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online writing contents on the learning strategy, achievement motivation, knowledge sharing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the case of K University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가 대학생의 학습전략, 성취동기, 지식공유태도에 미치는 영향: K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차승봉 (호서대학교 유아교육과 ) ;
  • 박혜진 (건국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
  • Received : 2022.12.16
  • Accepted : 2023.01.21
  • Published : 2023.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online writing contents on college students' learning strategy, achievement motivation, and knowledge sharing attitudes. Online writing contents were developed in the 4th class and operated as a extracurricular. The contents were developed in 25 minutes and included quizzes for learning activities. Changes in learning strategy, achievement motivation, and knowledge sharing attitude were analyzed for 149 students who finally completed online writing contents operated as a extracurricula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online writing cont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students' learning strategy, achievement motivation, and knowledge sharing attitude. Online contents is not limited by time and space, and since it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learning plan, the utilization effect is attracting atten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various studies such as developing contents tailored to the needs of students and analyzing their effects.

Keywords

Ⅰ. 서론

대학에서 온라인 교육의 활용은 원격수업이라는 틀 아래 이러닝, 플립러닝, 블랜디드 러닝 등 콘텐츠를 개발하여 학습관리시스템(LMS)을 통한 수업 운영과 자료를 공유·전달하는 수준에 불과했다. 하지만 COVID-19의 출현으로 인해 국내 대학의 학사 운영은 전면 비대면으로 전환되었고, 2022년 상반기까지 COVID-19의 장기화로 인해 많은 대학에서는 대면수업과 실시간 온라인 강의 등을 병행하여 수업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비대면 환경에서의 교수-학습에 대한 인식은 확대될 수 밖에 없으며, 대학차원에서는 온라인을 통한 교육활동에 높은 역량이 요구된다.

온라인 교육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유형은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식인데[1], 각 대학에서도 COVID-19가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2020학년도에는 Webex(웹엑스), Zoom 등의 화상회의시스템을 활용한 실시간 강의보다 온라인 콘텐츠를 주로 활용하는 녹화강의 방식의 수업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2]. 이후 비대면 환경에서의 수업이 지속되면서 온라인 콘텐츠로 운영되는 수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호작용을 보완하고자 실시간 수업을 확대해가고 있으나, 여전히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것은 온라인 콘텐츠를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3].

COVID-19로 인한 대학교육의 변화는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와 질적 제고를 위한 방안 탐색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에도 영향을 주었는데, 교양과 전공 등 정규 교과목을 포함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에도 온라인 콘텐츠의 개발·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COVID-19 초기에는 갑작스럽게 전환된 비대면 환경에서의 정규 수업을 가능하면 제대로 운영하기 위한 방법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하지만 대학기관평가인증, 대학교육 혁신지원사업, 교육역량강화사업 등 각종 교육부 평가와 국책사업에 학습, 진로 및 취·창업, 상담 등 학생지원 영역에 실적과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비대면 환경에서 지원할 수 있도록 재설계하여 운영하고 있다. 즉, 교육부의 다양한 재정지원사업에서도 비교과 활동의 운영과 효과는 중요한 평가 요소로서 강조되고 있으며[4], 각 대학에서도 인재상과 교육목표에 맞는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특색을 살린 다양한 비교과를 운영하고 있다[5].

학생학습역량강화 영역을 예로 들면, 많은 대학에서는 학습법 특강(워크숍), 학습클리닉이나 코칭 등 상담 프로그램, 멘토링과 학습공동체 등 협력학습 프로그램, 학생들의 학업적 성장과 변화 그리고 학습방법을 교내에 공유하기 위한 공모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운영되고 있다. 이처럼 수많은 프로그램은 교수학습지원센터의 전문인력이 주도하여 비대면 환경에서 운영될 수 있도록 재설계하고 있으며, 운영 횟수와 경험이 증가하면서 고도화되어 운영되고 있다.

