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ssessment of Response Spectrum by Dynamic Centrifuge Test for the Pile Foundation into the Sand

동적 원심모형실험에 의한 사질토에 근입된 말뚝지지 기초의 응답 스펙트럼 분석

  • 박용부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박종배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김상연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김동수 (KAIST 건설 및 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4.01.16
  • Accepted : 2014.01.29
  • Published : 2014.01.30

Abstract

Site coefficient and amplification factor of current domestic Seismic Design Code (KBC-2009) have no consideration for the domestic ground condition in which the base rock is normally placed within 30m form the surface. Accordingly, in this study dynamic centrifugal test and analysis for pile foundation into sand and upper structure were achieved. and the response spectrums of free surface and basement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Within the period 1 sec., the measured spectral acceleration of free surface and basement was bigger than the design spectral acceleration of SC and SD site. However the measured spectral acceleration of free surface and basement for the period over 1.5 sec. was smaller than the design spectral acceleration of SC site. There was no severe difference of spectral acceleration according to the upper structure, embedded depth of foundation and free surface conditions. Consequently, normal domestic apartment housing for the period range over 1.5sec. could be design more economically applying these test result.

현재 국내 내진설계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반분류 방법 및 지반 증폭계수는 기반암이 주로 30m 이내에 위치하는 일반적인 국내 지반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질토 지반에 근입된 비정형 말뚝기초(PHC 500, 중심 간격 3D, 4D, 5D)와 상부 구조물에 대한 동적 원심모형 실험을 실시하여 자유장과 기초판의 응답 스펙트럼 결과를 비교하였다. 단주기 영역인 1초 이내 주기에서는 기초판 및 지표면 자유장의 측정 스펙트럼이 SC 및 SD 지반의 표준설계스펙트럼 가속도보다 크게 나타났다. 1.5초 이상의 장주기 영역에서는 실험에서 측정된 스펙트럼 가속도가 SC 지반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가속도보다 작게 나타났고 상부구조물 유무, 지반 근입 심도, 기초 및 자유장 조건에 의한 스펙트럼 가속도 차이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실제 아파트에 해당하는 1.5초 이상의 장주기에서는 국내 지반조건을 고려하여 측정된 스펙트럼 가속도를 설계에 적용하면 표준설계스펙트럼을 적용할 때 보다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1997), 내진설계기준연구II-내진설계성능기준과 경제성 평가, 한국지진공학회.
  2. 김용석(2005), "구조물-지반 상호작용 영향을 고려한 새로운 지반계수 평가방법에 대한 제안", 2006년 한국지진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3. 대한건축학회(2005), 건축구조설계기준.
  4. 윤종구, 김동수, 방은석 (2006), "국내 지반특성에 적합한 지반분류 방법 및 설계응답스펙트럼 개선에 대한 연구 (I) - 국내 내진설계기준의 문제점 분석",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10(2):39-50. https://doi.org/10.5000/EESK.2006.10.2.039
  5. 이세현(2010), 얕은 기반암 지역의 설계 지반운동 결정을 위한 지반분류 방법의 제안 및 검증, KAIST 박사학위논문.
  6. 토지주택연구원(2013), 지반 및 말뚝의 상호거동을 고려한 건축구조물의 내진설계 합리화 연구.
  7. BSSC (1997), NEHRP Recommended Provisions for Seismic Regulations for New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Part 1-Provisions, 1997 Edition, Building Seismic Safety Council, Washington D.C.
  8. Schofield, A. N. (1980), "Cambridge geotechnical centrifuge operations", Geotechnique, 30: 227-268. https://doi.org/10.1680/geot.1980.30.3.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