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the change of consumer brand attitude resulting from the levels of exposure to socially responsible advertisements and socially responsible fashion advertisements

사회책임적 광고 및 사회책임적 패션광고에 따른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 장경혜 (계명문화대학교 패션학부)
  • Received : 2020.08.31
  • Accepted : 2020.09.23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ocially Responsible Advertisements and Socially Responsible Fashion Advertisements affect brand attitudes, dependent on the level of consumer recollection.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main findings. Corporate Socially Responsible Advertisem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ehavioral attitude of consumers. However, Socially Responsible Fashion Advertisements more positively affected the emotive attitude. Considering the consumer's recollection, the influences of Socially Responsible Advertisements and Socially Responsible Fashion Advertisements on Brand Attitude were investigated. In the case of Socially Responsible Advertisement, the cognitive attitude factor, that is the rational aspect of consumers, induced a favorable response, whereas, in Socially Responsible Fashion Advertisements, the emotive attitude factor had the highest level of influence on consumers.

Keywords

References

  1. 경위. (2017). 사회책임적활동광고 노출횟수와 광고내 브랜드 노출수가 브랜드태도와 회상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은희, 정진택. (2010). 광고자극과 심리변수가 광고반복에 의한 소비자 싫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1(3), 429-450.
  3. 김재휘. (2004). TV드라마에서 제품배치(PPL)의 광고효과 측정. 광고연구, 64, 61-83.
  4. 김재휘, 신상화, 김수정.(2005). 기업공익활동에 대한 일관성 및 차별성 귀인이 기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6(2), 27-44.
  5. 김효규. (2012). 광고반복 노출과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14(1), 35-47.
  6. 박은아. (2005). 노출조건과 반복횟수에 따른 광고효과 -브랜드친숙도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6(5), 195-213.
  7. 양윤, 김혜영. (2001). 단순노출이 소비자의 태도변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욕구, 제품유형, 노출빈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2(1), 43-68.
  8. 양윤, 정지현. (2006). 감성편익 일치성, 감성강도 및 제품 범주가 광고 태도와 상표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7(3), 331-349.
  9. 예종석, 이은정, 나윤규. (2007). CRM 특성요인이 소비자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품유형과 광고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마케팅저널, 9(3), 49-95.
  10. 유창조, 전중옥. (1995). 광고의 위치와 관여도가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1(1), 77-97.
  11. 이기성. (2013). 기업의 사회책임활동 광고에서 공익마케팅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수범, 이희복, 신명희. (2013). 가상광고의 노출횟수 및 수용자 속성에 따른 광고효과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4(1), 77-107. https://doi.org/10.22876/BNC.2013.14.1.003
  13. 이중원, 박철. (2019). CSR활동 홍보가 브랜드자산을 매개하여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제품과 서비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34(3), 75-94.
  14.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 (2006). 소비자행동:마케팅전략적 접근. 서울:법문사.
  15. 이학식, 최재익, 임지훈. (2004). 소비자 구매행동에 대한 브랜드태도 -소비자 브랜드 관계에서의 역할-. 소비자학연구, 15(2), 85-108.
  16. 최현식, 김덕영. (2011). 맥락매칭과 노출수준이 인터넷 광고 CTR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13(3), 60-81.
  17. 홍종필, 마영애. (2006). 광고 혼잡도와 웹 콘텐츠 관여도에 따른 인터넷 배너광고의 기억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7(3), 401-431.
  18. Bagozzi, R. P. & Yi, Y.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84. https://doi.org/10.1007/BF02723327
  19. Calder, B. J., & Sternthal, B. (1980). Television commercial wear out : An information processing view.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7(1), 173-186. https://doi.org/10.1177/002224378001700202
  20. Ephron, E. (1997). Recency planning.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7(4), 61-65.
  21. Krugman, H. E. (1972). Why Three Exposures May be Enough, Journal of Advertising, 12, 3-9.
  22. McDonald, C.(1995). Advertising reach and frequency: Maximizing advertising results through effective frequency. USA : Lincolnwood.
  23. Pieters .R., Warlop, L., & Wedel, M. (2002). Breaking through the clutter: benefits of advertising times. Marketing Theory, 1(1), 91-108. https://doi.org/10.1177/147059310100100104
  24. Seok, Junhee, Youseok Lee, & Byung-Do Kim.(2017). Impact of Publicizing Co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Firm Value. Korean Management Review, 46(6), 1663-1688. https://doi.org/10.17287/kmr.2017.46.6.1663
  25. Tellis, G. J. (1997). Attitudinal Effects of Mere Expos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Monograph, 9(2), 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