비대면 환경에서 운영한 비교과 프로그램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이선정[6]은 교과-비교과 연계 프로그램으로 기초영문법을 학습관리시스템을 활용한 영문법 동영상 강의와 Zoom을 활용한 모니터링 및 퀴즈활동, 일대일 상담 등을 지원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차승봉, 박혜진[7]은 학사경고자를 대상으로 운영된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는데, 6차시의 영상 콘텐츠, 학습전략 진단, 성찰 과제 등이 비대면 상황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실제 적용하였다. 신희선[8]의 연구에서는 온라인 독서토론대회를 개최하여 토론 팀의 참가 동기와 비대면 환경에서 학생들의 비교과 활동을 촉진하는 요인을 분석한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밖에 온라인 글쓰기 상담실을 운영하여 글을 더 잘 쓸 수 있도록 변화됨과 동시에 새로운 학습경험의 장을 마련해 주고,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켜준 연구[9]도 수행되었다. 이처럼 비대면 환경에서의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습자 특성별(전체 재학생, 학사경고자 등), 유형별(실시간, 온라인 콘텐츠 활용), 형태별(특강, 협력학습, 멘토링)로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비교과 프로그램 중 하나인 학습워크숍을 온라인 콘텐츠로 개발하여 실제 운영하고 난 뒤,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가 소속되어 있는 K 대학의 경우, 2020학년도 1학기부터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운영되는 모든 프로그램을 전면 비대면에서 운영될 수 있도록 재설계하였으며, 학생요구조사 등을 반영하여 일회성 특강 형식의 워크숍이 아닌 시리즈로 구성하여 지원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워크숍을 운영하기 위해 이론적 접근부터 사례까지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온라인 콘텐츠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온라인 콘텐츠는 학습관리시스템을 통해 학생들이 수강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학습워크숍이 종료되고 난 뒤, 학생들의 요구를 고려하여 개발한 온라인 콘텐츠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비교과 교육과정에서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할 때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2.1 학습전략

학습전략은 정보 획득, 저장, 활용하는 것을 촉진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다양한 학습 영역에 걸쳐 학업성취를 증진시키기 위해 활용되는 사고전략이다[10]. 학습전략에 대한 관심은 능동적인 학습자관을 바탕으로 한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하는 교육 패러다임에 맞춰 더욱 증대되고 있다[11]. 학습전략은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필수 요소로 학습전략을 인지전략, 초인지전략, 자원관리 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다[12]. 인지전략은 정보처리과정 중에 정보를 획득하고, 조직화하고, 저장 및 인출을 촉진하는 전략으로 정의된다. 초인지전략은 학습자가 자신의 인지과정에 대한 인지 및 조절을 위한 것으로 학습계획, 점검, 평가 등을 말한다[13]. 자원관리전략은 시간관리, 공부환경관리, 노력관리, 타인 조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습전략은 글을 쓸 때도 활용될 수 있는데, 주제에 따른 자신의 생각을 정교화하는 방법,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글을 작성할 때 중요한 키워드를 떠올려 표현하는 방법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글쓰기는 글을 쓰는 사람이 자기주도적으로 생각을 통제하고 조절하여 글의 내용과 방법, 시간의 사용, 정보 수집 등을 결정하게 된다[14]. 이처럼 학습전략은 글쓰기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데, 글쓰기에 적합한 환경을 선택하는 것은 학습전략 중 공부환경관리 및 조절과 연관이 있으며, 글을 쓰기 위해 아이디어나 방법을 기록하고 기억하는 것은 정보를 조직화하고 저장 및 인출을 촉진하는 인지전략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2.2 성취동기

성취동기는 개인이 특정 과업이나 목표를 성취하고자 하는 의지에 대한 것으로 목표지향적인 행동이 활성화되고 지속되는 과정이다[15]. 학습에서의 성취동기는 학습자, 수업, 과제, 교수-학습 환경 변인 가운데 학습효과를 위해 주요하게 고려되는 변인이다. 이에 성취동기는 학습을 하고자 하는 의지로 학습의 원동력을 제공하고 학습효과를 결정하게 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한다[16]. 이처럼 성취동기는 인간의 동기 체계 중 하나로, 어려운 일을 이루고자 하는 욕망과 어려움을 극복하고 높은 수준의 성취를 얻고자 하는 것을 의미할 때[17] 본 연구에서의 성취동기는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를 수강하고 난 뒤, 학습자들이 다양한 글쓰기 영역에서 글을 체계적으로 잘 작성하고자 하는 욕구, 높은 수준의 주제이지만 글을 끝까지 완성시키고자 하는 욕망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2.3 지식공유태도

