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itability Modelling for Potential Sites for Seoul's 2030 Youth-Housing Projects: Focusing on the 5th Policy Modification and the Youth's Demand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 적지평가 모형: 5차 운영기준 개정과 청년수요의 반영을 중심으로

  • 박민호 (홍익대학교 도시계획과) ;
  • 김명훈 (홍익대학교 도시계획과) ;
  • 천상현 (홍익대학교 도시계획과)
  • Received : 2020.09.11
  • Accepted : 2020.10.21
  • Published : 2020.10.30

Abstract

The Seoul's 2030 Youth-Housing is a policy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private sector-built rental housing in a Station Influence Area (SIA). It is a representative policy to resolve a housing problem for the youth in Seoul.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made continuous policy improvements to respond to earlier criticisms on the policy. In December 2018,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enlarged the possible spatial boundaries of the SIA that the private sector developer can carry out the housing development projects. This study attempts to assess the potential sites available in Seoul by considering the youth's demand. This study used the suitability modelling technique to evaluate the potential sites. In detail, we established three sub-models by reflecting rent, accessibility to living areas of the youth, and accessibility to living SOC for the youth's deman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Hanyang City Wall area, which was newly included by the recent policy revision, showed moderate scores to fit the housing projects, while some Gangbuk areas, which have high accessibility and relatively lower rents, showed the best scores appropriate for the projects. The age group of 20s preferred university districts, while the age group of 30s preferred to locate near Seoul's main office areas. We suggest that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develops better ways to guage and reflect the demand for differing youth groups and the demand by age groups.

Keywords

References

  1. 강은나.이민홍(2016), "우리나라 세대별 1 인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34): 47-56.
  2. 강현수(2018), 기초생활SOC 10분 내에 이용 가능한가? 살기좋은 삶터의 조건, 국토연구원.
  3.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3. 7. 31), "'행복주택' 국민에게 물어보니?".
  4. 김길중.이병길.박병욱(2013), "거주시설 가격 추정을 위한 공간보간법의 비교분석", 국토지리학회지, 47(2): 119-127.
  5. 김비오(2019), "청년가구의 주거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9(3): 408-436.
  6. 김성훈.조현준.최내영.한대정.박민호(2019), "명제논리 기반 서울시 역세권 2030 청년주택 운영기준의 개정효과 분석", 지적과 국토정보, 49(1): 157-179. https://doi.org/10.22640/LXSIRI.2019.49.1.157
  7. 김용재(2017), 단독세대주 가구를 위한 소형 임대주택 공급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8. 도시계획관리위원회회의록(2018. 11. 8), 제10대 서울특별시의회 제284회 행정사무감사.
  9. 박미선(2017), "한국 주거불안계급의 특징과 양상: 1인 청년가구를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62: 110-140.
  10. 박인영(2017), '도심 생활형 1인 주거'를 위한 새로운 복합건물의 계획,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11. 박환용.정일훈.김철중(2010), "도시공공시설의 적정입지 선정에 관한 연구: 파주시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66: 149-168.
  12. 서울특별시 보도자료(2017. 1. 19),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1호 월임대료 12만-38만 원 확정.
  13. 서울특별시의회(2017), 대학캠퍼스 일대 개발 및 2030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의 도시재생 연계방안 연구.
  14. 서울특별시의회 본회의회의록(2018. 9. 14), 제10대 서울특별시의회 제283회 제3차.
  15. 송병화.양병이(2004), "농촌마을 조성모델에 기초한 환경친화적 주거단지 입지 적합성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4(2): 3-10.
  16. 유창호.이왕무.박성현.신승식(2017), "공공시설물의 적정입지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지, 19(3): 151-162.
  17. 이재수.전재범(2016), "서울시 대형 오피스 건물의 공간적 군집패턴과 영향 요인: 2003-2012년 변화",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32(7): 105-113.
  18. 이창무.최소의.박한.박환용(2009), "도심형 (역세권) 공공임대주택의 수요특성 사례 분석", 서울도시연구, 10(4): 191-207.
  19. 조영범(2018), 서울시 역세권 2030청년주택의 도시.건축적특성,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20. 조윤길(2018), 가구유형에 따른 통근통행 특성: 대중교통지향형 주택공급 정책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1. 진정수.최수(2005), "국민임대주택 100 만호 건설실현방안 연구", 성남: 대한주택공사.국토연구원.
  22. 진찬우.이건학(2015), "행복주택 최적 입지 선정에 관한 연구: 다목적 공간 최적화 접근",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8(2): 81-95.
  23. 하성규.설혁(2005), "국민임대주택 공급정책의 과제와 개선 방향", 주택연구, 13(1): 5-27.
  24. 홍현미라(2008), "사회복지시설의 공간접근성에 관한 실증연구: 거리측정과 시간거리측정에 대한 비교분석", 사회복지연구, 37: 35-62.
  25. Carr, M. H. and P. D. Zwick (2007), Smart land-use analysis: the LUCIS model land-use conflict identification strategy. ESRI, Inc.
  26. Zimmerman, D., C. Pavlik, A. Ruggles, and M. P. Armstrong (1999), "An experimental comparison of ordinary and universal kriging and inverse distance weighting", Mathematical Geology, 31(4): 375-390. https://doi.org/10.1023/A:1007586507433
  27. Lu, G. Y. and D. W. Wong (2008), "An adaptive inversedistance weighting spatial interpolation technique", Computers & Geosciences, 34(9): 1044-1055. https://doi.org/10.1016/j.cageo.2007.07.010
  28. Mitchell, A. (2012). The ESRI guide to GIS analysis: modeling suitability, movement, and interaction (Vol. 3). Esri Press.
  29. OECD (2016), LMF2.6: Time spent travelling to and from work.
  30. Jedrzejewski, W., B. Jedrzejewska, B. Zawadzka, T. Borowik, S. Nowak, and R. W. Myslajek (2008). "Habitat suitability model for Polish wolves based on long-term national census", Animal Conservation, 11(5): 377-390. https://doi.org/10.1111/j.1469-1795.2008.0019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