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Representative and Participatory Democracy

대의 민주주의와 참여 민주주의의 특징 및 한계 비교 연구

  • Received : 2020.11.30
  • Accepted : 2020.12.28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Democratic countries worldwide are facing political crises, and many complaints are being raised by citizens well-armed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Voter turnout rates have seen steady declines around the world, while other forms of political participation of citizens, including popular initiatives and recalls and powerful NGOs, have been increasing. In particular, representative democracy, which has been adopted by the majority of democratic countries, is experiencing a crisis due to restrictions on civic participation, failures of representatives, political alienation, and indifference to politics.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meaning, major theoretical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in comparison with those of participatory democracy that have been suggested as supplements or substitutes. In particular, I evaluate representative and participatory democracy on six criteria: effectiveness, stability, consistency, responsiveness, deliberation, and comprehensiveness. The results suggest that representative democracy may be relatively superior to participatory in effectiveness, stability, consistency, and deliberation. Finally, I propose what is necessary for a mature democracy in our society.

오늘날 민주주의 국가들은 정치적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민주주의 운영 방식과 관련하여 시민들로부터 많은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대다수의 민주 국가들이 채택하고 있는 대의 민주주의는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시민 참여의 제한, 대표의 실패, 정치적 소외감과 무관심 등으로 위기를 겪고 있으며, 시민 참여의 활성화를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의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그 의미와 주요 이론적 특징 그리고 한계 등을 살펴보고, 대의 민주주의의 보완 혹은 대체물로 주장되는 참여 민주주의에 대한 몇 가지 주장들과 한계들을 검토하려 한다. 특히 효율성, 안정성, 일관성, 반응성, 심의성, 포괄성의 6가지 기준으로 대의 및 참여 민주주의를 비교하려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오늘날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를 한층 더 성숙시키기 위해 민주주의의 제도적 디자인과 시민 자질 향상이 필요함을 알게 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9학년도 충북대학교 연구년제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김대환(1997), "참여의 철학과 참여민주주의" 참여사회연구소 편, 「참여민주주의와 한국사회」서울: 창작과 비평사.
  2. 김주성(2011), "대의민주주의와 공론정치"「동양정치사상사」 10권, 1호. pp. 105-126.
  3. 박효종(2005), 「민주주의와 권위」 서울: 서울대 출판부.
  4. 사르토리, G., 이행 역(1989), 「민주주의 이론의 재조명I 」 서울: 인간사랑.
  5. 오향미(2009), "정치적 '대표representation' 개념과 대의제" 「한국정치학회보」 43집, 1 호. pp. 109-128.
  6. 이장희(2018), "민주주의 의미와 본질에 대한 고찰" 「헌법논총」 29집. pp. 447-492.
  7. 임경훈(2004), "대의민주주의의 원리와 대안". 김세균 외 12인, 「현대 정치의 이해」 서울: 인간사랑.
  8. 주성수(2006), 「시민참여와 민주주의」 서울: 아르케.
  9. 진미경(1999), "한국민주주의의 미래와 참여민주주의," 김석근외 4인, 「한국의 자유민주주의」 경기: 인간사랑.
  10. Barber, B., 박재주 역(1992), 「강한 민주주의」 서울: 인간사랑.
  11. Bobbio, N. 윤홍근 역(1989), 「민주주의의 미래」 서울: 인간사랑.
  12. Budge, I.(1996), The Challenge of Direct Democracy. Cambridge: Polity Press.
  13. Catt, H. (1999), Democracy in Practice. NY: Routledge.
  14. Dahl, R. A. 안승국 역(1999), 「경제 민주주의」 경기: 인간사랑.
  15. Dahl, R. A. (2000), On Democracy. New Haven: Yale Univ. Press.
  16. Held, D., 박찬표 역(2010), 「민주주의의 모델들」 서울: 후마니타스.
  17. Hobbes, T., 진석용 역(2008), 「리바이어던 1」 서울: 나남.
  18. Huntington, S. (1991), The Third Wave: Democratization in the Twentieth Century. Norman: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 Mill, J. S. (1958), Considerations on Representative Government. NY: Liberal Arts Press.
  20. Pateman, C. (1970), Participation and Democratic Theory.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
  21. Pitkin, H. F. (1965), "Representation" in M. Saward. ed.(2007), Democracy III. NY: Routledge.
  22. Pocock, J. G. A.(1998), "The Ideal of Citizenship since Classical Times" in G. Shafir ed., The Citizenship Debates.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23. Schumpeter, J. (1947),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New York: Har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