지식공유는 특정 영역에서의 지식을 저장하고 전파하며 습득하는 개념으로[18], 개인의 지식이 타인에게 이해, 흡수, 활용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되는 과정으로 인식할 수 있다[19]. 이러한 지식공유는 개인의 태도 측면에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지식이나 기술 등 다양한 정보를 소속되어 있는 집단에 전파하려는 것을 의미한다. 지식공유태도는 지식공유에 대해 학습자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수준으로[20] 지식공유를 통해 개인 지식이 소속 집단에 확산되어[21] 새로운 지식과 학습문화를 창출이 가능하다. 지식공유는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을 교환하려는 활동으로 설명될 수 있지만, 지식공유 차원을 개인이 지식을 전달하는데 그치지 않고, 지식공유 활동을 통해 지식을 확장하는 것을 의미있게 인식하는 등 학습자의 긍정적인 인식 수준으로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지식공유태도는 개인의 경험이나 특정 활동을 통해 획득한 지식을 타인과 기꺼이 공유하려는 의지와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를 통해 습득한 서사적 글쓰기와 분석적 글쓰기의 특징과 작성법, 에세이 형식의 다양한 공모전 참여 성공 전략 등의 내용을 지식의 공유와 확장 차원에서 대학의 동료 학습자에게 충분히 공유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지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Ⅲ.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북도 소재 K 대학에서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운영된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를 수강한 학생들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 수강 이후의 학습전략, 성취동기, 지식공유태도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를 수강하기 이전인 프로그램 신청 단계에서 사전 조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 수강은 2022년 9월 26일부터 10월 7일까지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도록 했으며, 운영 기간이 종료된 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 인원은 총 149명이며, 이들의 성별, 단과대학, 학년별 분포는 <표 1>과 같다.

<표 1> 연구 대상 특성

DGTSA8_2023_v19n1_1_t0001.png 이미지

3.2 측정 도구의 구성 및 검정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 수강의 효과로 학습전략, 성취동기, 지식공유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문항을 적용하였으며, 모두 리커트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학습전략 측정을 위해 선행연구[22]를 참고하여 대학생이 사용하기 쉽고 많이 활용할 것이라고 제안한 10가지 학습전략 중 요약, 기억술, 반복 읽기 등의 학습전략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본 연구의 맞게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성취동기는 특정 활동에 대한 열정, 자신감, 희망 등의 하위 요인이 포함되며, 어떤 일을 이루기 위해 정성을 다하는 마음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열정인 과업지향성과 전략적 혁신성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선행연구[23]에서 채택하여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 후 사용하였다.

지식공유태도는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 수강을 통해 습득한 지식과 글쓰기 기술 등을 포함한 정보를 동료 학습자와 공유하는 것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선행연구[20]를 참고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선정한 변인별 조작적 정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전략은 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사고나 행동 등으로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를 수강하고 난 뒤, 기억, 암기, 읽기 전략 등을 활용하여 자신의 학습활동에 충분히 적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성취동기는 자신의 능력에 비추어 다소 어려운 일이나 성취에 보람을 느끼는 일을 가치있게 인식하고 계속적으로 도전하려는 과업지향적 노력으로 글쓰기 관련 과제가 어렵더라도 이를 해내고자 하는 의지로 정의하였다. 지식공유태도는 지식을 공유하는 행위 자체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수준으로 자신이 알고 있는 글쓰기 등 전반적인 학습과 관련된 정보를 기꺼이 공유하고자 하는 태도로 정의하였다.

