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Positive Bias Temperature Instability Degradation Mechanism in n+ and p+ poly-Si Gates of High-Voltage SiO2 Dielectric nMOSFETs

고전압 SiO2 절연층 nMOSFET n+ 및 p+ poly Si 게이트에서의 Positive Bias Temperature Instability 열화 메커니즘 분석

  • Yeohyeok Yun (Depart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ngineering, Jeonju University)
  • Received : 2023.07.30
  • Accepted : 2023.08.17
  • Published : 2023.08.30

Abstract

Positive bias temperature instability (PBTI) degradation of n+ and p+ poly-Si gate high-voltage(HV) SiO2 dielectric nMOSFETs was investigated. Unlike the expectation that degradation of n+/nMOSFET will be greater than p+/nMOSFET owing to the oxide electric field caused by the gate material difference, the magnitude of the PBTI degradation was greater for the p+/nMOSFET than for the n+/nMOSFET. To analyze the cause, the interface state and oxide charge were extracted for each case, respectively. Also, the carrier injection and trapping mechanism were analyzed using the carrier separation method. As a result, it has been verified that hole injection and trapping by the p+ poly-Si gate accelerates the degradation of p+/nMOSFET. The carrier injection and trapping processes of the n+ and p+ poly-Si gate high-voltage nMOSFETs in PBTI are detailed in this paper.

본 논문은 4세대 VNAND 공정으로 만들어진 고전압 SiO2 절연층 nMOSFET의 n+ 및 p+ poly-Si 게이트에서의 positive bias temperature instability(PBTI) 열화에 대해 비교하고 각각의 메커니즘에 대해 분석한다. 게이트 전극 물질의 차이로 인한 절연층의 전계 차이 때문에 n+/nMOSFET의 열화가 p+/nMOSFET의 열화보다 더 클 것이라는 예상과 다르게 오히려 p+/nMOSFET의 열화가 더 크게 측정되었다.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각각의 경우에 대해 interface state와 oxide charge를 각각 추출하였고, 캐리어 분리 기법으로 전하의 주입과 포획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p+ poly-Si 게이트에 의한 정공 주입 및 포획이 p+/nMOSFET의 열화를 가속시킴을 확인하였다.

Keywords

1. 서론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셀 소자에 읽고 쓰는 전압을 전달하는 경로에 있는 high-voltage(HV) SiO2 절연층 nMOSFET의 신뢰성에 대한 중요도 역시 증가하고 있다. nMOSFET이 회로 동작 과정에서 ON 상태에 놓일 때 게이트에 양의 전압이 인가되고, 이때 문턱전압(Vth)과 같은 다양한 특성의 열화를 유발하는 positive bias temperature instability(PBTI)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1,2]. 결국 Vth의 열화는 정확한 신호 전달에 악영향을 주어 메모리 동작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신뢰성 가속 평가 스트레스는 Si 기판/절연층의 계면에 interface state(Nit)를 발생시키고 산화물 절연층 내부에 oxide charge(Not)를 발생시킨다[3]. 그 결과, Nit에 의해 발생되는 Vth의 열화인 ΔVit, Not에 의해 발생되는 Vth의 열화인 ΔVot가 합쳐져 ΔVth와 같이 여러 파라미터의 열화가 발생한다(ΔVth = ΔVit + ΔVot)[4]. 그리고 SiO2, SiON, high-k 등의 다양한 게이트 절연층 물질에 대해 negative bias temperature instability(NBTI), hot carrier injection(HCI), time dependent dielectric breakdown(TDDB)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에 대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5]. 하지만 지금까지 HV SiO2 nMOSFET 소자의 PBTI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특히 n+ poly-Si 게이트 nMOSFET (n+/nMOSFET) 이외의 p+ poly-Si 게이트 nMOSFET(p+/nMOSFET)의 PBTI 열화 자체에 대한 연구조차 대단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n+/nMOSFET과 p+/nMOSFET의 PBTI 평가를 통해 열화를 비교하고, 각각 열화에 따른 Nit 및 Not 생성을 추출하고, 캐리어 분리 방법을 사용하여 절연층으로의 캐리어 주입 및 포획과 같은 열화 메커니즘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2. 실험

