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tructing a Conceptual Framework of Smart Ageing Bridging Sustainability and Demographic Transformation

인구감소 시대와 초고령 사회의 지속가능한 삶으로서 스마트 에이징의 개념과 모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이현정 (경희대학교 주거환경학과 고령서비스-테크 융합전공) ;
  • 박정호 (경희대학교 주거환경학과 고령서비스-테크 융합전공)
  • Received : 2023.09.11
  • Accepted : 2023.12.05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As population ageing and shrinking accompanied by dramatically expanded individual life expectancy and declining fertility rate is a global phenomenon, ageing becomes its broader perspective of ageing well embedded into sustained health and well-being, and als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peeds up a more robust and inclusive view of smart ageing. While the latest paradigm of SA has gained considerable attention in the midst of sharply surging demand for health and social services and rapidly declining labor force, the definition has been widely and constantly discussed. This research is to constitute a conceptual framework of smart ageing (SA) from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the use of a series of secondary data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GIS), and to explore its componen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SA is considered to be an innovative approach to ensuring quality of life and protecting dignity, and identifies its constituents. Indeed, the construct of SA elaborates the multidimensional nature of independent living, encompassing three spheres - Aging in Place (AP), Well Aging (WA), and Active Ageing (AA). AP aims at maintaining independence and autonomy, entails safety, comfort, familiarity and emotional attachment, and it values social supports and services. WA assures physical, psycho-social and economic domains of well-being, and it concerns subjective happiness. AA focuses on both social engagement and economic participation. Moreover, the three constructs of SA are underpinned by specific elements (right to housing, income adequacy, health security, social care, and civic engagement) which are interrelated and interconnected.

전 지구적으로 기대수명 증가와 과학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인구 고령화와 함께 에이징에 대한 패러다임을 변화시켰고, 세계 최하위 저출산 국가인 한국은 인구 자연 감소 시대와 초고령 사회라는 복합적인 인구구조의 격변으로 새로운 국가 위기와 국정과제 해결에 직면하였다. 즉 노인 인구의 급증과 핵심노동인력의 급감으로 돌봄 수급의 심각한 불균형은 노후 삶의 질(Quality of Life) 향상, 인간 존엄성(Dignity) 보전, 자립 생활(Independent Living) 유지를 위하여 혁신적인 접근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4차 산업의 혁신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에이징이 지속가능한 삶의 가치를 실현시킬 수단으로 급부상하여 주목받고 있으나 학술적 정의나 사회적 합의의 부재 속에 관련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통합적 문헌고찰과 개념 분석의 접근을 활용하여 스마트 에이징의 개념과 그 모형을 구성하고자 한다. 먼저 에이징의 점증적인 패러다임 변화 속에 등장한 스마트 에이징의 개념과 속성을 살펴보았고, 그 구성요소인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 웰 에이징(Well Aging), 액티브 에이징(Active Ageing)를 도출하여 각 요소별 특징을 검토하였다. 스마트 에이징의 첫 구성요소인 에이징 인 플레이스는 친숙한 지역사회 내의 거주 연속성에 초점을 두고 주거기반의 자립 생활, 사회적 교류의 지속, 자기결정권의 존중, 잔존 능력의 최대한 활용 등을 촉진하는 에이징 친화적인 환경의 조성을 의미한다. 웰 에이징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신체적·정신적·사회적·영성적·경제적 조화로움, 균형적인 삶, 주관적인 행복을 중시하는 웰빙이 강조되는 반면 액티브 에이징은 적극적인 사회활동의 참여와 경제적인 노동활동의 참가를 통한 능동적 삶을 지향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토대로 스마트 에이징의 전제 조건으로서 주거보장, 소득보장, 의료보장, 돌봄보장, 참여보장을 제안하며, 이들 구성요소와 전제조건은 상호연관성을 지니며 뉴노멀 시대의 지속가능한 삶의 질에 일조할 것이다. 아울러 사용자 친화적인 스마트 에이징을 구현하기 위한 생태계 구축과 함께 에이지-테크(Age-Tech) 산업의 육성과 동향 파악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과제번호: 2023R1A2C1006288).