<표 2> 요인분석 결과

DGTSA8_2023_v19n1_1_t0002.png 이미지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 도구의 타당성 검정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KMO 측도는 .915로 나타났으며,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결과는 .000으로 나타나 요인 적합성이 판명되었다. 각 항목의 공통성은 .5 이상으로 추출된 요인의 타당성은 확보되었으며, 또한 총 누적 변량은 72.090%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Cronbach's ɑ 계수를 통해 측정 문항의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신뢰도 계수는 <표 3>과 같이 .821~.929 범위로 나타나 항목 간 내적 일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60 미만의 계수가 나타난 항목은 없어 제외된 문항은 없었다.

<표 3> 측정 도구 신뢰도

DGTSA8_2023_v19n1_1_t0003.png 이미지

3.3 연구 절차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K 대학에서 학생들의 학습역량 강화의 일환으로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운영될 온라인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개발된 온라인 콘텐츠는 개별 학생들마다 상이한 수업 시간과 개인 활동 등을 고려했을 때, 많은 학생이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적용하였다.

온라인 콘텐츠 주제는 글쓰기와 관련된 ‘에세이 작성법’으로 총 4개의 콘텐츠로 개발되었다. 각각의 콘텐츠는 25분의 분량으로 구성되었으며, 세부 내용은 에세이의 장르적 특징과 에세이 종류, 서사적 글쓰기와 분석적 글쓰기의 특징과 작성법, 공모전 에세이 성공 전략 등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학생들이 실제 온라인 콘텐츠를 수강하고 난 뒤, 교내·외 다양한 공모전에 도전할 수 있도록 K 대학의 공모전 수상작을 공유하여 구체적인 에세이 작성 방법에 대한 사례도 포함하였다.

둘째, 개발된 온라인 콘텐츠는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수강에 대한 강제성이 없도록 K대학의 비교과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수강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자유롭게 신청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200명의 학생이 신청했으며, 신청 단계에서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사전 진단을 진행하였다.

셋째,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 수강에 대한 신청 기간이 종료되고 난 뒤, 학습관리시스템(LMS)을 통해 2022년 9월 26일부터 10월 7일까지 2주간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도록 운영하였다. 또한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를 수강하는 수동적인 학습에 벗어나고자 차시별 5문항(4차시 총 20문항)의 퀴즈를 출제하여 수강하는 학생들이 습득한 내용을 상기시키고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넷째,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의 수강 기간이 종료되고 난 뒤, 최종 이수한 학생들을 파악하였다. 총 200명의 신청 인원 가운데 149명의 학생들이 모든 차시의 콘텐츠를 수강 완료하였다. 이후 14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사후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이들의 학습전략, 성취동기, 지식공유태도에 대한 사전-사후 진단결과를 취합하여 분석하였다.

3.4 자료 수집 및 분석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온라인 설문 조사로 수행하였으며, 10월 10일부터 10월 14일까지 설문 응답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처리하였다. 자료의 점검을 위해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성별, 학년, 전공 계열 등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인별(학습전략, 성취동기, 지식공유태도) 문항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학년과 전공계열에 따라 사후 측정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4개로 구성된 학년과 전공계열에 따라 사전 평균 점수의 차이 유무를 검정하기 위해 ANOVA를 실시하였다. 이와같은 이유는 학년의 경우, COVID-19 전후에 따라 온라인 콘텐츠의 접근성과 친밀감으로 인해 사후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며, 전공계열의 경우, 온라인 콘텐츠의 주제가 글쓰기와 관련된 에세이 작성법이기 때문에 인문·사회계열 소속의 학생들과 주제 밀접성이 높을 수 있어 사전 점수의 차이가 없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측정 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넷째,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를 수강한 학생들의 학습전략, 성취동기, 지식공유태도의 사전, 사후 값의 평균 및 표준편차 등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수행하였으며,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 수강으로 인해 대학생의 학습전략, 성취동기, 지식공유태도가 향상했는지 살펴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Ⅳ. 연구 결과

4.1 변수의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에서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의 효과성을 분석하기에 앞서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세부적으로 학습전략은 성취동기(r=.695), 지식공유태도(r=.707)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성취동기는 지식공유태도(r=697)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상관계수는 .4~.8 범위에 있을 때 중간 정도 수준의 상관성을 가진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24].

