP/NCAR 40- year reanalysis project. Bull. Amer. Meteor. Soc., 77, 437-471. https://doi.org/10.1175/1520-0477(1996)077<0437:TNYRP>2.0.CO;2
  11. Kanamitsu, M., W. Ebisuzaki, J. Woollen, S. K. Yang, J. J. Hnilo, M. Fiorino, and G. L. Potter, 2002: Ncep-Doe Amip-II Reanalysis (R-2), Bull. Amer. Meteor. Soc., 83, 1631-1643. https://doi.org/10.1175/BAMS-83-11-1631
  12. Lau, K. M., Y. Ding, J.-T. Wang, R. Johnson, T. Keenan, R. Cifelli, J. Gerlach, O. Thiele, T. Rickenbach, S.-C. Tsay, and P.-H. Lin, 2000: A report of the field operations and early results of the South China Sea Mon soon Experiment (SCSMEX). Bull. Amer. Meteor. Soc., 81, 1261-1270. https://doi.org/10.1175/1520-0477(2000)081<1261:AROTFO>2.3.CO;2
  13. Lestari, R. K., 2010: Mechanisms of seasonal march of Precipitation over Maritime Continent Regions: Observational and Model Studies.
  14. Lestari, R. K., M. Watanabe, and M. Kimoto, 2011: Role of airsea coupling in the interannual variability of the South China Sea summer monsoon. J. Meteor. Soc. Jpn., 89A, 283-290. https://doi.org/10.2151/jmsj.2011-A18
  15. Liu, W. T., and X. S. Xie, 1999: Spacebased observations of the seasonal changes of South Asian monsoons and oceanic responses. Geophys. Res. Lett., 26, 1473-1476. https://doi.org/10.1029/1999GL900289
  16. Liu, Q. Y., H. J. Yang, and Z. Y. Liu, 2001a: Seasonal feature of the Sverdrup circulation in the South China Sea. Prog Nat Sci., 11, 202-206.
  17. Liu, Q. Y., X. Jiang, S. P. Xie, and W. T. Liu, 2004: A gap in the Indo-Pacific warm pool over the South China Sea in boreal winter: seasonal development and interannual variability. J. Geophys. Res., 109, C07012.
  18. Liu, Z., H. Yang, and Q. Liu, 2001b: Regional dynamics of seasonal variability in the South China Sea. J. Phys. Oceanogr., 31, 272-284. https://doi.org/10.1175/1520-0485(2001)031<0272:RDOSVI>2.0.CO;2
  19. Qu, T. D., 2001: Role of ocean dynamics in determining the mean seasonal cycle of the South China Sea surface temperature. J. Geophys. Res., 106, 6943-6955. https://doi.org/10.1029/2000JC000479
  20. Shaw, P. T., and S. Y. Chao, 1994: Surface circulation in the South China Sea. Deep Sea Res. Part I., 41, 1663-1683. https://doi.org/10.1016/0967-0637(94)90067-1
  21. Shin, S.-I., 2011: Sensitivity of the northeast Asian summer monsoon to tropical sea surface temperatures. Geophys. Res. Lett., 38, L22702.
  22. Trenberth, K. E., and D. J. Shea, 2005: Relationships between precipitation and surface temperature. Geophys. Res. Lett., 32, L14703.
  23. Twigt, D. J., E. D. De Goede, E. J. O. Schrama, and H. Gerritsen, 2007: Analysis and modeling of the seasonal South China Sea temperature cycle using remote sensing. Ocean Dyn., 57, 467-484. https://doi.org/10.1007/s10236-007-0123-4
  24. Von Storch, J.-S., 2000: Signature of air-sea interactions in a coupled atmosphere-ocean GCM. J. Climate, 13, 3361-3379. https://doi.org/10.1175/1520-0442(2000)013<3361:SOASII>2.0.CO;2
  25. Wallace, J. M., C. Smith, and Q.-R. Jiang, 1990: Spatial patterns of atmosphere-ocean interaction in the northern winter. J. Climate, 3, 990-998. https://doi.org/10.1175/1520-0442(1990)003<0990:SPOAOI>2.0.CO;2
  26. Wang, D. X., Z. H. Qin, and F. X. Zhou, 1997: Study on air-sea interaction on the interannual time-scale in the South China Sea. Acta Meteorol Sinica, 55, 33-42.
  27. Wu, R., and B. Wang, 2001: Multi-stage onset of the summer monsoon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Climate Dyn., 17, 277-289. https://doi.org/10.1007/s003820000118
  28. Wu, R., 2002: Processes for the northeastward advance of the summer monsoon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J. Meteor. Soc. Jpn., 80, 67-83. https://doi.org/10.2151/jmsj.80.67
  29. Wu, R., and B. P. Kirtman, 2005: Roles of Indian and Pacific Ocean air-sea coupling in tropical atmospheric variability. Climate Dyn., 25, 155-170. https://doi.org/10.1007/s00382-005-0003-x
  30. Wu, R., B. P. Kirtman, and K. Pegion, 2006: Local air-sea relationship in observations and model simulations. J. Climate, 19, 4914-4932. https://doi.org/10.1175/JCLI3904.1
  31. Wu, R., and B. P. Kirtman, 2007: Regimes of seasonal air-sea interaction and implications for performance of forced simulations. Climate Dyn., 29, 393-410. https://doi.org/10.1007/s00382-007-0246-9
  32. Wu, R., 2010: Subseasonal variability during the South China Sea summer monsoon onset. Climate Dyn., 34, 629-642. https://doi.org/10.1007/s00382-009-0679-4
  33. Wyrtki, K., 1961: Physical oceanography of the Southeast Asian waters. Naga report, vol. 2. Scientific results of marine investigations of the South China Sea and the Gulf of Thailand 1959-1961. 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 La Jolla, 195 pp.
  34. Xie, P., and P. A. Arkin, 1997: Global precipitation: A 17- year monthly analysis based on gauge observations, satellite estimates, and numerical model outputs. Bull. Amer. Meteor. Soc., 78, 2539-2558. https://doi.org/10.1175/1520-0477(1997)078<2539:GPAYMA>2.0.CO;2
  35. Xie, S. P., C. H. Chang, Q. Xie, and D. X. Wang, 2007: Intraseasonal variability in the summer South China Sea: wind jet, cold filament, and recirculations. J. Geophys. Res., 112, C10008. https://doi.org/10.1029/2007JC004238
  36. Zhu, C. W., T. Nakazawa, and J. P. Li, 2003: The 30-60 day intraseasonal oscillation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Ocean and its impacts on summer flooding in China during 1998. Geophys. Res. Lett., 30.

피인용 문헌

  1.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urbulent Fluxes Observed at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in Autumn 2014 vol.25, pp.4, 2015, https://doi.org/10.14191/Atmos.2015.25.4.707
  2. Evidence of the observed change in the atmosphere–ocean interactions over the South China Sea during summer in a regional climate model vol.128, pp.5, 2016, https://doi.org/10.1007/s00703-016-0433-5
  3. RETRACTED ARTICL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atmosphere–ocean interactions over the South China Sea during summer vol.43, pp.7-8, 2014, https://doi.org/10.1007/s00382-014-21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