실험에 사용된 소자는 4세대 VNAND 공정으로 만들어진 Peri 소자이며 n+ 및 p+ poly-Si 게이트의 planar nMOSFET (n+/nMOSFET과 p+/nMOSFET)이다. 채널 폭 W = 5 μm, 길이 L = 2 μm의 test element group(TEG)에서 측정하였다. 게이트 유전체는 equivalent oxide thickness(EOT) 40nm의 SiO2 층이다. 게이트에는 30 V의 스트레스 전압이 인가되었고 398 K의 온도(T)에서 Vs = Vd = Vb = 0 V가 인가되었다[3]. Vth는 Vd = 0.05 V에서 constant current(CC) 방법으로, Not는 mid-gab voltage(Vmg) 방법으로, Nit는 스트레스 전, 후 소자의 전달 특성곡선에서 subthreshold swing(SS) SS ≡ ∂Vg/∂(logId)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SS 방법 관계식을 통해 확인하였다[5].

\(\begin{aligned}\Delta \mathrm{N}=\frac{\mathrm{C}_{\mathrm{ox}}}{\mathrm{qkTln}(10)} \cdot \Delta \mathrm{SS}\end{aligned}\)       (1)

여기서 k는 볼츠만 상수, Cox는 절연층의 정전용량이다. Eox는 다음 식과 같이 계산되었다[7,8].

\(\begin{aligned}\mathrm{E}_{\mathrm{ox}}=\frac{\mathrm{V}_{\mathrm{g}}-\mathrm{V}_{\mathrm{FB}}-\phi_{\mathrm{s}}-\mathrm{V}_{\text {poly }}}{\mathrm{EOT}}\end{aligned}\)       (2)

\(\begin{aligned}\begin{array}{l}\mathrm{V}_{\mathrm{poly}}=\mathrm{V}_{\mathrm{gs}}-\mathrm{V}_{\mathrm{FB}}-\phi_{\mathrm{s}}-\frac{\mathrm{q} \epsilon_{\mathrm{si}} \mathrm{N}_{\mathrm{poly}} \mathrm{EOT}^{2}}{\epsilon_{\mathrm{OX}}^{2}} \\ \times\left(1-\sqrt{1-\frac{2 \epsilon_{\mathrm{oX}}^{2}}{\mathrm{q}_{\mathrm{si}} \mathrm{N}_{\mathrm{poly}} \mathrm{EOT}^{2}}\left(\mathrm{~V}_{\mathrm{GS}}-\mathrm{V}_{\mathrm{FB}}-\phi_{\mathrm{S}}\right)}\right)\end{array}\end{aligned}\)       (3)

여기서 VFB는 플랫 밴드 전압, 𝜙s는 표면 전위, Vpoly는 poly 게이트 공핍 전압, 𝜖si ≈ 1.04 × 10-12 F/cm은 Si의 유전율, 𝜖ox ≈ 3.45 × 10-13 F/cm은 산화물 절연층의 유전율이다. 모든 측정은 Agilent 사의 B1530A 파형 발생기가 장착된 B1500A 반도체 소자 계측기를 사용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n+/nMOSFET과 p+/nMOSFET의 PBTI열화

PBTI 열화는 스트레스 전압인 Vg에 의해 절연층에 인가되는 Eox에 비례하여 증가한다[4]. 따라서 PBTI 스트레스를 인가할 때 동일한 크기의 Vg가 n+/nMOSFET과 p+/nMOSFET에 각각 인가된다면, 절연층에 인가되는 Eox의 크기에 따라 PBTI 열화크기 비교를 예상할 수 있다. 그림 1은 열적 평형상태에서 각각 n+/nMOSFET과 p+/nMOSFET의 밴드다이어그램이다. 이때, p+ poly Si 게이트의 일함수가 n+ poly Si 게이트의 일함수보다 1.1 eV 더 크고, 이러한 게이트 물질에 의한 일함수 차이에 의해 그림 1과 같이 VFB 의 차이와 Eox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 PBTI 스트레스가 인가되면, 그림 2와 같이 p+/nMOSFET의 경우 n+/nMOSFET에 비해 일함수의 차이만큼 절연층에 인가되는 Eox가 상대적으로 완화되는 효과를 받을 수 있다. 그 결과, PBTI 스트레스 상태에서 n+/nMOSFET의 절연층에 인가되는 Eox의 크기가 p+/nMOSFET의 절연층에 인가되는 Eox의 크기보다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HV SiO2 nMOSFET에 Vg = 30 V가 인가되었을 때 스트레스 시간(ts)에 따른 ΔVth는 그림 3과 같이 n+/nMOSFET(검은색)보다 p+/nMOSFET(빨간색)에서 오히려 더 크게 확인된다. 이렇게 예상과 다른 실측 결과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Vth의 열화를 발생시키는 주요 인자인 Nit와 Not를 각각 분리 추출하였다.

