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천연기념물 제323-8호 황조롱이의 최근 10년('08~'17) 분포 특성 연구

A Ten-Year('08~'17)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the Common Kestrel

  • 투고 : 2018.11.13
  • 심사 : 2019.02.08
  • 발행 : 2019.03.30

초록

문화재청 지정 천연기념물 제323-8호 황조롱이에 대해 전국자연환경조사(2008~2012년, 2014~2017년) 자료와 국가자연사연구종합정보시스템(Korean Natural History Research Information System, KNHRIS)의 관찰 기록(2013~2016년)된 정보 중 최근 10년(2008~2017년)에 확인된 자료를 토대로 분포 특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황조롱이가 관찰된 지점 수는 전국자연환경조사(2008~2012년, 2014~2017년)에서 3,899번, 국가자연사연구종합정보시스템(2013~2016년)에서 508번 등 전체 4,407개의 지점으로 제주도를 포함하여 전국적으로 넓게 분포되는 특성을 보였다. 분포의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GIS에서 확인된 고도와 2017년 기준의 통계자료 중 도시계획 요인에 대해 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황조롱이의 출현율과 고도별 상관관계를 확인해본 결과 0m에서 1,200m 수준의 저지대에서부터 고지대까지 고루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징적으로 고도 100m 미만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200m 이상의 고도에서 출현율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행정구역별로 황조롱이의 출현율을 확인한 결과 충청남도에서 가장 많이 확인되었고 경상북도, 경기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도시계획 요인 중 녹지 면적뿐만 아니라 도시 면적, 상업지 면적, 공업지 면적과 황조롱이의 출현율이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각 요인의 면적이 넓을수록 황조롱이의 출현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황조롱이 출현율과 주택 건설 면적, 주거지 면적 간에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In this study observation records of the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2008-2012, 2014-2017) and the Korean Natural History Research Information System (KNHRIS) for the common kestrel (2013-2016) were consult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of the distribution of kestrels in an area and the area's land use typ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based on data collected over the last 10 years (2008-2017). Findings show that the common kestrel is widely distributed between 4,407 sites registered in KNHRIS in the period of 2008-2012, 3,899 sites in 2014-2017, and 508 sites in 2013-2016. Relationship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altitude and urban planning factors of statistics based on a 2017 GIS check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The birds' altitude was confirmed to range from 0 to 1,200 metersck but was most commonly observed at less than 100 meters. Above 200 meters, the rate of occurrence decreased rapidly. The rate of occurrence of the common kestrel was highest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followed by Gyeongsangbuk-do, Kyonggi-do, Jeollanam-do and Jeollabuk-do. As urban areas, green areas, commercial areas, and industrial areas the presence of s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resence of kestrels, the rate of occurrence of the kestrel was higher in those region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incidence of kestrels and housing construction or residential area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국립생태원

참고문헌

  1. 강정훈.김인규.유승화.강태한.백운기, 2008, 한국의 천연기념물 조류의 현황과 서식실태 한국조류학회지 15(1), pp.73-84
  2. 노백호.윤정호.최준규.이석원.서현지, 2010, 법정보호 야생조류의 서식환경 평가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p.188
  3. 문화재관리국, 1999, 천연기념물 조류 분포.이동경로도 및 보호대책, pp.227-232
  4. 문화재청, 2001a, 천연기념물 제419호 강화갯벌 및 저어새 번식지의 조류 모니터링 조사, p.115
  5. 문화재청, 2001b, 천연기념물 조류 번식지의 실태 및 관리방안 연구보고서, p.203
  6. 문화재청, 2012, 천연기념물 지정 확대를 위한 자원 조사보고서, p.165
  7. 문화재청, 2017, 통계로 보는 문화유산, p.64
  8. 채희영.박종길.최창용.빙기창, 2009, 한국의 맹금류, 국립공원관리공단, pp.110-152
  9. 한국조류학회, 2009, 한국조류목록, pp.18-19
  10. 환경부, 2012,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국립환경과학원, pp.431-456
  11. Cramp, S., Simmons, K. (eds), 1987, The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Vol.2,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2. Geng, R., Zhang, X., Ou, W., Sun, H., Lei, F., Gao, W., & Wang, H., 2009, 'Diet and prey consumption of breeding Common Kestrel (Falco tinnunculus ) in Northeast China', Progress in Natural Science 19(11), pp.1501-1507 https://doi.org/10.1016/j.pnsc.2009.03.011
  13. IUCN, 2018,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6-3),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Cambridge, UK. Available at: www.iucnredlist.org
  14. Kim, W. Y., Kim, S. H., Bing, G. C., & Sung, H. C., 2013, 'Summer Record of Falco tinnunculus tinnunculus in Korea', 한국조류학회지 20(1), pp.79-81
  15. Korpimaki, E., 1985, 'Diet of the Kestrel Falco tinnunculus in the breeding season', Ornis fennica 62(3), pp.130-137
  16. Park J. H., K. I. Kim, M. H. Kim, & H. S. Oh, 2018, 'The Distribu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 of Tscherskia triton (Rodentia; Cricetidae) in Jeju Island, Korea', Environmental Biology Research Vol.36 No.3, pp.412-423 https://doi.org/10.11626/KJEB.2018.36.3.412
  17. Riegert, J., Fainova, D., & Bystřicka, D., 2010, 'Genetic variability, body characteristics and reproductive parameters of neighbouring rural and urban common kestrel (Falco tinnuculus ) populations', Population ecology 52(1), p.73 https://doi.org/10.1007/s10144-009-0168-y
  18. Yoon M. H., S. H. Han, H. S. Oh, & J. K. Kim, 2004, The mammals of Korea, Dongbang Media, Seoul, p.274
  19. 문화재청 홈페이지 (검색 날짜: 2018.10.30) http://search.cha.go.kr/srch_org/search/search_top.jsp?searchCnd=&searchWrd=&home=total&mn=&gubun=search&query=%ED%99%A9%EC%A1%B0%EB%A1%B1%EC%9D%B4
  20. 통계청 홈페이지 'VIII. 건설.주택.토지_DT201708 (검색 날짜: 2017.10.20)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