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wearing pattern of front-bloused-type skirts from 15th to 16th century

15-16세기 전단후장형(前短後長形) 치마의 조형적 특징과 착용양상

  • Kim, Eun Jung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 Lee, Ho Jung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 Cho, Woo Hyun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Received : 2020.08.06
  • Accepted : 2020.11.06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front-blouse-type skirts from the 15th and 16th centuries and aimed to investigate their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wearing patterns. Previous studies, literature, records, paintings, and excavated clothing items were used as research materials. The researcher categorized front-blouse-type skirts into three types based on the construction method. The first has the front-center portion of the skirt folded up, the second has the center portion cut short, and the third has horizontal dart pleats on either side. An examination of 48 items from 18 excavation sites of front-blouse-type skirts showed that only the front-center portion folded up type appeared in the 15th century, and it was only in the 16th century that the other forms of skirts were worn. Finally, based on the analysis, the pattern of wearing front-blouse-type skirts and their changing factors was deduced. Front-blouse-type skirts were identified as ceremonial skirts that were popular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among the types of long skirts available. The popularity and usage of this type of skirt began to spread gradually in the 15th century. In the 16th century, various types of front-blouse-type skirts were brought into vogue by the royal family and the external register. It can be inferred that the popularity of front-blouse-type skirts gradually declined in the 17th century as other types of long skirts, folding skirts, and Sran type skirts emerged.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도박물관. (2005). 연안김씨 묘 출토복식. 용인: 경기도박물관.
  2. 경기도박물관. (2006). 진주류씨 배위 의인 박씨출토복식. 용인: 경기도박물관.
  3. 경기도박물관. (2011). 경기명가 기증 출토복식 명품전 이승에서의 마지막 치장. 용인: 경기도박물관.
  4. 고려대학교박물관. (2003). 파평윤씨 모자 미라 종합연구 논문집 2. 서울: 고려대학교박물관.
  5. 고부자. (2007). 大田 出土 江陵 金氏(女, 朝鮮 前期)유물. 용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6. 고부자, 박성실. (1990). 여주 출토 동래정씨 출토유물 소고. 한국복식, 8, 71-125.
  7. 국립민속박물관. (2000). 오백년의 침묵, 그리고 환생 -원주 변씨 출토유물 기증전.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8. 국립중앙박물관. (2004). 朝鮮時代風俗畵. 서울: 동방미디어.
  9. 국립중앙박물관. (2009). (조선시대)향연과 의례: 잔치풍경. 서울: 씨티파트너.
  10. 김남정. (2000). 조선시대 치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미정. (2006). 光州出土 朝鮮前期 積城 李氏(女, 1458-1538) 저고리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지희. (2020). 조선시대 거들치마의 형태 및 바느질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9). 전주이씨 수도군파 5세 이헌충과 부인 안동김씨 묘 출토복식. 용인: 단국대학교 출판부.
  14. 대전시립박물관(2016). 안정나씨묘 출토복식 특별전 그리움을 깁고 연정을 짓다. 대전: 대전시립박물관.
  15. 문경새재박물관. (2005). 금선단 치마 입고 어디 다녀오셨을까. 서울: 민속원.
  16. 박나나. (2019). 동아시아 여자 군·상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박성실. (1996). 朝鮮朝 치마 再考: 16세기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服飾, 30, 295-306.
  18. 박성실, 고부자. (1991). 고양 능곡 무원 출토 나주 정씨 월천공파 출토 유물 소고. 한국복식, 9, 133-162.
  19. 박성실, 조효숙, 이은주. (2005). 한국복식명품 조선시대 여인의 멋과 차림새. 용인: 단국대학교 출판부.
  20. 박정임. (2010). 15-18세기 출토직물 분석을 통한 조선시대 섬유산업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소황옥, 임성주. (2004). 조선조 은진송씨 치마 저고리에 관한 고찰. 중앙대학교 생활과학논집, 19, 1-11.
  22. 송미경. (2003). 驪興 閔氏(1586-1656) 墓 출토복식. 服飾, 53(4), 177-186.
  23. 송미경. (2007). 16세기 여성 복식에 관한 연구 - 남양홍씨 몽남(夢男: 1534-1574)배위 연안김씨 묘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服飾, 57(8), 125-136.
  24. 송미경. (2008). 조선시대 여자복식 감정을 위한 각 시대별 특징 연구 - 15세기-18세기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服飾, 58(5), 71-86.
  25. 송미경. (2009). 진주류씨 배위 의인박씨 묘 출토복식의 연대 추정. 服飾, 59(5), 135-151.
  26. 수원박물관. (2015). 경기오산 여흥이씨.구성이씨 묘 출토복식조사보고서. 수원: 수원박물관.
  27. 심봉근. (2003). 密陽古法理壁畵墓. 부산: 세종출판사
  28. 여주박물관. (2011). 원주원씨 기증 복식유물 보조처리 보고서. 여주: 여주박물관.
  29. 유희경. (1975). 韓國服飾史 硏究.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30. 이기룡. (n.d.). 남지기로회도. 자료검색일 2019. 10. 4, 자료출처 https://museum.snu.ac.kr/possess/searching/
  31. 이수현, 조우현. (2004). 한국 전통치마의 착용 실루엣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6(1), 73-87.
  32. 이수현. (2016). 조선시대 문직물의 수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은주. (2003). 장기 鄭氏(1565-1614) 묘의 출토복식. 服飾, 53(3), 73-87.
  34. 이은주, 하명은, 안태현. (2007). 16세기 후반 전주 최씨 일가 묘 출토복식의 사료적 가치. 服飾文化, 10(1), 155-171.
  35. 인천광역시립박물관. (2005). 인천 석남동 회곽묘출토복식. 인천: 인천광역시립박물관
  36. 이형상. (n.d.). 병와집. 자료검색일 2019. 9. 2, 자료출처 http://db.mkstudy.com/mksdb/e/korean-literary-collection/book/reader/8634/?sideTab=toc&contentTab=text&articleId=1138166
  37. 임경화. (2002). 치마의 장식 요소와 표현성에 관한 연구: 조선시대부터 2001년까지.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장인우. (2001). 출토복식을 통해 본 17세기 봉제구성 -임경백, 임계백 묘 중심-. 服飾, 51(1), 33-48.
  39. 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 (n.d.). 자료검색일 2019. 9. 2, 자료출처 http://sillok.history.go.kr/id/kia_10212005_004
  40. 조미나. (2012). 조선왕조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궁녀의 직무에 따른 복식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충북대학교 박물관. (2008). 조선시대 여인의 옷. 청주: 중북대학교박물관.
  42. 최연우, 박윤미, 김윤경, 김지희, 박양희, 이선우, 차서연, 편나영, 황혜남. (2017). 가평 전주 이씨묘 출토복식 고찰. 한국의류학회지, 41(5), 840-857. https://doi.org/10.5850/JKSCT.2017.41.5.840
  4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05). 조선왕실의 여성.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44. 허정애. (2013). 조선시대 묘에서 출토된 치마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황진영. (2008). 조선시대 궁녀복식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