JBJTBH_2023_v16n4_180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열적 평형상태에서 게이트 전극 물질 차이에 의한 Eox 차이를 보여주는 밴드 다이어그램: (a) n+/nMOSFET, (b) p+/nMOSFET

Fig. 1. Band diagram illustrating Eox difference due to gate material difference in thermal equilibrium: (a) n+/nMOSFET, (b) p+/nMOSFET

JBJTBH_2023_v16n4_180_f0002.png 이미지

그림 2. PBTI 스트레스 상태에서 게이트 전극 물질 차이에 의한 Eox 차이를 보여주는 밴드 다이어그램: (a) n+/nMOSFET, (b) p+/nMOSFET

Fig. 2. Band diagram illustrating Eox difference due to gate material difference under PBTI stress: (a) n+/nMOSFET, (b) p+/nMOSFET

JBJTBH_2023_v16n4_180_f0003.png 이미지

그림 3. n+ 및 p+ poly-Si HV SiO2 절연층 nMOSFET의 PBTI 스트레스에 의한 문턱 전압 열화 비교

Fig. 3. Comparison of ΔVth between HV SiO2 dielectric n+/nMOSFET and p+/nMOSFET under PBTI stress

3.2 Nit 및 Not 추출 및 분석

일반적으로 PBTI 스트레스는 Si 기판/절연층의 계면에 음의 acceptor-like Nit를 발생시키고 산화물 절연층 내부에 음의 Not를 발생시킨다[3]. 그리고 Nit에 의해 발생되는 Vth의 열화인 ΔVit, Not에 의해 발생되는 Vth의 열화인 ΔVot가 합쳐져 ΔVth와 같이 여러 파라미터의 열화가 발생한다(ΔVth = ΔVit + ΔVot)[3].

그림 4는 앞에서 진행한 HV n+/nMOSFET과 p+/nMOSFET의 PBTI 스트레스 측정에서 SS 방법으로 추출한 ts에 따른 ΔNit 생성 데이터이다. n+/nMOSFET과 p+/nMOSFET 모두 음의 acceptor-like Nit가 생성되었다. 그리고 n+/nMOSFET(검은색)보다 p+/nMOSFET(빨간색)에서 더 크게 확인되었다. 그림 5는 앞에서 진행한 HV n+/nMOSFET과 p+/nMOSFET의 PBTI 스트레스 측정에서 Vmg 방법으로 추출한 ts에 따른 ΔNot 생성 데이터이다. n+/nMOSFET과 p+/nMOSFET 모두 음의 Not가 생성되었다. n+/nMOSFET(검은색)보다 p+/nMOSFET(빨간색)에서 더 크게 확인되었다. 특히 Not는 두 경우에 대한 차이가 상대적으로 더 컸기 때문에 캐리어 분리 방법을 통해 캐리어 주입 및 포획에 대한 열화 메커니즘을 추가 분석하였다.

JBJTBH_2023_v16n4_180_f0004.png 이미지

그림 4. n+ 및 p+ poly-Si HV SiO2 절연층 nMOSFET의 PBTI 스트레스에 의한 Nit 생성 비교

Fig. 4. Comparison of Nit generation between n+ and p+ poly-Si gate of the HV SiO2 dielectric nMOSFET under PBTI

JBJTBH_2023_v16n4_180_f0005.png 이미지

그림 5. n+ 및 p+ poly-Si HV SiO2 절연층 nMOSFET의 PBTI 스트레스에 의한 Not 생성 비교

Fig. 5. Comparison of Not generation between n+ and p+ poly-Si gate of the HV SiO2 dielectric nMOSFET under PBTI