<표 4> 상관관계 분석

DGTSA8_2023_v19n1_1_t0004.png 이미지

**. 상관관계가 0.01 수준에서 유의합니다(양측).

4.2 기술통계 분석

본 연구에서 선정한 변인인 학습전략, 성취동기, 지식공유태도의 문항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문항의 평균이 사후 응답 값이 높은 것으로 <표 5>와 같이 확인되었다.

<표 5> 기술통계 분석

DGTSA8_2023_v19n1_1_t0005.png 이미지

4.3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 수강 대학생의 학습전략, 성취동기, 지식공유태도의 변화

본 연구는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의 수강을 통해 대학생의 학습전략, 성취동기, 지식공유태도 향상에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에 앞서 학년별, 전공계열별 사전 평균값의 차이가 클 경우, 사후 측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동질성 검정을 시행하였다. 이는 연구 대상의 학년과 전공계열에 따라 사후 값의 차이를 가져올 수 있는데, 학년의 경우 3~4학년에 비해 1~2학년의 경우, COVID-19로 인한 비대면 교육환경에 노출 빈도가 높아 온라인 콘텐츠로 학습하는데 친밀도가 높은 경향을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공계열의 경우, 본 연구에서 적용한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의 주제가 글쓰기와 관련된 에세이 작성법으로 인문·사회계열의 학생인 경우, 해당 주제에 대한 관심도나 활용도가 높을 수 있기 때문에 타 전공계열과의 사전 평균값의 차이를 보일 수 있어 동질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즉, 학년과 전공계열 등 집단 간의 차이는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대응표본 t검증에 앞서 측정 변인에 대한 사전 평균값의 차이 여부를 검정하였다. 먼저, 학년에 따른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ANOV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표 6>과 같이 학습전략, 성취동기, 지식공유태도에 있어 학년 집단에 의한 사전 평균값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

<표 6> 학년별 사전 평균 점수 차이

DGTSA8_2023_v19n1_1_t0006.png 이미지

다음으로 전공계열에 따라 사전 평균 점수의 차이 유무를 검정하기 위해 마찬가지로 ANOVA를 실시한 결과 <표 7>과 같이 전공계열에 따라 측정 변인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표 7> 전공계열별 사전 평균 점수 차이​​​​​​​

DGTSA8_2023_v19n1_1_t0007.png 이미지

연구 대상의 집단(학년별, 전공계열)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측정값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온라인 콘텐츠 수강 이후의 측정·분석은 학년과 전공계열별 구분 없이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운영된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해당 콘텐츠를 수강하고 난 뒤, 대학생의 학습전략, 성취동기, 지식공유태도가 향상되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전략의 사전 평균이 4.37점에서 사후 평균이 4.63점으로 .26점 향상되었으며, t=-3.526으로 p<.05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동기의 경우, 사전 평균이 4.37점에서 사후 평균 4.54점으로 .16점 향상되었으며, t=-2.237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공유태도는 사전 평균 4.37점에서 사후 평균 4.61점으로 .24점이 향상되었으며, t=-3.230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는 대학생의 학습전략, 성취동기, 지식공유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학습전략에 대한 사전-사후 평균 값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나 에세이를 작성하는 방법과 기술 등을 활용하는 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표 8> 대응표본 t검증 결과​​​​​​​

