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easibility Analysis of Urban Public Rental Housing in Korea

도심형 공공임대주택의 사업타당성 분석

  • 김옥연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김용태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김용순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5.08.03
  • Accepted : 2015.08.29
  • Published : 2015.08.30

Abstract

Korean government has launched a new public rental housing policy for younger generation suffering from instable housing conditions in CBD area.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financial feasibility of urban public rental housing projects, based on its cash flows. Urban rental housing projects should find out the way to reduce costs and to secure cheap land, because of the high land price in CBD area and complex relationship of legal rights. Project types are categorized by the land acquisition method and district characteristics. For 10 sample projects, financial feasibility was analyzed. Cash flows were calculated on the design plan and 16 scenarios were made by combining 4 important variables. The variables are increase rate of land price, increase rate of monthly rents, ratio of public and market rents, and the interest rate of National Housing Fu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Government land rent-type can reduce initial costs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buy land. However, total NPV is lowered at the time of liquidation due to the land return. Private land acquisition-type require more initial costs. But the NPV at liquidation time increases with land disposal. To improve financial feasibility, acquisition-type should be preferred in high land-price area and rent-type should be preferred in low land-price area. Among influencing variables, the rate of increase in land price and the ratio of public and market rents turned out to be the most important. Although the ratio of public and market rents can be controllable, high ratio will cause the burden of tenants. Therefore, interest rate adjustment of National Housing Fund is more desirable.

이 연구의 목적은 도심 내 젊은 주거취약계층을 위한 도심형 공공임대주택의 사업타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도심형 공공임대주택은 높은 지가와 복잡한 권리관계로 인해 사업추진에 어려움이 많으므로 저렴한 택지 확보와 함께 사업비 절감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택지확보 및 사업방식을 고려하여 사업유형을 구분하였고, 10개 사례지역에 대해 사업타당성을 분석하였다. 각 사례지역의 설계안에 기초하여 현금지출과 수입을 산출하였고, 지가상승률, 임대료시세반영률, 임대료상승률, 기금이자율 등 기준정보를 조합한 16개 시나리오에 대하여 현금흐름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공유지 임차형은 사업초기 토지매입비 절감은 가능하나, 청산시점에서 토지를 정부에 귀속시켜야 하므로 전체 NVP가 낮아진다. 사유지 매입형은 토지를 매입하므로 초기 사업비는 많이 소요되나, 청산단계에서 토지 처분으로 인해 NPV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현상을 볼 때 지가가 낮은 지역에서는 임차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지가가 높은 지역에서는 매입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사업성 개선에 유리하다. 사업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지가상승률과 임대료 시세반영률이며, 임대료 시세반영률은 조정 가능한 변수이다. 그러나 이를 상승시키면 세입자 부담이 증가하므로 기금이자율 조정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교통부(2014), 행복주택 개발모델 창출연구.
  2. 국토교통부(2013), 도시재생과 행복주택의 연계발전 간담회 발표자료.
  3. 국토교통부(2013), 4.1, 8.28 부동산대책 후속조치 추진(보도자료).
  4. 국토교통부(2013), 제2차 장기 주택종합계획 수립 연구.
  5. 국토교통부(2013), 2단계 주거환경개선사업 성과평가 및 개선 방안 연구.
  6. 국토교통부(2012), 2011년 주거실태조사.
  7. 기획재정부(2013), 2013-2017 국가재정운용계획 SOC(주택) 분야 보고서.
  8. 김동윤(2005), "장기임대주택사업의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제44권.
  9. 김명직, 장국영(2003), 금융시계열분석, 경문사.
  10. 김주진 등(2011), "주거환경개선사업의 관리처분방식 적용 가능성 진단과 제도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70: 41-59.
  11. 박환용(2007), "민간임대주택의 수요 및 수익성 분석", 경기논단, 제9권.
  12. 윤정중 등(2013), "행복주택건설의 의미와 해외사례 및 시사점", 도시정보, 376.
  13. 이현섭, 박형섭(2006), "민간의 임대주택 사업타당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41권.
  14. 주택도시연구원(2007), 주거환경개선사업에서 입체환지 방식의 타당성 분석.
  15. 하성규, 권성문(2006), "민간임대주택 수익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18권.
  16. KB국민은행,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각월.
  17. 법제처 홈페이지, http://www.moleg.go.kr.
  18. 온나라부동산정보통합포털, http://www.onnara.go.kr.
  19. 행복주택 홈페이지, http://www.molit.go.kr/happyho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