References

  1. 고용노동부(2017), "정부 최초의 「신중년 인생 3모작」 기반구축 계획 마련", 8월 9일자 보도자료, 세종. 
  2. 고용노동부(2023), "고령층의 숙련과 경험이 미래성장동력으로 이어지기 위한 고용전략: 제4차 고령자 고용촉진 기본계획(2023~2027)", 2월 7일자 보도자료, 세종. 
  3. 국토교통부(2017),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구축을 위한 주거복지 로드맵", 11월 29일자 보도자료, 세종. 
  4. 국토교통부(2021), 「2020년도 주거실태조사: 특성가구 연구보고서」, 세종: 국토연구원. 
  5. 김경호(2012), "웰에이징: 노년의 삶에 대한 여헌 장현광의 성찰", 「동양고전연구」, 49: 109~136. 
  6. 김두리.강경희.박아르마.이종형.김광환(2021), "국내 웰에이징 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2(3): 190~198.  https://doi.org/10.5762/KAIS.2021.22.3.190
  7. 김두리.박윤희.안상윤.황혜정.김광환(2022), "웰에이징 강사가 인식하는 '웰에이징' 의미 분석",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3(5): 61~67.  https://doi.org/10.15207/JKCS.2022.13.05.061
  8. 김명식(2020), "정년제, 연령차별주의, 웰에이징", 「생명연구」, 58: 25~45. 
  9. 김상일.최창택.임경환(2013), "미래 한국의 스마트 에이징을 위한 KISTEP 10대 미래유망기술", 「KISTEP 브리프」, 2월호. 
  10. 김수영.박지은.서현주.서해선.손희정.신채민.이윤재.장보형(2011), 「NECA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서울: 한국보건의료연구원. 
  11. 대한민국정부(2020), 「함께 일하고 함께 돌보는 사회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2021-2025」, 서울: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12. 보건복지부(2018), "지역사회 통합 돌봄 기본계획(안)", 11월 20일자 보도자료, 세종. 
  13. 보건복지부(2021a), "새로운 노인층의 등장, 달라지는 노인세대: 2020년 노인실태조사 결과 발표", 2월 7일자 보도자료, 세종. 
  14. 보건복지부(2021b), "의료부터 주거까지 새로운 '어르신 통합 돌봄서비스' 선보인다", 4월 1일자 보도자료, 세종. 
  15. 송현동(2018), "한국 죽음문화의 변화와 그 의미: 200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종교문화연구」, 31: 161~185. 
  16. 신성호(2017), "웰다잉의 통합적 사례 연구",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23(1): 1~31. 
  17. 유권종(2008), "한국 문화의 맥락에서 본 웰다잉의 조건과 방식", 「동양철학연구」, 55: 7~43. 
  18. 윤혜진(2016), "한국 노인의 여가 및 에이징 웰(aging well)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관광레저연구」, 28(7): 201~221. 
  19. 이상훈(2022), "중고령자들의 시간 이해가 '활동적 노화'(Active Aging)에 미치는 영향", 「기독교사회윤리」, 53: 381~409. 
  20. 이석원(2010),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의 시간활용 변화와 적극적 노년생활", 「노인복지연구」, 49: 51~80. 
  21. 이윤경.강은나.김세진.변재관(2017),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 거주(Aging in place)를 위한 장기요양제도 개편 방안」,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2. 이윤경.김세진.황남희.임정미.주보혜.남궁은하.이선희.정경희.강은나.김경래(2020), 「2020년도 노인 실태조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3. 이은영(2023), "초고령사회에서 에이징-테크와 웰-에이징의 공존성 연구: 노년의 인문학과 제론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 「인간과 자연」, 4(1): 101~124. 
  24. 이현정.임태균(2022), "비수도권 및 수도권 지역 가구의 주거수준과 주거비 변화",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3(4): 85~100.  https://doi.org/10.6107/JKHA.2022.33.4.085
  25. 이현정.남상준(2023), "전세 거주 청년 부부가구의 지역 간 거주환경 및 주거비 차이", 「LHI Journal」, 14(3): 17~36. 
  26. 임정미.이윤경.강은나.임지영.김주행.박영숙.윤태형.양찬미.김혜수(2019),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한 노인장기요양인력 중장기 확보 방안」,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7. 장병주(2018), "웰빙지향행동, 웰에이징, 여가태도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관광기업 이용객을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14(2): 23~47.  https://doi.org/10.35173/NATR.14.2.2
  28. Butler, R. N. and H. P. Gleason (1985), Productive Aging: Enhancing Vitality in Later Life, New York: Springer Publication Company. 
  29. Chapman, S. A. (2006), "A 'New Materialist' Lens on Aging Well: Special Things in Later Life", Journal of Aging Studies, 20(3): 207~216.  https://doi.org/10.1016/j.jaging.2005.09.001
  30. Golant, S. M. (2011), "The changing residential environments of older people", in Handbook of Aging and the Social Sciences (6th ed.), (ed) Binstock, R. H. and L. K. George, 207~220, Burlington, MA: Academic Press. 
  31. Gratton, L. and A.J. Scott (2016), The 100-Year Life: Living and Working in an Age of Longevity, New York: Bloomsbury Information.
  32. Lawler, K. (2001), Aging in Place: Coordinating Housing and Health Care Provision for America's Growing Elderly Population, Washington, DC: Joint Center for Housing Studies of Harvard University. 
  33. Moher, D. L. (2009),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1(4): 264~269.  https://doi.org/10.7326/0003-4819-151-4-200908180-00135
  34. Rowe, J. W. and R. L. Kahn (1987), "Human Aging: Usual and Successful", Science, 237: 143~149.  https://doi.org/10.1126/science.3299702
  35. Rowe, J. W. and R. L . Kahn (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4): 433~440.  https://doi.org/10.1093/geront/37.4.433
  36. Scott, A. J. and L. Gratton (2021), The New Long Life: A Framework for Flourishing in a Changing World, London: Bloomsbury Publishing. 
  37. UN Habitat (2009),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UN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38. Walker, L. O. and K. C. Avant (2011),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 5th ed.), Boston, MA: Prentice Hall. 
  39. Whittmore, R. and K. Knafl (2005), "The Integrative Review: Updated Methodolog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2(5): 546~553.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5.03621.x
  40. WHO (2002), Active Ageing: A Policy Framework,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41. Wiles, J. L., A. Leibing, N. Guberman, J. Reeve and R. E. S. Allen (2012), "The Meaning of "Aging in Place" to Older People", The Gerontologist, 52(3): 357~366.  https://doi.org/10.1093/geront/gnr098
  42. 법제처(2023), "국가법령정보센터", 2023.8.25. 읽음. https://www.law.go.kr/. 
  43. Statistics Korea (2023a), "Statistical Database", Accessed 25 August, 2023. http://kosis.kr/. 
  44. Statistics Korea (2023b), "Statistic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GIS)", Accessed Aug. 25, 2023. https://sgis.kostat.go.kr/. 
  45. UN (2023), "United Nations Data Portal", Accessed August 25, 2023. http://data.un.org/Default.as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