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gender-neutral style in modern fashion

현대 패션에 나타난 젠더 뉴트럴 스타일에 관한 연구

  • Lee, Ji-Eun (Dept. of Fashion Design, Sejong University) ;
  • Kwak, Tai-Gi (Dept. of Fashion Design, Sejong University)
  • 이지은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전공) ;
  • 곽태기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20.04.14
  • Accepted : 2020.08.24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gender-neutral phenomenon, to grasp the flow of design, and to seek the future direction of modern fashion design. As for th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this study was performed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In terms of visual data, website photos were collected from the collection of S/S in 2016 to F/W in 2020. To assess the properties of the gender-neutral, analysis was implemented on the results after arranging the factors for gender neutr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suggested in the related papers. The fashion-related expert group analyzed the properties of the gender-neutral style from 1,031 pictures, where the gender-neutral style of fashion design collections was appl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der-neutral were analyzed and divided into the extended body-positive performance style, the mashup style- respecting the conflicting culture, the street style of coexisting genders, and the fluid style of changing directions. In this study, the attributes were derived as acceptability, playfulness, and sustainability.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lay a fundamental role in the creative fashion design development and unfolding of the fashion industry and fashion designers.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옥, 금기숙. (1998). 현대 패션에 나타난 앤드로지너스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36(36), 239-262.
  2. 김지연. (2015. 6. 24). 아빠 육아휴직 활성화... 性희롱 개념 더 확대. 조선닷컴. 자료검색일. 2019. 3. 2, 자료출처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6/24/2015062400295.html
  3. 김지영. (2005). 캐시 애커와 포스트젠더의 공간들.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12(1) 105-131.
  4. 김지혜. (2016). 현대 여성 패션에 나타난 젠더리스 스타일의 표현 특성.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해진. (2011). 현대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크로스섹슈얼 스타일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박미령. (2003). 현대 패션에 표현된 젠더(Gender)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5(4), 324-330.
  7. 송무. (2003). 젠더를 말한다-페미니즘과 인문학의 만남. 서울: 박이정.
  8. 안광숙. (2018). 현대 남성복에 컬렉션 표현된 젠더리스의 특성 연구. 인문사회 21, 9(4), 1543-1556.
  9. 양은진, 이인성. (2009). 현대 여성의 콘트라섹슈얼 성향에 따른 패션 디자인 개발. 복식문화학회지, 17(5), 733-745.
  10. 양현주. (2018. 3 .16). 성소수자 배려...일본 '젠더리스 교복' 관심. 매일경제. 자료검색일 2019. 1. 8, 자료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009&aid=0004116511
  11. 이언영, 변미연, 이인성. (2016). 현대 패션에 나타난 남성복 스타일 특성에 관한 연구-메트로 섹슈얼 현상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8(2), 125-133.
  12. 이연희, 김영인. (2005). 현대 패션 룩(Fashion Look)에 표현된 성(性) 정체성. 복식문화학회지, 13(5), 790-803.
  13. 이진경. (2011). 성(性) 이미지 변화에 따른 현대 남성 재킷의 디자인 특성.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정규연. (2019). 성소수자의 복식을 통한 젠더정체성 표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정민아. (2015). 현대패션에 나타난 젠더플레이룩의 시뮬라시옹 현상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정수진, 임은혁, 서승희. (2018). 헤테로토피아의 개념으로 본 남성복의 젠더리스 스타일. 한국의류학회지, 42(4), 626-638. https://doi.org/10.5850/JKSCT.2018.42.4.626
  17. 정하나. (2006). 뮤직비디오의 패션에 표현된 젠더 정체성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정혜경. (2011). 화장품 광고의 메이크업.헤어스타일에 표현된 젠더 이미지 유형 연구 -융(Jung)의 아니마.아니무스 원형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한윤조. (2017. 9. 7). 옥상의 재발견-루프탑 카페& 펍. 매일신문. 자료검색일 2019. 8. 17, 자료출처 http://mnews.imaeil.com/NewestAll/2017090709440485359
  20. Ayeshatanjones. (2019. 9. 23). Instagram. 자료검색일 2020. 3. 23, 자료출처 https://www.instagram.com/p/B2wARwMAu1t/
  21. Butler. J. (2008). 젠더트러블: 페미니즘과 정체성의 전복(조현준 역). 파주: 문학동네. (원저 2006 출판).
  22. Gender-neutral pronouns. (2016). worldwidewords. 자료검색일 2019. 1. 18, 자료출처 http://www.worldwidewords.org/articles/genpr.htm
  23. Gender-neutral language. google. (2016). 자료검색일 2019. 1. 15, 자료출처 https://trends.google.co.kr/trends/explore?date=all&q=%2Fm%2F03nms4z
  24. Gender-neutral pronounsl. (2016). worldwidewords. 자료검색일 2019. 1. 18, 자료출처 http://www.worldwidewords.org/articles/genpr.htm
  25. Gender-neutral. (2016). OED. 자료검색일 2019. 1. 18, 자료출처 https://public.oed.com/updates/new-words-list-march-2006/
  26. World wide words. (1999. 9. 12). Gender-neutral pronouns. World Wide Words. 자료검색일 2019. 1. 9. 자료출처 http://www.worldwidewords.org/articles/genpr.htm
  27. 2018년 인기 검색어 보기 - 대한민국. Google. 자료검색일 2019. 1. 15, 자료출처 https://trends.google.co.kr/trends/yis/2018/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