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exploratory study about a influenced position of social network formed by success factors cognition of Social Enterprises with importance : two-mode data

사회적 기업 성공요인 공유 관계와 사회네트워크 영향력 위치 탐색연구 : 투 모드 데이터를 중심으로

  • 김병석 (부천대학교 e-비즈니스과) ;
  • 최재웅 (부천대학교 e-비즈니스과)
  • Received : 2014.02.18
  • Accepted : 2014.03.25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A organization of social enterprises is to achieve various goals such as private interests, the public nature, and social policy. For fulfilling these goals, we have to understand the various success factors. These success factors were shared among peoples. This study explored a position of structure of social network formed by success factors of Social Enterprises with importance. A position within social network defined a number of link connected other nodes. A posi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to individual's behaviors, opinions and thinking. We used social network analysis with two mode method for explaining feathers of structure of social network formed by success factors shared among peoples. We choose degree centrality for determining a position within social network. Centrality is a key measure in social network analysis. Results is that shared success factors are operation capital(15.15%) totally, and by Buying experience of products of Social Enterprises, Business Compliance(14.39%) and planning(12.88%), and by usage time of smart devices, Business Support(17.05%) and planning(16.10%). and the dominant success factor was not explored.

Keywords

References

  1. 강영기, "사회적 기업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관련성에 관한 소고," 안암법학, 제l. 39권, 2012, pp. 1-37.
  2. S. Sakarya, M. Boudur, O. Yildirim-Oktem, and N. Selekler-Goksen, "Social Alliances: Business and Social Enterprise Collaboration for Social Transformation,"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 65, 2012, pp. 1710-1720. https://doi.org/10.1016/j.jbusres.2012.02.012
  3. W. K. Smith, M. Gonim and M. L. Besharov, "Managing Social-Business Tensions: A Review and Research Agenda for Social Enterprise," Business Ethics Quarterly, Vol. 23, No. 3, 2013, pp. 407-442. https://doi.org/10.5840/beq201323327
  4. 박현일.김민정.강호영.이원기, "기업의 사회 적 책임수준에 따른 기업가치와 기업명성 차이," 재무와회계정보저널, 제13권, 제1호, 2013, pp. 201-219.
  5. B. Urban, "Social Entrepreneurship in South Africa: Delineating the Construct with Associated Skills," International Journal of Entrepreneurial Behaviour & Research, Vol. 14, No. 5, 2008, pp. 346-364. https://doi.org/10.1108/13552550810897696
  6. 이인재, "사회적 기업 성공요인과 사회적 기업 '컴윈', 복지동향, 제88권, 2006, pp. 9-15.
  7. 김영훈, "사회적 기업의 성공요인 분석 : 유형별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8. 정선희, 이익을 만들고 행복을 나누는 사회적 기업, 다우출판사, 2003.
  9. J. P. Scott, Social Network Analysis: A Handbook, SAGE Publications, 2000.
  10. 김용학, 사회연결망분석, 전영사, 2007.
  11. 김병석, "온라인 댓글 토론 구조의 사회네트워크 분석,"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2. M. Campbell, "The Third System Employment and Local Development Volume Synthesis Report," Policy Research Institute, 1999.
  13. C. Borzaga and A. Santuari, "Italy: Form Traditional Co-operatives to Innovative Social Enterprise," The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London, Routledge, 2001, pp. 166-181.
  14. 유효선.김생수, "사회적 기업의 개념과 유형에 관한 고찰," 한국행정과 정책연구, 제10권, 제1호, 2012, pp. 23-45.
