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 of Fashion Ads based on the Theory of Gestalt Psychology

게슈탈트 이론에 의한 패션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6.04.11
  • Accepted : 2016.06.27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Gestalt psychology is a theory of psychology to organize separate stimuli perceived by people's vision to incorporate them into significant types, and this also is applied in terms of the brand awareness of consumers. This study considered which influence the Gestalt psychology theories have upon the fashion consumers' information processing in fashion advertise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rinciples of the totality and the perceptual organization in the Gestalt psychology are allowing fashion consumers to perceive information through advertisement and to be capable of understanding it a little more easily and clearly in the process. As for the principle of totality, an integrated Gestalt was formed by combining the stimulant elements of fashion ads and the brand schema of consumers. The principles of figure and background that were part of the perceptual organization theory enabled the consumers to pay attention to, choose and focus on some of the objects of perception in an easier and faster way. The principle of perceptual grouping was used to draw attention from the consumers by simplifying the objects of perception and then by combining them or making them look complete. Therefore the more advanced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and laws of Gestalt psychology is expected to make fashion consumers' way of looking at ads more well balanced and positive in a more efficient and convincing manner.

Keywords

References

  1. 김상률, 이정. (2009). 브랜드개발 전략론. 서울: 법문사.
  2. 김완석.(2008). 광고심리학. 서울: 학지사.
  3. 박명희, 박명숙, 제미경, 박미혜, 정주원, 최경숙. (2013). 가치소비시대의 소비자 의사결정. 서울: 교문사.
  4. 박송애. (2002). 패션 브랜드 분류 기준에 관한 소비 자 인식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4(3), 33-42.
  5. 박송애. (2009). 소비자 관점의 패션 브랜드 분류 기 준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1(3), 87-99.
  6. 지상현. (2002). 시각 예술과 디자인의 심리학. 서울: 민음사.
  7. 두산동아. (2013). 동아 새국어사전(5판 9쇄). 서울: 두산동아.
  8. 안은미. (2013). 소비자 심리학. 서울: 박학사.
  9. 양윤. (2014). 소비자 심리학. 서울: 학지사.
  10. 우석봉. (2010). 브랜드 심리학. 서울: 학지사.
  11. 이현우. (2008). 트렌드가 된 브랜드. 서울: 한국방송광고공사.
  12. 최선형, 박혜선, 손미영, 전양진. (2011). 21세기 패션마케팅. 서울: 창지사.
  13. 황혜정. (1995). 게슈탈트관점에서의 문제해결과 통찰력. 한국교육개발원, 통권 95호, 93-99
  14. 홍병숙. (2007). 패션상품과 소비자행동. 서울: 수학사.
  15. 한국교육심리학회. (2000). 교육심리학용어사전. 서울: 학지사.
  16. Helen Vaid. (2006). 강력한 브랜드를 디자인하는 방법(최원주 역). 한올출판사 (원저 2003 출판)
  17. Howard H. Kendler. (2000). 심리학사 (이승복 역). 서울: 학문사. (원저 1987 출판)
  18. Rober H. Mckim. (1995). 시각적 사고 : 사고의 혁명 (김이환 역). 서울: 평민사. (원저 1989 출판)
  19. Robert L. Solso. (2003). 시각 심리학 (신현정, 유상욱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저 1996 출판)
  20. Rudolf Arnheim. (2005). 예술심리학. (김춘일 역)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원저 1966출판)
  21. Rudolf Arnheim. (2006). 미술과 시지각 (김춘일 역) 서울: 미진사. (원저 1974 출판)
  22. Rudolf Arnheim. (2006). 시각적 사고. (김정오 역)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원저 1969출판)
  23. A STELLAR HOLIDAY 에르메스. (2014. 12. 18). 조선일보. B. 01.
  24. 폭스바겐 광고. 자료검색일 2015. 10. 3.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m_maria&logNo=220316167528
  25. 15 F/W 파리 컬렉션. 자료검색일 2015. 12. 5. 자료출처 http://www.stylechosun.co.kr/online/?p=47316
  26. 15 F/W LA 런웨이 익스클루시브 컬렉션. 자료검색일 2015. 12. 11. 자료출처 https://kr.burberry.com/london-in-los-angeles
  27. 11 UC of PHOTOGRAPHY CAMPAIGN. 자료검색일 2015. 12. 27. 자료출처 http://www.benettonkorea.co.kr/shop5/shop/board/list.php?&id=campaign
  28. 16 S/S 카탈로그. 자료검색일 2016. 1. 2. 자료출처 http://www.gucci.com/kr/worldofgucci/mosaic/this_season/catalogs
  29. 16 S/S 카탈로그; 하나의 행운 4가지 해석. 자료검색일 2016. 1. 7. 자료출처 http://www.chanel.com/en_GB/fragrance-beauty/fragrance/
  30. 16 S/S 컬렉션. 자료검색일 2016. 1. 7. 자료출처 http://kr.louisvuitton.com/kor-kr/stories/eyeline,
  31. Prada SS15 아이 웨어 프로젝트. 자료검색일 2016. 1. 9. 자료출처 http://www.prada.com/ko_kr/eyewear/special-projects.html
  32. Prada SS15 Swing Manga Contest. 자료검색일 2016. 1. 9. 자료출처 http://www.prada.com/ko_kr/eyewear/special-projects.html
  33. 06 S/S 캠페인. 자료검색일 2016. 1. 9. 자료출처 https://kr.burberry.com/our-history/#/heritage/heritage
  34. 07 S/S 캠페인. 자료검색일 2016. 1. 10. 자료출처 https://kr.burberry.com/our-history/#/heritage/heritage
  35. 티파니스토리: 레거시(티파니 블루박스). 자료검색일 2016. 1. 10. 자료출처 https://www.youtube.com/TiffanyAndCo
  36. 샤넬 14 F/W 파리 컬렉션. 자료검색일 2016. 1. 12. 자료 출처 http://blog.naver.com/fashionncom/22007433916,
  37. 13 S/S 파리-에딘버러 공방 컬렉션. 자료검색일 2016. 1. 12.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xmooix&logNo=30177272018
  38. 한국갤럽 (한국인이 좋아하는 명품) 브랜드 순위. 자료검색일 2016. 1. 15. 자료출처http://www.gallup.co.kr/gallupdb/reportDownload.asp?seqNo=636
  39. 12 F/W 지방시 캠페인. 자료검색일 2016. 6. 4. 자료출처 https://www.givenchy.com/kr/igseupeulroeo/mohoseong
  40. 12 F/W 지방시 진 캠페인. 자료검색일 2016. 6. 4. 자료출처 https://www.givenchy.com/kr/igseupeulroeo/mohoseong00
  41. 샤넬 No5 광고. 자료검색일 2016. 6. 7. 자료출처 http://maidennoir.co.kr/994
  42. 16 S/S 루이비통 LV&ME 컬렉션 광고. 자료검색일 2016. 6. 8. 자료출처 http://kr.louisvuitton.com/kor-kr/stories/lv-and-me#/coll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