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Establishment of Deoksugung Palace, Tourist Information Services using Augmented Reality(AR) Technology

증강현실(AR) 기술을 이용한 덕수궁 관광안내서비스 구축방안 연구

  • Oh, Sung-hwa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
  • Kim, Ki-duk (Department of Digital Culture & Contents, Konkuk University)
  • 오성환 (문화재청 정보화담당관실) ;
  • 김기덕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2.12.27
  • Accepted : 2013.04.29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Sudden increase exceeding 30million in the number of smart phone users, and rising interest in the technology of augmented reality, is now trying to combine it with AR technology in other areas very much. The field of cultural heritage, which has been constructed by the Internet and 3D technology, is not unusual and this field is now rapidly changing thanks to the AR technology which can make users experience cultural heritage with high reality. The Palaces in Seoul, however, use fragmentary tools of information - lack of heritage commentators, leaflet, etc, even though the number of visitors is gradually increasing. Therefore, three-dimensional and comprehensive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service is needed with the guidance in the mobile era. This study utilizes the AR technology for building the Deoksugung Tourist Information Service Application(App.) applying the markerless-based recognition technology which is a more advanced tool than the location-based AR technology. This new AR technology can switch perceived real images such as the tablet of the King in the Palace of in the real world, patterns and pedestals into virtual world, which can reproduce the damaged cultural assets as 3D. This also composes photos of the past with the current buildings, which can increase people's interest and absorption of the contents, and helps them understand and be awar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cultural heritage effectively. In addition, convergence between IT new technology, Augmented Reality(AR) and humanities through storytelling based implementation of cultural heritage in smart phone is attempted to demonstrate that there is strength in which augmented reality technique exerts infinite creativity based on actual reality world.

최근 스마트폰 보급이 3천만 대를 넘어서고,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분야에서 증강현실 기술과의 접목이 시도되고 있다. 문화유산 분야도 그 중에 한 분야이며, 그동안 인터넷이나 3D 기술 등을 이용하여 구축되던 문화유산도 이용자가 보다 현실감 있게 체험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술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국내외 관광객들로 늘 붐비는 서울의 궁궐들은 턱없이 부족한 문화유산 해설사나 리플릿 등 단조로운 안내서비스로 일관하고 있어, 모바일 시대에 좀 더 입체적이고 종합적인 안내서비스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덕수궁 관광안내서비스 앱(App)구축에 적용하였으며, 지금까지 위치기반 증강현실 기술보다 앞서는, 비 마커(Markerless)기반 증강현실 인식기술을 실제로 덕수궁의 다양한 건축물에 적용하여 구현하였다. 현실 세계에 있는 궁궐 현판이나, 문양, 입체물인 임금님의 좌대 등 특정 이미지를 인식하여 가상의 세계로 전환(트래킹, Tracking)하여 훼손된 문화재를 3D로 재현하고, 과거의 사진과 현재 건물을 합성하여, 그 당시의 시대적인 모습을 엿볼 수 있게 해줌으로써 현실감과 몰입감을 높이고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문화재 관람이나 역사를 쉽게 이해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서 스토리텔링 기반의 문화유산 구현을 통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이라는 IT 신기술과 인문학과의 융합(Convergence)을 시도하여, 증강현실 기술이 실제 현실 세계를 기반으로 무한한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

Keywords

Cited by

  1. 지역 문화유산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 관광 콘텐츠 개발 vol.18, pp.6,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6.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