  15. 최은정.김수현.최라이, 사회적 기업과 사회적 기업의 제품에 대한 소비자 연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소비자 문화, 제16권, 제1호, 2013, pp. 137-160.
  16. 곽선화, "사회적기업의 성장에 관한 양적 분석," 대한경영정보학회, 제32권, 제1호, 2013, pp. 289-309.
  17. 최석현.조창현.정무권, "사회적기업의 지속가 능성을 위한 지역사회자본 형성전략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연결망 재구축과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9권, 제1호, 2012, pp. 125-151.
  18. 장영란.홍정화.차진희, "사회적기업의 성과 및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회계정보연구, 제30권, 제2호, 2012, pp. 175-207.
  19. 한만용.강수진.성중안.최재웅,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내부 경영 활동 관계에 관한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9권, 제4호, 2013, pp. 267-279.
  20. 유한나.민동권, "다차원척도법(MDS)을 이용한 사회적 기업가 속성 차원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사회적 기업 전문가의 관점을 중심으로," 기업가 정신과 벤처연구, 제15권, 제3호, 2012, pp25-42.
  21. 박명선.강상목, "계층분석기법(AHP)을 이용한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 중요도 분석,"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제15권, 제3호, 2012, pp. 69-88.
  22. 안영규.박의룡, "한국형 사회적기업의 주요 성공요인에 대한 차이분석," 국제경영리뷰, 제15권, 제3호, 2011, pp. 25-43.
  23. S. Moshe and M. Lerner, "Gauging the Success of Social Ventures Initiated by Individual Social Entrepreneurs," Journal of World Business, Vol. 41, 2006, pp. 6-20. https://doi.org/10.1016/j.jwb.2005.09.004
  24. 김용학, 사회연결망 분석의 이론틀: 구조와 행위의 연결을 중심으로, 학국사회학, 제21권, 제1호, 1987, pp. 1031-1068.
  25. J. Koskinen and C. Edling, "Modeling the Evolution of Bipartite Network-Peer Referral in Interlocking Directorates," Vol. 34, 2012, pp. 309-322.
  26. P. J. Carrington, J. Scott and S. Wasserman, Model and Methods In Social Network Analysis, Cambridge, 2008.
  27. S. Wasserman and D. Steinley, "Sensitivity Analysis of Social Networks Data and Methods: Some Preliminary Results in Dynamic Social Networks Modeling and Analysis," Workshop Summary and Paper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02.
  28. A. Baron and D. Markman, "Beyond Social Capital: How Social Skills can Enhance Entrepreneur's Success,"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Vol. 14, 2000, pp. 106-116.
  29. 손동원, 사회 네트워크 분석, 경문사, 2002.
  30. L. C. Freeman, "Q-Analysis and the structure of friendship networks," International Journal Man-Machine Studies, Vol12, 1980, pp. 367-378. https://doi.org/10.1016/S0020-7373(80)80021-6
  31. 황용석.양승찬, "인터넷 토론 활성화를 위한 '상호 작용성' 개념탐구," 언론과 사회, 제11권, 제2 호, 2003, pp. 111-139.
  32. A. L. Jepsen, "Information Search in Virtual Communities: Is it Replacing Use of Off-line Communication?," Journal of Marketing Communications, Vol. 12, No. 4, 2006, pp. 247-261. https://doi.org/10.1080/13527260600694308
  33. 내가영, "모바일 SNS이용자들의 이용동기와 만족감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4. 박상민.박태형.이경호, "SNS 정보확산력 산출에 관한 연구 - 트위터를 중심으로 -,"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8권, 제3호, 2012, pp. 157-169.
  35. 이정훈, "SNS를 활용한 홍보효과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6. 오승석, 트위터와 페이스북의 이용동기와 충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7. D. W. Straub, "Validating Instruments in MIS Research," MIS Quarterly, Vol. 13, No. 2, 1989, pp. 147-169. https://doi.org/10.2307/248922
  38. R. K. Yin,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SAGE Publications, 1994.
  39. S. H. Park, Analysis of the Process of Group Decision Making with Synchronous Text Communication Medium, Ph. 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2002.
  40. 장덕진, "연결망과 사회이론," 사회와 이론, 2004, pp. 1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