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ement of the Architectural Environment by Applying Photocatalyst Building Materials and Ventilation Systems

광촉매 건축자재와 환기시스템 적용에 따른 건축 환경 개선 방안

  • Received : 2023.10.16
  • Accepted : 2023.12.13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People who spend most of their day indoors are continuously exposed to internally and externally generated indoor pollutants. According to a 2022 report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ir pollution is the cause of more than 7 million deaths annually worldwide, emphasizing the seriousness of indoor air pollutants. Air pollutants include nitrogen oxides (NOx), formaldehyde (HCHO),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which have serious effects on the human body. Photocatalyst is a material that can remove these indoor air pollutants. Photocatalysts not only have the ability to remove dust precursors, but also have antibacterial, sterilizing, and deodorizing functions, making them effective in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This study suggests areas and methods in which photocatalysts can be applied to buildings. Fields of application include interior and exterior construction materials such as concrete, as well as organic paints and ventilation devices. If appropriate utilization plans are developed, it may be possible to improve the built environment through reduced indoor and outdoor pollutant levels.

하루 평균 대부분을 실내에서 보내는 현대인들은 내외부적으로 발생하는 실내오염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있다.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2022년 보고서에 따르면 매년 세계적으로 약 700만명 이상의 사망 원인이 공기오염으로 실내오염물질의 심각성을 강조하고 있다. 대기오염물질 중에는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질소산화물(NOx), 폼알데하이드(HCHO),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이 포함되는데, 이러한 실내공기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물질로 광촉매가 있다. 광촉매는 미세먼지 전구물질 제거 성능뿐만 아니라 향균, 살균, 탈취 성능 또한 가지고 있어, 실내공기질 개선에 효과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촉매를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는 부위 및 방안을 제시하였다. 적용 가능한 부위로는 내외장재, 콘크리트 등을 포함한 건축자재, 유기도료, 환기장치 등이 있으며, 각 부위에 최적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연.김형근.박진철(2020), "초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광촉매 외장도료의 질소산화물 제거 성능 현장실험 분석", 「설비공학논문집」, 32(12): 582~592.
  2. 박기준.박정준.최은석.곽종원.김성욱(2019), "광촉매를 사용한 패널용 HPFRCC의 NO 제거 성능 평가", 「한국콘크리트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31(2): 549~550
  3. 박채울.최병철.이상수(2019), "광촉매(TiO2)를 혼입한 도료의 대기오염물질 저감 특성",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9(2): 686~687.
  4. 방주예.임세현.심성진.김성은.송용우.박진철(2023), "광촉매 환기시스템을 이용한 폼알데하이드 오염 농도저감 성능 실험",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3(4): 29~34. https://doi.org/10.12813/kieae.2023.23.4.029
  5. 서승훈.강영언.전승헌.권시원.김병일(2018a), "광촉매 활용 광투과 노출콘크리트 블록 및 거푸집 개발", 「한국건축시공학회」, 18(2): 16~17.
  6. 서승훈.김태완.오상근.김병일(2018b), "저비용 고성능 광촉매의 광투과 노출콘크리트 적용 방안", 「한국콘크리트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30(2): 485~486.
  7. 송용우(2022), "이산화티탄 광촉매 환기장치의 오염물질 저감 실험", 「LHI Journal」, 13(2): 117~123.
  8. 송용우.김민영.김미연.박진철(2019), "광촉매 페인트와 UV 램프의 NOx(질소산화물) 농도 변화 Mock-up 실험", 「설비공학논문집」, 31(9): 411~419. https://doi.org/10.6110/KJACR.2019.31.9.411
  9. 유재윤.송용우.정민희.박진철(2021), "광촉매 환기덕트에서의 UV 조사율에 따른 NOx 저감 실험",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1(1): 286~287.
  10. 유형규.박진철.이언구(2005), "실내 건축자재 폼알데하이드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1(7): 141~148.
  11. 정용기.송용우.김성은.유재윤.박진철(2021), "환기덕트에서 광촉매코팅 면적변화에 따른 NOx 농도저감 실험"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37(8): 147~152.
  12. 최유진.고준호.이세희.신상희(2008), "교통-대기질 연계데이터 구축 및 관리 활용방안 연구",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서울: 서울시청개발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