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Real Estate Investment Factors in Investors of Sejong City on Investment Performance and Reinvestment Intention

세종시 투자자의 투자요인이 투자성과와 재투자의향에 미치는 영향

  • 박태복 (태복부동산투자컨설팅) ;
  • 정재호 (목원대학교 부동산금융보험학과)
  • Received : 2023.11.06
  • Accepted : 2023.12.08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Investors should understand and actively consider factors like location, future value, policies, pricing, market trends, and their income, as these elements can shift with changing local, social, economic, and policy environments. This study seeks to clarify the impact of investment factors on the performance and reinvestment intentions of Sejong City investors by surveying those who have invested in real estate. This study employ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cusing on four aspects: value, economic and policy, psychological, and financial. We find that the investment value factor has the largest impact on investment performance, indicating that investors prioritize the investment value of real estate in Sejong City. In addition, factors increasing asset value and expected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indicating that real estate investment in Sejong City yields high returns and investor satisfaction. with a positive outlook for future reinvestment.

본 논문에서는 세종시 부동산 투자요인이 투자성과와 재투자의향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연구하였다. 세종시 부동산에 투자한 경험이 있는 투자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세종시 부동산 투자요인이 투자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투자성과가 투자만족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재투자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계성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가설을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술통계와 확인적 요인분석 및 모형 적합도 분석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각 경로계수의 유의성 검증 결과, 가치적 측면, 정책적 측면, 재정적 측면의 투자요인은 투자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기에서 가치적 측면에 해당하는 지역선정, 투자가치, 입지선정 요인이 세종시투자를 결정하는데 더 큰 비중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정책적 측면의 투자요인은 투자성과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부동산정책, 물가/경기, 부동산시장 요인이 부정적 상황으로 변화하여도 세종시 부동산 투자성과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투자성과가 투자만족도와 재투자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투자만족도 역시 재투자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동산 투자요인 항목 중에서 세종시 부동산의 중요한 투자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지역선정, 투자가치, 부동산정책, 언론매체 요인의 경로계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수익성, 자산가치, 부동산성과, 부동산만족, 가치상승 요인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세종시 부동산투자는 투자성과와 함께 투자만족도가 높고 향후 재투자에도 매우 긍정적이라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환(2022), "국내 주거용 부동산시장과 투자자 심리의 관계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 김원식(2019), "부동산투자자의 심리요인이 투자성과 및 재투자 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3. 김필헌(2021), "재개발지역의 투자결정요인이 투자 만족도와 재투자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천광역시 재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4. 김홍중.이호병(2017),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기관투자가 오피스빌딩 투자의사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69: 29~42.
  5. 백준석.연철수(2017), "투자자별 부동산 선호요인이 재투자 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부동산경영」, 15: 31~50.
  6. 이용길(2022), "부동산 투자자의 선호특성이 투자성과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7. 최차순(2021), "주택시장과 주식시장 간의 정보 이전 효과의 연구", 「LHI Journal」, 12(3): 27~37.
  8. 하수형(2020), "부동산 투자자의 투자결정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광주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