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narrative features of as seen through digital culture

<이제부터 제리타임 It's Jerry Time!>을 통해 본 디지털 문화 속 웹 애니메이션의 서사적 특징

  • 김영옥 (중앙대학교 첨담영상대학교 영상학과 애니메이션이론 전공)
  • Received : 2014.02.01
  • Accepted : 2014.03.03
  • Published : 2014.03.31

Abstract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in the 21st century had made a variety of cross-cultural environment so that animations also have evolved with new features to Web-Animation. In Korea, the web-based flash animation leap forward to the animation Utopia in the early 2000's, but did not last long. The web-based animations should attract audience's attention not only with it's minimum streaming capacity but also with showing it's best qualities as well, Therefore, the stimulating narrative strategies were mandatories for web-animation in 2000's. The absence of in-depth research on media, poor revenue structure, and the emergence of mobile games and e-learning industries made the web-animation become just a one-time/one-consumable content. There were no subsequent generation of korean web-animation ever since. In this study, I want to introduce and analyze the american web animation series, (2005) as a new type of web-animation in current digital culture, In particular, I want to discuss how this web animation appeal to the audience with its narrative strategies through using some aspect of the internet culture which's differentiated from traditional media based cultures. This research could suggest diverse narrative strategies for the future web-animation with new vision. Moreover, This also allows to look at latest web-animation trends and its new experiments.

인터넷의 발달과 가속화는 다양한 상호문화를 만들어냈고 애니메이션은 이러한 환경에 발맞추어 새로운 특성을 지닌 웹애니메이션들을 탄생시켰다. 국내에서도 2000년대 초반 <마시마로>나 <졸라맨>과 같은 웹기반의 플래시 애니메이션들을 통해 창작 애니메이션의 발전과 도약을 꿈꾸었지만 열풍은 오래 지속되지 못했고, 다양한 스타일과 서사들로 발전, 확장해 나가지 못했다. 적은 용량으로 최고의 컨텐츠를 선보이며 관객들을 빠른 시간 안에 사로잡아야했던 웹기반의 애니메이션들은 자극적이고 코믹한 서사 전략으로 일관했고, 상징적 자리에 오르지 못한 영상들은 '웹'이라는 매체 자체의 특성과 이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의 부재 속에서 열악한 수익구조, 모바일 게임과 이러닝과 같은 새로운 산업의 급부상, 다양성의 부재등으로 인해 1회용 소모성 컨텐츠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게 되었다. U.C.C(User Created Content)를 비롯한 멀티미디어 시대의 소규모 영상들은 여전히 범람하고 있지만, 이렇듯 국내 웹애니메이션은 후속 세대를 충분히 양성해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웹애니메이션에 대한 다양한 사례 연구의 부재를 인식하고, 웹애니메이션의 새로운 형식과 스타일을 선보이며 2007년 국제에미상 수상으로 그 가능성을 입증한 <이제부터 제리타임!>의 서사적 특징을 웹애니메이션의 새로운 사례로써 소개,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이 웹애니메이션이 어떻게 텔레비전과 영화와 같은 기존 전통 매체들과의 차이점을 활용해 공감을 이끌어 내었는지를 서사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웹이라는 환경과 문화가 주는 독특한 특징들을 새롭게 환기시키는 동시에, 웹애니메이션의 현재를 재고하고, 나아가 여러 가지 제약으로 침체되었던 국내 웹애니메이션 제작에 있어 향 후 새로운 활기와 가능성을 모색하게 하는데 큰 보탬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충분한 연구 가치와 그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최근 웹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실험과 작품경향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데이비드 보드웰, 오영숙 역, 영화의 내레이션1, 시각과 언어, 2007
  2. 배주영, 디지털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살림, 2005.
  3. 스티븐 존슨, 류제성 역, 무한상상, 인터페이스, 현실문화연구, 2003.
  4. 시모어 채트먼, 한용환 역, 이야기와 담론, 푸른사상, 2003.
  5. 월터 J. 옹., 이기욱 외 역,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이론, 1995.
  6. 연세대학교 HUNO 프로젝트 연구단, 기술매체 시대의 텍스트와 미학,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5
  7. 이재현, 디지털 문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8. 캐롤린 핸들러 밀러, 디지털미디어 스토리텔링, 커뮤니케이션스 북스, 2009.
  9. Alexander, Bryan, The new digital storytelling : creating narratives with new media, Praeger, 2011
  10. SP타임스 인터뷰 http://www.sptimes.com/2006/04/18/Floridian/TV_s_New_Face.shtml 2013. 12.9.
  11. 시사 저널 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61956 2014.1.25.
  12. IMDB, www.imdb.com, 검색어 :It's Jerry Time, 2013.12.02.
  13.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Webisode, 2013.12.02.
  14. http://www.itsjerrytim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