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Learner's Motivation on Professional Development in Vocational Education of Clothing Manufacturing

의류제조 직업능력개발교육 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가 교육 및 취업서비스만족도와 직업능력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7.07.11
  • Accepted : 2017.09.20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learning motivation affects satisfaction with training and employment services and its performance for participants in government-supported job skill development program of the clothing industry so a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a training program that fosters professionals and relieves the labor shortage in the clothing industry. 18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WIN 21.0. Most trainees were low-income citizens in their 40s and 50s. They were divided into highly educated or low-educat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when the trainees were motivated by the goals of getting a certificate or a job, employment service satisfaction levels were influenced meaningfully. Secondly, educational satisfaction levels and occupational ability development also scored highl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instructors' competency. Instructors must be required to have onsite experience so that they can provide authentic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work field.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compulsory training session for the trainers along with an incentive program so that they can catch up with up-to-date technology and trend. Third, the research shows that supporting business startup and job placement is important. Follow-up management systems should be provided in cooperation with relevant institutions of employment and business startups. Either outsourcing or placement of professional advisors is also needed.

Keywords

References

  1. 강미나. (2001). 여성직업훈련제도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K직업훈련기관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정민. (2016).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가 사회적자본형성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미자. (2006). 실업자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교육 요인에 관한 연구 : 부산, 울산지역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순범. (2009). 여성 직업능력개발의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은애, 안춘순, 박순천, 전은경, 황진숙, 심정은. (2011). 패션산업 인력배출현황 조사사업 보고서. 서울 : 한국의류학회.
  6. 김종숙. (2010). 기혼여성의 직업교육 참여가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업교육 수강생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지연. (2013). 평생교육기관 학습자의 참여동기와 참여지속의도 관계에서 관계 마케팅의 조절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나현미, 심지현, 정란. (2013). 직업능력개발계좌제 훈련 참가자의 취업 영향 요인 분석. 한국성인교육학회, 16(1), 85-104. 재인용 (Houle, C. D 1961; 재인용).
  9. 남미란. (2011). 직업능력개발교육 학습자의 참여동기와 참여특성에 따른 교육만족도 연구 : 대구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도규희, 최경순, 조차, 이정옥. (1995). 복식산업발전을 위한 패션전문교육에 관한 연구II : 어패럴산업체를 중심으로. 경일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5, 207-213.
  11. 민경미. (2011). 취업동기와 교육환경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여성인력개발센터 중심으로. 청운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미희. (2011). 실직자의 직업능력개발훈련 참여동기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Kirkpatrick, D.L 1998; 박미희, 2011, 재인용).
  13. 박상주, 김미선 김희삼. (2000). 섬유산업 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방법 개선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4), 287-299.
  14. 배수진, 류장래, 임준식. (1999). 섬유산업과 인적자원양성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12(1), 1-21.
  15. 백영의. (2007). 직업교육에 참여한 준고령 여성들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서울시 여성발전센터의 직업교육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안정연. (2009). 실업자 직업훈련에 관한 개선방안. 한성대학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오수진. (2015) 융합형 패션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오영훈. (2008). 직업훈련의 소득계층별 효과에 관한 연구 : 취업가능성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Blalock, A. B. (ed). 1990; 오영훈, 2008, 재인용).
  19. 윤수경, 한유경. (2014). 대학생의 취업성과 영향 요인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3(4), 131-160. (Heslin, P. A. 2005; 윤수경 외, 2014, 재인용).
  20. 이경민. (2016). 직업능력개발계좌제 훈련생의 교육환경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기환. (2003). 평생교육 학습자의 참여동기와 만족도 : 관공서의 평생교육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22. 이내빈. (2005).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만족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유근, 1996; 이내빈, 2005, 재인용).
  23. 이명옥. (2000). 국내 패션관련 교육기관의 의복원형 교육실태 연구 : 길원형 평면구성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승우. (2008). 직업교육발전을 위한 훈련기관평가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정애. (2001). 성인교육 참여자의 학습동기와 만족도의 관계. 한남대학교 지역개발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이현정. (2013).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stin, A. 1993; 이현정, 2013 재인용).
  27. 이혜윤, 박명자. (2016). 학점은행제 패션전공 학위과정 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7(4) 191-200.
  28. 임세영, 조은정. (2013). 실업자 직업능력개발계좌제 훈련생 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2(5), 171-188.
  29. 장혜정, 정란. (2013).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대상 훈련역량 강화 지원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6(1), 85-104.
  30. 정지선. (2005). 직업교육과 HRD 중심 산학협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1. 조인실. (2000). 국내 패션 코디네이션 교육과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조진영. (2011). 직업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여성훈련생 만족도 조사 : 대구지역직업교육원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33. 최경희 (2013). 패션디자인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한・미 패션디자인 전공 대학원 교과과정 개설현황에 관한 비교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4(4), 517-529.
  34. 최선윤. (2016). 의류 봉제업 경영인의 봉제산업 현황과 정부 지원에 관한 의견 조사. 복식문화학회, 24(2), 150-165. https://doi.org/10.7741/rjcc.2016.24.2.150
  35. 최선윤. (2012). 국내 봉제산업 인력양성 실태와 전망. 한국의류학회, 패션정보와 기술. 9(0), 46-55.
  36. 한국고용정보원. (2014). 직업능력개발통계연보. 한국고용정보원 http://www.keis.or.kr
  37. 한국의류산업협회.(2013). 서울시 의류제조 집적 지 실태조사.
  38. 허미연. (2010). 여성인적자원개발기관의 취업효과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여성인력개발기관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행정박사학위논문. (김흥국, 2005; 허미연, 2010, 재인용).
  39. 홍성애, 이진희. (2011). 의복구성분야 교육과정 비교분석을 통한 패션산업 활성화 방안: 4년제 국내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5(11), 1399-1408. https://doi.org/10.5850/JKSCT.2011.35.11.1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