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문화재수리 종합심사낙찰제·종합평가낙찰제 운영결과 및 낙찰률하락 원인 분석

A Study for operation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examination on tendering system in the cultural heritage repair and restoration, focusing on the cause of the decline in the winning bid rate

  • 정영훈 (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 윤현도 (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JUNG, Younghu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
  • YUN, Hyundo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 투고 : 2021.08.23
  • 심사 : 2022.01.31
  • 발행 : 2022.03.30

초록

2014년 불거진 숭례문 부실수리 논란에 대응하고자 문화재청은 2016년 문화재수리 종합심사낙찰제·종합평가낙찰제를 전격 도입하였다. 동 제도의 도입취지는 문화재수리업체에게 적정한 문화재수리비용을 제공하고 보다 나은 문화재수리 품질을 확보하고자 한 것이다. 이렇게 2016년부터 도입된 종합심사낙찰제·종합평가낙찰제는 운영된 지 벌써 5년이 넘어가고 있어 동 낙찰제도의 운영결과를 중간 점검하고 새로운 입찰제도의 도입취지인 수리이행능력이 높은 업체에게 적정한 대가를 보장한다는 목표가 현재 달성되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문화재수리 종합심사낙찰제·종합평가낙찰제로 입찰된 총 114개의 입찰사례를 위주로 통계적접근 등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사분석 기간 중 발주된 114건의 분석결과, 첫 번째로 수리이행능력이 높은 문화재수리업체 선정 여부에 대해서는 낙찰자의 과반수가 문화재수리능력평가액 순위 중 상위 20%에 위치해 있어 '수리이행능력이 좋은 문화재수리업체 선정'이라는 목표를 전반적으로 달성하였다고 판단된다. 두 번째로 적정한 대가가 보장되었는지에 대해 문화재수리 종합심사낙찰제·종합평가낙찰제의 도입취지와는 달리 2017년 86.847%에서 2020년 85.488%로 매년 낙찰률이 저하되고 있고, 문화재수리 종심제·종평제 대상의 94.7%가 속하는 50억원 미만의 문화재수리의 경우에는 예상되는 시설공사 적격심사 낙찰하한율 보다도 낙찰률이 낮아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로, 2019년 개정된 문화재수리 종합심사낙찰제·종합평가낙찰제 경제성평가 배점구조의 변화로 경제성 평가의 영향력 즉, 변별력이 더 강해졌음을 알 수 있다. 문화재수리 종합심사낙찰제·종합평가낙찰제 시행 이후 낙찰률 하락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첫 번째로 투찰률이 매년 하락하는 추세인 '1등 초과 그룹'과 '1등 그룹'이 전체 투찰자 수의 과반 이상이기 때문이며, 둘째로 낙찰률을 상향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1등 초과 그룹' 내에서도 높은 투찰가격을 써낸 투찰자를 '1등 미만 그룹'의 균형가격 배제범위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배제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상위 투찰가격의 과도한 배제를 지양해야 하고, 시설공사 적격심사제도의 낙찰하한율과 같이 낙찰률 저하를 막아줄 장치가 필요하다.

The comprehensive examination on tendering system has been introduced to the Cultural Heritage repair and restoration field since 2016 to remedy the repair issues of South Gate in 2014.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ried to attain the high performance of the cultural heritage repair and restoration works securing the proper payment for the repair and restoration works. It is high time to review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 comprehensive examination on tendering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EOTS"), as the system has been run for over 5 years to correspond with its original goal, i.e., "The Proper Payment in return for the High Performance of Repair and Restoration works."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114 tenders of CEOTS from 2016 to 202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114 tenders, firstly, more than half of bid winners were in the top 20% of repair & restoration capacity disclosure amount list, which mostly fulfilled the goal of 'attaining high performance.' Secondly, as the winning bid rate is decreasing from 86.847% in 2017 to 85.488% in 2020, the goal of 'guarantee of a proper payment' is not achieved yet. Thirdly, the influence of Economic Evaluation section in CEOTS has been grown since the change of scoring system in CEOTS in 2019. This study identifies two reasons why the winning bid rate of CEOTS has decreased. Firstly, it is caused by the fact that 'the group that got more than 1st place' and 'the first place group' that are more than half of the total bidders have the decreasing bidding rate trend as the years go by. Secondly, the exclusion rate of 'the group that got more than 1st place' is higher than the exclusion rate of 'the group that got less than 1st place', which means the expected winning rate would be lowered. It is proposed that the revision of CEOTS code is needed, i.e. easing the strict rule concerning the exclusion rate as well as setting up the lower bidding limit to prevent the excessive decreasing winning bid rate.

키워드

참고문헌

  1. 문화재청, 2015, 「문화재수리 입찰 및 계약제도 개선방안 마련 연구」
  2. 문화재청, 2017, 「문화재수리 계약예규(낙찰자결정기준) 적용 시범사업 모니터링 연구용역」
  3. 조달교육원, 2020, 「이론에서 실무까지 알기 쉽게 풀이한 대한민국 조달제도 기본서 3권 시설공사계약 편」, p.211.
  4. 대한건설협회, 2017, 「건설공사비 정상화 방안」, p.21.
  5. 문화재청, 2016, 2019, 「문화재수리 종합심사낙찰제 심사기준」
  6. 문화재청, 2021, 「문화재수리업자등 현황 및 지역별 등록현황(2021년 4월기준)」
  7. 조달청 2021, 「시설공사 적격심사세부기준」
  8.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18, 「공공공사비 산정 및 관리실태와 제도적 개선방안」, pp.102~103.
  9. 행정안전부, 2016, 2019, 「문화재수리 종합평가 낙찰자 결정기준」
  10. 행정안전부, 2021, 「지방자치단체 입찰시 낙찰자 결정기준」, pp.51~151.
  11. 기획재정부, 2021,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12. 행정안전부, 2021,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13. 조달청 나라장터(https://www.g2b.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