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rvey on the Status of Shoe-last Production for Handmade Shoes - Focused on Seongsu-dong Complex -

수제화 라스트 생산 현황 조사 - 성수동 지역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7.08.23
  • Accepted : 2017.11.16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develop shoe last design technology to enhance and revitalize the competitiveness of the handmade sho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manufacturers in Seongsu-dong to identify the production status and design technology of shoe lasts.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shoe lasts for adults are produced at intervals of 5mm between 245mm-285mm for men's shoes, and between 220-260mm for women's shoes. The production rate of women's shoes was high in the order of general type, boot type, and sandal type while men's shoes mainly produce general type. Secondly, the master last size and ball girth rating for men's and women's shoes were analyzed to EE-EEE grade at 260mm and D grade at 235mm. The length of the master last for men's shoes is 276-290mm, the heel width is 60-65mm, the ball width is 88-90mm, the ball girth is 250mm, and the waist girth is 248mm. The length of the master shoe last for women's shoes is 236-245 mm, the heel width is 50-55mm, the ball width is 78-80mm, the ball girth is 211~213mm, and the waist girth is 213~215mm. Thirdly, the last grading deviation is 5mm in length, the heel width is 0.5mm, the ball girth is 3.5mm, and the ball with is 1.2mm. The ball girth dimensions of Oxford type, slip-on type, and sneakers type are made at 250mm, 248mm, and 245mm for men's shoes. For women's shoes, the ball girth dimensions of pump type, loafer & boot type, and sandal type are made at 211~213mm, 214~215mm, and 211mm. Fourthly, t+he construction of the automation system is insufficient and almost completely depends on manual production.

Keywords

References

  1. 김세나. (2000). 신발착용실태 조사와 치수 및 형태 개선을 위한 제언: 10대와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정열. (2007). 한국형 라스트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성인여성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박노천, 정제순, 김용진, 박시복. (2002). 신발 굽높이에 따른 볼너비 및 볼둘레의 변화. 대한재활의학회지. 26(6). 785-789.
  4. 박지은. (2011). 성인여성의 발 유형분류와 연령대별 발 특성분석: Size Korea의 3차원 발 데이터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박해수. (2007). 발 계측 자료에 기초한 신골 할출시스템의 검증에 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26(1), 71-77.
  6. 사이즈코리아. http://www.sizekorea.kats.go.kr
  7. 서울역사박물관. (2015). 성수동: 장인, 천 번의 두들김. 서울역사박물관.
  8. 이대석. (2003). 발 측정 데이터에 기초한 신골 그레이딩 시스템에 관한 연구. 동서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원광연. (2000). 기하학적 방법을 이용한 효율적인 주문형 신발 제작용 구두골의 설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최경일. (2015). 건강기능성 신발제조를 위한 한국형 표준 라스트(LAST)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최선희. (2005). 한국 성인 여성의 발 형태와 구두 착용 실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최순복. (2001). 발의 불편감에 영향을 미치는 구두형태 및 보행특성: 성인 여성 발 유형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한국신발피혁연구원. (2007). 발 체형 계측을 통한 한국형 전문 런닝화 및 테니스화 라스트 개발, 지식경제부 표준기술력 향상사업 보고서.
  14. 한국신발피혁연구원. (2008). 한국형 아동, 노인형 구두 및 구두골 치수표준 개발, 지식경제부 표준기술력 향상사업 보고서.
  15. 한국표준협회. (2001). KS G 3405; 구두용 구두골.
  16. 한현정. (2005). 여성용 구두의 치수 적합성에 관한 연구: 사용자 및 판매자 조사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Jan pivecka & Siegfried Laure. (1995). The shoe last, Jan pivecka Foundation.
  18. SATRA. (2000). 구두골: 그레이딩 시스템에 관한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