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Lead-Lag Relationship between KRX Construction Index and Business Survey Index

KRX건설 주가지수와 기업경기실사지수 간의 선행-후행 관계

  • 유한수 (극동대학교 미래교양대학)
  • Received : 2023.10.05
  • Accepted : 2023.11.16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KRX Construction' and 'Business Survey Index'. KRX Construction is a leading economic indicator of construction industry, implying the potential interdependence with BSI Construction. Previous papers hav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eased stock price index and BSI. Using Granger causality test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BSI Construction is associated with the trend and noise-trading components of KRX Construction, respectively. The decomposition of KRX Construction of trend and noise-trading is based on the state-space model. The results document unilateral Granger causalities from released KRX Construction, trend component, noise-trading component to BSI Construction. In sum,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construction company CEOs view stock price index as a leading economic indicator.

본 연구에서는 'KRX건설 주가지수'와 '건설업 기업경기실사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공표된 주가지수를 '추세요소'와 '잡음거래요소'로 분해하여 '주가지수 추세요소'와 '건설업BSI' 간의 관계, '주가지수 잡음거래요소'와 '건설업BSI' 간의 관계에 대해서 분석하였다는 측면에서 기존연구들과 차별을 두었다. Granger 인과관계 검정 결과에서는 '공표된 KRX건설', '추세요소', '잡음거래요소' 모두 '건설업BSI'에 대해 단방향의 Granger 인과관계가 존재함을 보였다. 즉, 추세요소는 건설업BSI를 선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식시장의 일시적 심리적 요소, 과잉 반응 등에 의해 생성되는 '잡음거래요소'도 '건설업BSI'에 대해 선행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와 같이 건설업 주가지수의 움직임이 건설업 경영자들의 기대심리에 선행한다는 연구결과는 건설업 경영자들의 투자의욕에 주식시장의 움직임이 영향을 준다는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23년도 극동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된 것임(FEU2023R02)

References

  1. 김명직.장국현(2002), 「금융시계열분석」, 서울: 경문사. 
  2. 김주일(2021), "BSI는 기업경기를 예측할 수 있는가?: BSI와 주가지수와의 상호연관성을 중심으로", 「전문경영인연구」, 24(1): 353~368. 
  3. 김주일.김병률(2016), "서비스 산업에서 전경련 BSI 지수는 주식시장을 예측할 수 있는가?", 「서비스연구」, 6(3): 41~54.  https://doi.org/10.18807/jsrs.2016.6.3.041
  4. 박재환(2005), "소비심리지수, 투자자심리지수와 주식수익률", 「금융연구」, 10(2): 199~224. 
  5. 유한수(2022), "아파트가격지수와 네이버 트렌드지수 간의 연관성", 「LHI Journal」, 13(4): 45~53. 
  6. 장병기.최종일(2000), "주가, 기대심리, 거시경제변수의 장기균형관계: Cointegration을 중심으로", 「재무관리연구」, 18(2): 125~144. 
  7. Clark, P. K. (1987), "The Cyclical Component of U.S. Economic Activity",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02(4): 797~814.  https://doi.org/10.2307/1884282
  8. Hsu, C. C., H. Y. Lin and J. Y. Wu (2011), "Consumer Confidence and Stock Markets: The Panel Causality Evid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3(6): 91~98. https://doi.org/10.5539/ijef.v3n6p91
  9. Huseynli, N. (2022),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Confidence Index and BIST 50 Index", Journal of Eastern European and Central Asian Research, 9(6): 1107~1116. https://doi.org/10.15549/jeecar.v9i6.1222
  10. Miranda, P. (2016), "Who Influences Who? The Relation Between Index Returns and Consumption Surveys", Journal of Accounting and Finance, 16(7): 26~39. 
  11. Sariannidis, N., G. Giannarakis, X. Partalidou and B. Evangelos (2017), "The Effect of 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 on Consumer Sentiment Index", Investment Management and Financial Innovations, 14(1): 89~95. https://doi.org/10.21511/imfi.14(1).2017.09
  12. Schmeling, M. (2009), "Investor Sentiment and Stock Returns: Some International Evidence", Journal of Empirical Finance, 16(3): 394~408.  https://doi.org/10.1016/j.jempfin.2009.01.002
  13.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 2023.9.7. 읽음. http://data.krx.co.kr. 
  14.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2023.9.7. 읽음. http://ecos.bok.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