DGTSA8_2023_v19n1_1_t0008.png 이미지

Ⅴ. 결론 및 제언

5.1 논의 및 시사점

본 연구는 대학에서 온라인 콘텐츠를 운영하고,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나타날 수 있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학습전략, 성취동기, 지식공유태도의 변인을 선정하여 해당 변인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세이 작성법이라는 주제로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를 개발하여 운영한 결과, 참여한 학생들의 학습전략, 성취동기, 지식공유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대응표본 t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각 변인의 사전 점수가 높은 편인데도 불구하고, 사후 평균이 모두 향상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를 가져왔다. 이는 연구 대상자의 학년과 전공계열에 상관없이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의 효과가 검증된 것으로 COVID-19 이후, 비대면 환경에서의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경험이 쌓이면서, 온라인 콘텐츠의 친밀감이 연구 결과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실시간 방식과 다르게 반복적으로 수강할 수 있다는 점과 대면 방식으로 운영되는 프로그램과 달리 시·공간의 제약을 벗어나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다는 점도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은 온라인 콘텐츠 활용 방식의 높은 선호도가 시공간의 제약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학습속도 및 순서를 조절할 수 있고, 반복 시청이 가능하기 때문이라는 이유와 실시간 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터넷과 시스템 환경의 불안정을 염려할 필요가 없다는 이유를 도출한 설문과 선행연구 결과가 이를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다[3, 25]. 즉, 학습전략은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학습자가 학습하는 동안에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사고와 행동으로 단시간에 학습전략이 향상되는 것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또한 학습자 개인의 특성에 따라 학습전략이 다르게 활용될 수 있는만큼 온라인 콘텐츠에서 구현할 수 있는 학습 속도 조절을 통해 전반적인 개인적 조절감이 증대되는 현상이 온라인 콘텐츠 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일으킬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적용한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는 비대면 환경에서 우려될 수 있는 교수-학습의 상호작용과 학습에 대한 점검을 강화하기 위해 각 차시별 학습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학습관리시스템에 퀴즈를 출제하여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운영방식이 성취동기를 자극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성취동기는 특정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려는 욕구로 개인이 학습에 대한 필요성이 지각될 때 동기는 계속적으로 유지가 가능하며, 주어지는 학습활동이 학습자의 다양한 흥미에 부합할 때 학습과정에서의 성취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는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었다. 비교과 프로그램은 정규 교과목과 달리 성적이나 학점 등의 제한이 없이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신청·참여하는 것으로 자신의 학습이나 역량개발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할 때 적극적인 참여 성향을 보인다[26]. 즉, 에세이 작성법이라는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의 수강은 학습자들이 자신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는 필요성과 동기가 부합하여 성취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었다고 볼 수 있다.

