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for establishing Big Data-based alley commercial area

빅데이터 기반 골목상권 영역설정 방법론 개발

  • Received : 2018.12.10
  • Accepted : 2018.12.15
  • Published : 2018.12.29

Abstract

In this study, we designed the area except the development market and the traditional market, where large scale shops were concentrated by realizing the real estate center of the alley commercial area. In addition, we have developed an area setting method for the alley area where reliability and rationality can be ensured by utilizing the actual data such as the business statistics, the survey data of the business, and the store business DB, which are managed by the local government or the state. The alley commercial area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density. It is thought that users can distinguish the commercial areas from dense commercial areas to the commercial areas in order to utilize various commercial areas.

본 연구는 골목상권 영역을 실제 점포 중심으로 영역을 구체화하여 대규모 상점들이 밀집한 발달상권, 전통시장 상권을 제외하고 영역을 설계하였다. 뿐만 아니라 지자체 또는 국가가 관리하고 있는 행정통계 및 조사통계 자료인 사업체조사, 상가업소DB 등 실제 데이터를 활용하여 신뢰성과 합리성이 확보될 수 있는 골목상권의 영역설정 방법을 개발했다. 도로명주소의 동일 '길'주소에 해당하는 점포들의 수를 '길'단위 길이 당 점포수로 변환하여 밀도화 하고, 이를 동질성 있게 분류하여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으로 설계를 추진하였다. 특히,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영역을 설정하는 데 있어서 토지 소유권을 구획하는 필지 연결선인 지적선을 활용함으로써 끊임없이 골목 양쪽을 적용하여 구분할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출된 골목상권 영역을 밀집도에 따라 5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이는 골목상권에 대한 다양한 활용성을 위해 밀집되지 않은 상권부터 밀집된 상권을 구분하여 이용자들은 본인의 관심 상권에 대해 효용적 접근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Keywords

JBJTBH_2018_v11n6_784_f0001.png 이미지

그림 1. 골목상권 영역설정 절차 Fig. 1. Alley Commercial Zone Setting Procedure

JBJTBH_2018_v11n6_784_f0002.png 이미지

그림 2. GIS를 활용한 도로선(강동구 일대) Fig. 2. Road line using GIS(Gangdong-gu area)

JBJTBH_2018_v11n6_784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점포수 밀집도 영역(강동구 일대) Fig. 3. Stores density area (Gangdong-gu area)

JBJTBH_2018_v11n6_784_f0004.png 이미지

그림 4. 단일 상권과 5등급으로 세분화한 상권 영역 비교 Fig. 4. Comparison of commercial areas single and divided into 5 classes

JBJTBH_2018_v11n6_784_f0005.png 이미지

그림 5. 청파로 47길(숙대 입구) Fig. 5. Cheongpa-ro 47 Road (Sukdae Entrance)

JBJTBH_2018_v11n6_784_f0006.png 이미지

그림 6. 성북구의 골목상권(상)과 강남구 골목상권(하) Fig. 6. Seongbuk-gu alley (top) and Gangnam-gu alley (bottom)

JBJTBH_2018_v11n6_784_f0007.png 이미지

그림 7. 지적선인 필지선의 특징과 길을 포함한 경계 Fig. 7. Boundaries including features and pathways of parcel lines

JBJTBH_2018_v11n6_784_f0008.png 이미지

그림 8. 지적선인 필지선을 활용한 골목 상권 영역(마포구) Fig. 8. Alley commercial area using map lines(Mapo-gu)

JBJTBH_2018_v11n6_784_f0009.png 이미지

그림 9. 5단계 분류 골목상권 사례(장군봉길) Fig. 9. 5 steps category alley commercial case(Jangsun bong road)

표 1. 활용데이터 목록 Table 1. Usage data list

JBJTBH_2018_v11n6_784_t0001.png 이미지

표 2. 골목상권의 5개 분류 Table 2. 5 groups of alley commercial

JBJTBH_2018_v11n6_784_t0002.png 이미지

References

  1. Lee Sang Il, Cho Dae Heon, Son Hakki, Chae Mi Ok. "A Study on the GIS-based Methodology for Establishment of the Space Clusters: Modified AMOEBA Technique",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5 (4): 502-520. 2010
  2. Lim Eun-sun, Lee Ho-sun, Lee Young-joo, Cho Jae-il, "The space that responds to changes in the demand of national policy -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convergence model", KRIHS POLICY BRIEF No.469, 2014
  3. Song, Chang Chang and Ta Yeol Kim. "A Study on the Movement of Urban Areas in Expansion Cities - Case of Cheonan City", "Korea Land and Urban Planning Association", 2008 Fall Conference Proceedings. 219-226. 2008
  4. Kim Tae Yeol. "A Study on the Spatial Settlement and Spatial Variation of Point Zone: Case of Daegu City", National Plan, 43 (4): 149-164. 2008
  5. Kim Won Kyung and Lee Mi Yeong. "Land Pattern of CBD in Kimhae City," Journal of Korean Urban Geography, 5 (1): 15-33. 2002
  6. Ju Kyung Sik, Seo Min Cheol. "Boundaries, Functions and Internal Structure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3 (1): 41-56. 1998
  7. Nam Young Woo. "Urban Space Structural Theory". The law. 299-309. 2011
  8. Jenks, George F., "The Data Model Concept in Statistical Mapping", International Yearbook of Cartography 7, pp. 186-190, 1967
  9. SungJun Kim, 'A Study on Construction of Crime Prevention System using Big Data in Korea',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7 No. 5,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