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teaching based on formative assessment using descriptive problems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s and academic achievement

서술형 문제를 활용한 형성평가가 수학적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0.09.17
  • Accepted : 2021.02.22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s in the formative assessment using descriptive problems 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this paper we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would you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utilizing descriptive evaluation? Second, how would improve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s utilizing descriptive evaluation? Third, what was the reaction utilizing the descriptive method to evaluate?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seen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on academic achievement shows a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 changes could be helpful and appreciated. Third,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dicates significance could be seen in the reac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진구 (2013). 고등학생들의 수학과 서술형 평가에 대한 인식과 학습 특성.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래영, 이민희 (2013). 수학과 서술형 평가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연구. 수학교육학 연구, 23(4), 533-551. 서울 : 대한수학교육학회.
  3. 김민경, 조미경 (2006). 수학과 수행 문항 및 분석 기준 개발 연구 수학교육, 45(1), 1-24. 서울 : 한국수학교육학회.
  4. 김성숙, 김희경, 서민희, 성태제 (2015). 교수.학습과 하나 되는 형성평가. 서울 : 학지사.
  5. 김수진, 김현경, 박지현, 진의남, 이명진, 김지영 (2012).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TIMSS 2011 결과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RRE 2012-4-3.
  6. 김원석 (2011). 서술형 문제를 활용한 수학수업이 수학적 창의성과 수학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영순 (2010). 수학 일지 쓰기를 통한 방과 후 학교의 수학 지도방법-중학교 2학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용익 (1999). 수학교육에서의 쓰기의 활용방향 학교수학, 1(2), 589-603. 서울 : 대한수학교육학회.
  9. 김진규 (2015). 미국 교사의 형성평가 연수 프로그램 사례 분석과 시사점. 교육문화연구, 21(5), 95-114.
  10. 노영순, 류춘식 (2001). 수행평가방법 중 서술형 평가를 적용한 학습이 학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4(1), 125-136. 공주 : 공주대학교.
  11. 백순근, 박경미, 황혜정, 최승현 (1999).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 고등학교 수학과.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연구보고 RRE 99-1-3.
  12. 박정 (2013). 형성평가의 재등장과 교육 평가적 시가. 교육평가연구, 26(4), 719-738.
  13. 서수정 (2006). 서술형 평가를 강조한 중학교 수학수업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반응과 변화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서울특별시교육청 중등교육과 (2005). 서술형.논술형 평가 예시문항 자료집-고 1 수학. 서울특별시교육청.
  15. 성태제, 임현정 (2014). 형성평가의 재인식에 따른 교사와 학교교육의 변화를 위한 제언. 교육평가연구, 27(3), 597-615.
  16. 양승욱 (1999).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한 중학교 수학교사들의 인식 및 실시현황.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이강섭, 황석근, 김부윤, 심성아, 왕규채, 송교식, 김진석, 김경돈, 주창수, 양인웅, 차주연, 정재훈, 김원일, 조보관, 김원중 (2017). 고등학교 수학 I 교사용 지도서. 서울 : (주) 미래엔.
  18. 이숙 (2004). 수행평가 중 서술형 평가문항의 과제학습이 문제 해결력 및 수학적 성향 신장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이종희, 김선희 (2002). 수학적 의사소통. 서울 : 교우사.
  20. 전보람 (2013). 서술형 평가와 채점방법에 대한 중.고등학교 수학교사들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조미경 (2007). 초등수학 서술형 수행평가문항 및 평가 기준 개발연구. 수학교육, 46(2), 207-226. 서울 : 한국수학교육학회.
  22. 한귀원 (2007). 서술형 평가에 대한 중.고등학교 수학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한미란 (2006). 수학과 수행평가 문항개발에 관한 연구- 중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황우형, 김명화, 남현우, 김차경 (2001). 수학과 수행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초등교육연구, 14(3), 45-66.
  25. Borasi, R., & Rose, B. J. (1989). Journal writing and mathematics instruc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0, 347-365. https://doi.org/10.1007/BF00315606
  26. Britton, J., Burgess, T., Martin, N., Martin, N., McLeod, A., & Rosen, H.(1975). The development of writing abilities 11-18. London : Macmillan.
  27. Brookhart, S. M. (2011). Educational assessment knowledge and skills for teachers. 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30(1), 3-12. https://doi.org/10.1111/j.1745-3992.2010.00195.x
  28. Brown, H. (2004). Language assessment: Principles and classroom practices. Language Testings, 25(3), 273.
  29. Burns, M. (1995). Writing in math Class : A Resources for Grades 2-8. CA : Math Solutions Publication.
  30. Cowie, B., & Bell, B. (1999). A model of formative assessment in science education.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s. Policy and Practice, 6(1), 32-42.
  31. Danielson, C. & Marquez, E. (1998). A collection of performance tasks and rubrics : high school mathematics. Larchmont, NY : Eye on Education.
  32. Griffith, R., & Clyne, M. (1994). Language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Heinermann.
  33. Herman, J. L., Aschbacher, P. R., & Winters, L. (1992). A practical guide to alternative assessment. Alexandria, VA :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김경자(역) (2000). 수행평가과제 제작의 원리와 실제.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34. Kahl, S. (2005). Where in the world are formative tests? Right under your nose! Education Week, 25(September) (4), 11.
  35. McMillan, J. H. (2014).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s and Prractices for Effective Standards-Based Instruction(6th, ed.). Pearson.
  36.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 Author.
  37. O'Neil, H. F. Jr & Brown, R. S. S. (1998). Differential effects of question formats in math assessment on metacognition and affect. Applied Measurement in Education, 11(4), 331-351. https://doi.org/10.1207/s15324818ame1104_3
  38. Rebecca, F. K. (1996). Effects of writing to learn mathematic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02 198).
  39. Scriven, M. (1967). The methodology of evaluation. In R. W. Tyler, R. M. Gagne, & M. Scriven(Eds.), Perspectives of Curriculum Evaluation, 39-83. Chicago, IL: Rand McNally.
  40. Stiggins, R. J. (2009). Essential formative assessment competencies for teachers and school leaders. In H. L. Andrade & G, J. Cizek(Eds.), Handbook for formative assessment, New York: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