5.2 후속 연구 제언

본 연구는 대학에서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의 활용이 대학생의 학습전략과 성취동기, 지식공유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실증 결과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지만, 대학에서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하여 정규교과와 비교과 프로그램에 확대하여 운영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향후 연구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를 개발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운영한 뒤,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비교과 프로그램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학습자 중심의 교육 환경에 맞춰 이들이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을 보다 적극적으로 설계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에 비교과 프로그램의 우수 참여자 등을 대상으로 집단 인터뷰를 수행하여 단순히 대학 차원에서 설문조사에 의한 요구조사 결과보다 구체적인 의견을 수렴하여 학생들과 함께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적용하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온라인 콘텐츠의 주제가 글쓰기와 관련된 에세이 작성법인 만큼 글쓰기 효능감, 글쓰기 인식 및 태도 등에 영향을 주었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실제 온라인 콘텐츠의 주제(내용)의 습득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종류의 에세이를 작성하는데 어려움이 없는지, 여러 공모전에 참여하여 성과를 가져왔는지 등의 실질적인 사례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를 통해 학습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성과를 중점적으로 보았다. 하지만, 성취도 측면의 성과뿐만 아니라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지속적으로 참여할 것인지에 대한 의향, 콘텐츠 분량의 적절성, 퀴즈 등 학습활동에 대한 적합성 등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포함[27]하여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전반적인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여 학생들이 교육적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는 전략들을 구체화시킬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김진희, "대학교수의 온라인 수업 경험 탐색: 교수법 공동체 사례,"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제11권, 제3호, 2021, pp.73-92.
  2. 정한호, "Covid-19로 인한 온라인 대체 강의가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제10권, 제4호, 2020, pp.109-134.
  3. 이지은.황현우, "대학 교수법 온라인 콘텐츠 설계에 따른 학습분석,"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제11권, 제3호, 2021, pp.167-198.
  4. 교육부, 2016년도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ACE) 기본계획, 2016, 서울: 교육부.
  5. 양근우,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관리 및 인증시스템 UCAAM의 구축 및 운영," 정보시스템연구, 제24권, 제3호, 2015, pp.115-131. https://doi.org/10.5859/KAIS.2015.24.3.115
  6. 이선정, "비대면 교육환경에서의 대학영어 교과연계 비교과 기초영문법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교양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2021, pp.25-41.
  7. 차승봉.박혜진, "학사경고 학생의 학습전략 인식 특성 및 학습지원 프로그램 효과," 대학 교수-학습연구, 제15권, 제3호, 2022, pp.1-30.
  8. 신희선, "비대면 환경에서 온라인 독서토론대회 운영사례와 학생 참여 촉진요인 고찰," 교양학연구, 제18권, 2022, pp.169-212. https://doi.org/10.24173/jge.2022.01.18.6
  9. 염민호, "온라인 글쓰기 상담실'의 이론 구성과 운영모형 제안: 전남대학교 사례 중심," 대학 교수-학습 연구, 제14권, 제4호, 2021, pp.1-32. https://doi.org/10.23122/KACTL.2021.14.4.001
  10. Borich, G. D., Effective Teaching Methods (4th ed.), Upper Saddle River, 2000, NJ: Prentice Hall.
  11. 이지은, "대학생의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7권, 제4호, 2015, pp.2163-2178.
  12. McKeachie, W. J., eaching and learning in the college classroom: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Vol. 86), 1986,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3. Pintrich, P. R., De Groot, E. V.,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2, No.1, 1990, pp.33-4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14. 박은숙, "대학에서 글쓰기 클리닉, 발표클리닉, 학습컨설팅 및 학습전략 클리닉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글쓰기 동기에 미친 영향," 인문사고21, 제12 권, 제3호, 2021, pp.787-798. https://doi.org/10.22143/HSS21.12.3.56
  15. Schunk, D. H., Self-efficacy and cognitive skill learning. In C. Ames & R. Ames(Eds.), Research on motivation in education: Goals and cognition, 1989, San Diego: Academic Press.
  16. 하영자, "e-Learning 성인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성취동기 요인 규명,"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2권, 제2호, 2006, pp.275-296.
  17. Murray, L., "Explorations in personality: A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y of fifty men of college age," 1938,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8. 이홍, "한국 기업의 지식진화와 노나카의 하이퍼텍스트 조직이 한국기업에게 주는 시사점," 지식경영연구, 제2권, 제1호, 2001, pp.95-108.
  19. 백윤정.김은실, "실행공동체내 지식공유의 영향요인: 구조적 특성과 관계적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제9권, 제2호, 2008, pp.63-86. https://doi.org/10.15813/KMR.2008.9.2.004
  20. Bock, G. W., Zmud, R. W., Kim, Y. G., & Lee, J. N., "Behavioral intention Formation In Knowledge Sharing: Examining the roles of extrinsic motivators, social-psychological forces and organizational climate," MIS Quarterly, Vol.29, No.1, 2005, pp.87-111. https://doi.org/10.2307/25148669
  21. 김리경.박봉규, "커피전문점 직원의 팔로워십이 리더-구성원의 교환관계, 지식공유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7호, 2016, pp.73-81. https://doi.org/10.14400/JDC.2016.14.7.73
  22. 박혜진.박원균.김유라, "의과대학생의 학습전략과 특성," 인문사회21, 제13권, 제1호, 2022, pp.1789-1802. https://doi.org/10.22143/HSS21.13.1.126
  23. 임선아.강성은, "성취동기측정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제27권, 제3호, 2013, 575-593. https://doi.org/10.16980/jitc.9.3.201306.593
  24. 박용규, "통계시리즈(VI):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가정의학회지, 제22권, 제1호, 2001, pp.43-51.
  25. Hannafin, M. J., "Empirical issues in the study of computer-assisted interactive video," ECTJ, Vol.33, 1985, pp.235-247. https://doi.org/10.1007/BF02769360
  26. 정복임, "전문대학 성인학습자의 비교과교육 요구분석에 기반한 비교과교육 개선방안 연구," 인문사회21, 제13권, 제30호, 2022, pp.1783-1796. https://doi.org/10.22143/HSS21.13.3.124
  27. 박혜진.권영애, "K-MOOC 참여자의 학습효과 분석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8권, 제3호, 2022, pp.43-53. https://doi.org/10.17662/KSDIM.2022.18.3.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