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ducation Program Using Presidential Archives Based on the NIE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한 NIE 기반 교육프로그램 개발

  • 이능금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 김용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
  • 김건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 Received : 2015.05.15
  • Accepted : 2015.06.12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of the presidential archives based on the NIE for social studies. Especially,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develop information processing capacity through newspapers reflecting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for users of presidential archives. With the process,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users to develop information literacy, which has become a necessity in information society. Through the education program students may have various experiences, wider perspective and diversity with self-directed learning. To perform the goal, this study proposed an education program using presidential archives based on NIE and an applied case.

본 연구에서는 NIE(Newspaper In Education)를 기반으로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하여, 사회과 교수 및 학습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매일 급변하는 현실을 반영하는 신문과 상징적이고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대통령기록물을 접목하여 교과서와 현실사회를 연계하고 정보화 사회에 필수적인 정보처리 능력 함양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는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스스로 학습 과정을 구성해 나가는 자기 주도적 학습으로, 학생들은 더욱 풍부한 시각과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문을 활용하는 교육인 NIE를 기반으로 하는 대통령기록물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실제응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기록원. 2007. 대통령기록관 설치.운영 방안연구. 대전: 국가기록원.(National Archives of Korea. 2007. A study on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presidential archives.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2. 김건, 김태영, 배삼열, 이은진, 김용. 2013.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한 다중지능이론기반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99-125.(Kim, Geon, Tae-Young Kim, Sam-Yeol Bae, Eun-Jin Lee, and Yong Kim.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Using Presidential Archives Based on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3(3): 99-125.) https://doi.org/10.14404/JKSARM.2013.13.3.099
  3. 김경미. 2003. 사회과교과목 수업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NIE를 활용한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Kim, Kyeong mi. 2003. A Study on Improving Teaching Method in Social Study Subject: Based on NIE Study. M.A. thesis. Myeonggi University of Education.)
  4. 김경은. 2012. NIE 경험과 중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교과교육학연구, 16(3): 771-797.(Kim, Kyeong Eun. 2012.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NIE up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Curriculum Education Research, 16(3): 771-797.)
  5. 김솔. 2013. 대통령기록물 온라인 콘텐츠의 초등교육 활용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4): 59-79.(Kim, Sol. 2013. "Application of Online Contents of Presidential Archives in Elementary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3(4): 59-79.)
  6. 교육부. 2012. 사회6-2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서울: 천재교육.(Ministry of Education. 2012. social studies textbooks 6-2 Elementary School Teacher instructions. Seoul: Chunjae.)
  7. 대통령기록관. 2012. 대통령기록물 주제별가이드. 성남: 대통령기록관.(Presidential Archives. 2012. Subject guide of presidential records. Seongnam: Presidential Archives.)
  8. 박성희. 2010. 대통령기록관 교육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Park, Sung Hee. 2010.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of Education Program in Presidential Archives.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Hannam University.)
  9. 설규주, 김명정, 이봉민. 2011. NIE실태 및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14(1): 71-94.(Seol, Gyu Ju, Myeong Jeong Kim, and Bong Min Lee. 2011. "A Study on Teachers' Understanding of Actual State of NIE and NIE Curriculum." The Korean Association of Political Science & Communication, 14(1): 71-94.)
  10. 송인주. 1999. 초등사회과 교육에 있어서 NIE방법에 관한 연구. 역사교육논집, 23: 475-504.(Song, In Ju. 1999. "The Study on the NIE method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History Education Review, 23: 475-504.)
  11. 이준호. 2011. NIE가 초등사회과 정치교육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Lee, jun Ho. 2011. The Effects of NIE Program Academic Achievement of Polit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2. 이지은. 2011. 신문을 활용한 사회과 수업의 설계.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Lee, Ji Eun. 2011. The design of the social studies class using the newspaper.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13. 이진석 외. 2014. 중학교사회2. 서울: 지학사.(Lee, Jin Seok et al. 2014.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Seoul: Jihak.)
  14. 이진영. 2012. 기록자원에 기반한 대통령기록관의 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Lee, Jin Young. 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Model for Presidential Libraries Based on Archival Resources.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15. 이현혜. 2012. 대통령기록관 교육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Lee, Hyun Hye. 2012. A Study on the Activation Ways of Education Program in The Presidential Archives.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6. 임석회, 홍현옥. 2005. 신문자료를 활용한 중학교 사회과 교수 학습(NIE) 방법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 1(1): 91-117.(Im, Seok Hwi and Hyeon Ok Hong. 2005. "NIE(Newspaper in Education) Programmes for Social Studies Course and Their Effects on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in the Middle School."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1(1): 91-117.)
  17. 정광훈, 남영준. 2012. 주제 및 기능을 고려한 대통령 기록물분류체계 제안. 제19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61-165.(Jung, Kwang Hun and Young Joon Nam. 2012.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Presidential Records according to Subjects and Functions." Proceedings of the 19th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161-165.)
  18. 정광훈, 남영준. 2013. 우리나라 대통령기록물의 분류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1): 419-448.(Jung, Kwang Hun and Young Joon Nam. 2013. "Study on the Classification Guideline for the Korean Presidential Reco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1): 419-448.) https://doi.org/10.4275/KSLIS.2013.47.1.419
  19. 정문성. 2003. 사회과 주제 중심 통합 학습에서 NIE의 활용방안. 사회과교육, 42(3): 5-21.(Jeong, Mun Sung. 2003. "Using the Newspapers in the Theme-centered Integrated Learning in the Social Studies." Social Studies Education, 42(3): 5-21.)
  20. 정문성, 김양은, 은지용, 최상희. 2010. NIE가 학업성취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 한국신문협회.(Jeong, Mun Sung, Yang Eun Kim, Ji Yong Eun, and Sang Hee Choi. 2010. NI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Seoul: Korean Association of Newspapers.)
  21. 조민지. 2006. 대통령 기록관의 서비스 프로그램 사례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2): 157-184.(Jo, Min Ji. 2006. "A Case Study on the Service Programs at the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6(2): 157-184.)
  22. 최상희. 2003. NIE 이해와 활용.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Choi, Sang Hee. 2003. NIE Understanding and using. Seoul: Communication Books.)
  23. 최상희. 2010. 사회과 학습자료로써 신문의 효과적인 재구성 방안 연구. 교육문화연구, 16(1): 197-224.(Choi, Sang Hee. 2010. "A Study on the Effective Reorganization of Newspapers as a Learning Material in the Social Studies."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16(1): 197-224.)
  24. 한국신문협회. 2009. NIE수업이 학업성취도에 향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 한국신문협회.(Korean Association of Newspapers. 2009. NI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Seoul: Korean Association of Newspapers.)
  25. 황유선, 박진우, 김위근. 2011. NIE와 교육효과.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Hwang, Yoo Seon, Jin Woo Park, and Wi Geun Kim. 2011. NIE and Education Effect.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26.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online]. [cited 2014.5.8]. .
  27. 국가기록원 [online]. [cited 2014.5.8]. .
  28. 대통령기록관 [online]. [cited 2014.4.9]. .
  29. 조선일보NIE [online]. [cited 2014.5.8]. .
  30. 한국신문협회 [online]. [cited 2014.7.18]. .
  31. 한국신문협회NIE커뮤니티 [online]. [cited 2014.5.8]. .
  32. 한국NIE협회 [online]. [cited 2014.5.8]. .
  33.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2-14호 [별책 7]
  34.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2-31호 [별책 1]

Cited by

  1. 자유학기제에 적용가능한 대통령기록물 활용 교육프로그램 개발 vol.51,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7.51.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