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Young People's Housing and Employment Characteristics on Willingness for Marriage

청년층의 주거와 취업특성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2.12.05
  • Accepted : 2023.03.13
  • Published : 2023.03.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housing-related characteristics of unmarried youth using occupational history data from the 10th-14th (2016-2020) youth panel (YP2007)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and employment. Their effect on marriage intention was empiricall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highly educated people, high-wage workers, household heads or economically independent young people, and young people in good financial conditions have a high willingness to marry. Their economic conditions are very important factors. Among the young employed who have become economically independent from their parents, full-time permanent workers, workers at large corporations, and highly waged youth showed a strong desire to get married. On the contrary, young people who are insecure temporary/daily workers, workers at small firms, and low-wage workers show a low willingness to marry. In conclusion, the results imply that young people who are in a vulnerable state in the labor market are giving up or delaying their marri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policies to provide better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youth and, simultaneously, revamp the policy measures to enhance housing conditions.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P2007) 10-14차(2016~2020년) 직업력 자료를 이용하여 미혼 청년층의 주거 관련 특성 현황들을 살펴보고, 주거의 특성들과 취업한 일자리의 특성들이 결혼 의향(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고학력층, 고임금 취업자, 가구주이거나 경제적으로 독립한 청년층, 경제적으로 재정상태가 좋은 청년층은 결혼 의지가 높게 나타나고 있어 경제적 여건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부모로부터 경제적으로 독립한 상당수의 청년취업자 중에서도 상용직, 대기업, 고임금의 청년층은 결혼할 의향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 임시/일용직, 중소기업, 저임금의 고용상태가 취약한 청년층은 결혼에 대한 의향도 낮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노동시장에서 취약한 상태에 있는 청년층의 경우도 자신의 생애과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결혼에 대해서도 포기하거나 미루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청년층의 일자리 문제에 대한 개선과 지원정책을 강화함과 동시에 주거문제의 개선 및 대책도 충분히 검토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선강.어성연(2013), "30대 미혼남녀의 결혼의향에 대한 경제자원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63~79.
  2. 기윤환(2022), "청년.신혼부부의 주거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인천시를 중심으로", 「LHI 저널」, 13(4): 13~26.
  3. 김문길.김미곤.김태완.최민정.이세미(2015), 「청년근로빈곤층(Youth Working-Poor) 사례연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 김선주(2020), "1인가구의 연령대별 특성과 주거만족도", 「주택도시연구」, 10(1): 39~62.
  5. 김혜영.선보영(2011),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결정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 12(2): 3~35. https://doi.org/10.22862/KJSR.2011.12.2.001
  6. 도난영.최막중(2018), "지역주택가격이 결혼연령 및 첫째, 둘째 자녀 출산시점에 미치는 영향", 「주택연구」, 26(2): 163~189.
  7. 문선희(2012), "미혼여성의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이 결혼의향과 기대결혼 연령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7(3): 5~25.
  8. 박미선.이재춘(2018),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주택정책 대응 방안」, 국토정책브리프, 세종: 국토연구원.
  9. 변수정.조성호.이지혜(2018), 「청년층의 주거특성과 결혼 간의 연관성 연구 」,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0. 이태진.김태완.정의철.최은영.임덕영.윤여선.최준영.우선희(2016), 「청년 빈곤 해소를 위한 맞춤형 주거지원 정책방안」,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1. 이현정.임태균(2022), "청년층 가구의 주거실태 변화에 관한 종단 분석", 「LHI 저널」, 13(2): 31~47.
  12. 임보영.강정구.마강래(2018), "지역의 주택가격이 결혼과 자녀 출산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53(1): 137~151. https://doi.org/10.17208/jkpa.2018.02.53.1.137
  13. 진미정.정혜은(2010), "미혼남녀의 결혼 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 가치관의 영향 추세 연구: 2005년,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자료 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3(3): 31~51.
  14. 탁현우(2017), "저출산대책-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지연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3~2036.
  15.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Youth Panel (YP2007) 10th-14th (2016-2020)". (in Korean)
  16. 황광훈(2021), "청년층은 희망직업으로 취업하고 있는가", 「직업능력개발연구」, 24(3): 57~83.
  17. 황광훈(2022), "수도권 및 비수도권 청년층의 주거특성 및 주거특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LHI Journal」, 13(3): 21~38.
  18. Feijten, P. and C. H. Mulder (2002), "The Timing of Household Events and Housing Events in the Netherlands: A Longitudinal Perspective", Housing Studies, 17(5): 773~792. https://doi.org/10.1080/0267303022000009808
  19. Lauster, N. T. and U. Fransson (2006), "Of Marriages and Mortgages: The Second Demographic Transi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and Home ꠓownership in Sweden", Housing Studies, 21(6): 909~927. https://doi.org/10.1080/02673030600917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