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 of NCS Task Processing Capability Group on Career Outcome Expec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cused on College Students-

NCS업무처리능력군이 진로결과기대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문대학 학생을 중심으로-

  • Sung, Haengnam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Cho, Donghwan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성행남 (경상대학교 경영대학) ;
  • 조동환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 Received : 2019.05.14
  • Accepted : 2019.09.10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As job market squeezes and more institutions have been requiring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recruitment, the importance of NCS has been growing. Among the 10 domains of NCS, the most relevant one with task processing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filed is 'task processing capability group', which is becoming more important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task processing capability group on their career outcome expec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is study, we set up a process model to comprehend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task processing capability group on career outcome expec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task processing capability group(problem-solving capability, information capability, resource management capability, organizational capability) positively influenced college students' career outcome expec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employment. However, the impact of technical capability on career outcome expec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not explain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task processing capability group of college students, not only university-level efforts, but also college and faculty's efforts should be accompanied. Other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전문대학 학생의 NCS 업무처리능력군(문제해결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자원관리능력, 조직이해능력)과 진로효능감 간의 영향 관계를 실증분석하기 위함에 있다. 그리고 이 진로효능감과 진로결과기대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영향관계에 대해 실증분석하기 위함이다. 사회인지진로이론 및 자기효능감 관련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 학생의 진로결과기대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영향요인으로 진로효능감 요인을 확인하였다. 둘째, 업무처리능력군 중 문제해결능력, 정보능력, 자원관리능력, 조직이해능력은 진로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업무처리능력군 중 기술능력은 진로효능감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 학생의 진로효능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학과 차원의 행정지원과 교수자의 상담 및 멘토링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비교과과목의 개설과 교수평가 지표 항목의 개발 등의 정책적 제안이 가능함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조직이해능력, 정보능력, 자원관리능력, 그리고 문제해결능력이 진로효능감에 미치고 이는 다시 진로결과기대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기에 해당 능력과 관련된 비교과목의 개설 및 특화 및 특강 프로그램을 위한 준비와 진행의 정책적 제안이 가능함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정.박영민(2018),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관심도 분석: 의사소통능력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66(0), 35-58.
  2. 김봉환.김계현(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9(1), 311-333.
  3. 김세환(2015), "NCS 기반 공정과 직무분석을 이용한 경력개발에 관한 실증적 연구",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정아(2017), "전문대학 비서학 전공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자기인식정도가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비서학논총, 26(1), 57-80.
  5. 김혜영(2015), "정보기술문야 NCS형 교과설계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개발모형을 중심으로",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15(4), 85-99.
  6. 박보경(2009), "고등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진로흥미,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박윤희(2018), 진로 탐색 및 직업 선택, 시그마프레스.
  8. 배병렬(2007), AMOS 7에 의한 구조방정식모델링, 도서출판 청람.
  9. 서용수.최승영(2017), "지적분야 NCS 기반 능력중심채용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33(2), 33-46.
  10. 서용한.야부 토스하루(2017), "NCS 확산을 위한 경력단절여성 커리어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36(2), 207-221.
  11. 성행남.조동환(2018), "NCS 정보능력이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보시스템연구, 27(4), 1-22.
  12. 성행남.조동환(2019), "대학생의 직장적응능력군이 전공흥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진로결과기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통물류연구, 6(2), 67-80.
  13. 안재영.이찬주(2018), "직업계고 교원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운영 역량 연구", 직업교육연구, 37(2), 101-127.
  14. 윤덕원.우혜정.강봉준.김윤호(2016),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직업기초능력 기반의 직군별 요구역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2), 383-398.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383
  15. 이명화(2015), "공과대학생의 학업지속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공학효능간과 결과기대, 흥미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은화.윤소정.허승희(2011), "대학의 직업기초능력 교육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 차이: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30(4), 51-67.
  17. 이제경.김동일(2004), "한국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과 심리적 특성", 상담학연구, 5(4), 993-1016.
  18. 이진욱.김진영(2016), "NCS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4 년제 대학생들의 요구: IPA를 통한 사례 연구", 직업교육연구, 35(5), 75-96.
  19. 이창원(2017), "4차 산업혁명과 공공조직의 변화, 미래의 인재상", 한국행정포럼, 158, 9-16.
  20. 임세영.김지영.박윤희.김우철.임민섭. 우혜정(2018), "4년제 대학생의 NCS 직업기초능력 진단문항 개발: 자기개발능력, 조직이 해능력, 자원관리능력을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37(2), 1-18.
  21. 장현철.이명화(2019), "블라인드 채용 시 방사선사 직무기술서에서 요구하는 직업기초능력 수준 분석",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13(1), 103-111. https://doi.org/10.7742/jksr.2019.13.1.103
  22. 조선일보(2018), "고용 '量과 質 동반악화'... "단기알바.취포자만 늘어", 정원석, 조귀동기고, 2019.4.20. (입력 2018.11.14. 14: 54, 수정 2018.11.14. 14:58)
  23. 주초롱.송경희.이계희(2018), "관광전공 고등학생의 NCS교육과정 만족도가 진로탐색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32(3), 55-67.
  24. 중앙일보(2018), "韓 20대 실업률, 日 2배 넘어...주 원인은?", 김지혜, 2019.4.20. (입력 2018.12.05. 12:34)
  25. 최광열(2017), "직업기초능력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경영 및 IT계열 전문대학 학생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한국전문대학교협의회(2016), "2016년도 직업기초능력 평가 대학 시범평가 실시 안내", 2016.9.26.
  27. "NCS 및 학습모듈 검색", NCS국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 2019년 4월 20일 접속.
  28.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29. Bandura, A.(1985),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 Hall.
  30. Hackett, G. and Betz, N. E.(1981),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8(3), 326-339. https://doi.org/10.1016/0001-8791(81)90019-1
  31. Hair, J. F., Anderson, R. E., Tatham, R. L. and Black, W.(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5th ed)", Prentice Hall.
  32. Lent, R. W., Brown, S. D. and Hackett, G.(1994),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5(1), 79-122. https://doi.org/10.1006/jvbe.1994.1027
  33. Lent, R. W., Brown, S. D., Brenner, B., Chopra, S. B., Davis, T., Talleyrand, R. and Suthakaran, V.(2001), "The Role of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in the Choice of Math/Science Educational Options: A Test of Social Cognitive Hypothes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8(4), 474-483. https://doi.org/10.1037/0022-0167.48.4.474
  34. Steiger, J. H.(1990), "Structural Model Evaluation and Modification: An Interval Estimation Approach",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5(2), 173-80. https://doi.org/10.1207/s15327906mbr2502_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