3.3 캐리어 분리 및 메커니즘 분석

열화 메커니즘 분석에서 절연층으로의 캐리어의 주입과 흐름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n+/nMOSFET과 p+/nMOSFET이 PBTI 스트레스 상태에서 캐리어의 주입과 Not의 생성이 어떠한 메커니즘을 가질지 확인하기 위해 그림 6과 같이 PBTI 스트레스 측정(검은색, 빨간색)과 소스/드레인 전압을 플로팅 한 상태에서의 PBTI 스트레스 측정(초록색, 파란색) 결과를 비교하는 측정을 진행하였다[6]. 그 결과, PBTI 스트레스 상태에서 n+/nMOSFET과 p+/nMOSFET의 게이트 전극 물질의 차이가 게이트에서 기판 쪽으로의 캐리어 주입 차이의 원인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n+/nMOSFET과 다르게 p+/nMOSFET의 경우, 게이트에서 절연층으로 정공이 주입된 후 절연층 내부에서 포획된다. 그리고 이러한 정공 포획에 의해 Eox의 크기가 증가하여 더 많은 Nit와 Not의 생성이 유발되고, 결국 더 큰 Vth의 열화가 발생하였다. PBTI 스트레스 동안 소스/드레인을 플로팅하면(초록색, 파란색) 채널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반전층의 전자 농도가 낮은 상태이다. 따라서 Si 기판/절연층 계면 근처에서의 전자포획의 영향은 미미하고, 게이트/절연층 계면 근처의 정공 포획의 영향만 주요하다. 그 결과, PBTI 스트레스(검은색, 빨간색)보다 소스/드레인을 플로팅 한 PBTI 스트레스(초록색, 파란색)의 Vth 열화가 더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림 6에서 n+/nMOSFET의 소스/드레인을 플로팅 한 PBTI의 경우(초록색)에 열화의 양이 가장 작은 것을 알 수 있는데, n+ poly Si 게이트에 의해 Si 기판/절연층 계면의 전자 포획과 게이트/절연층 계면의 정공 포획 모두 가장 적게 발생하여 Eox에 큰 변화를 주지 못하였다. 반면, p+/nMOSFET의 소스/드레인을 플로팅 한 PBTI의 경우(파란색)에는 p+ poly Si 게이트에 의해 게이트/절연층 계면 근처에서의 정공 포획이 Eox 증가를 유발하여 더 큰 열화를 발생시켰다.

JBJTBH_2023_v16n4_180_f0006.png 이미지

그림 6. 소스/드레인 플로팅 PBTI 실험 결과

Fig. 6. Results of source/drain floating PBTI experiments

추가로, 게이트 누설 전류에서 전자 및 정공의 기여도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캐리어 분리 방법[9]을 사용한 측정을 진행하였다. 그림 7과 같이 소스/드레인/기판은 접지 상태, n+/nMOSFET과 p+/nMOSFET의 게이트는 Vg는 0 ~ 30 V로 sweep 측정하였다. 게이트 누설 전류는 절연층을 지나는 전자에 의한 전류와 정공에 의한 전류로 구성되며, 이 두 캐리어의 전류 성분은 전자로 구성된 전류인 소스/드레인 전류(IS/D)와 정공으로 구성된 전류인 기판 전류(Isub)로 나눌 수 있다[9]. 그리고 전자와 정공 둘 다 포함한 게이트 누설 전류와 정공으로 구성된 전류인 Isub을 분리한 결과는 그림 8과 같다. 우선, 그림 7(a)는 n+/nMOSFET의 캐리어 분리 측정을 보여주는데, 이 경우 전자는 소스와 드레인으로부터 공급되어 IS/D를 구성하고, Si 기판에서 생성된 정공은 Isub을 구성하여 그림 8(a)와 같이 확인할 수 있다. 그림 7(b)는 p+/nMOSFET의 캐리어 분리 측정을 보여주는데, 이 경우 전자는 소스와 드레인으로부터 공급되어 IS/D를 구성하고, Si 기판에서 생성된 정공 외에 p+ poly Si 게이트에서 주입되는 정공이 추가되어 Isub을 구성한다. 이것은 그림 8에서 (a)보다 (b)에서 Isub/Ig 비율이 더 큰 것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p+/nMOSFET에서 정공 포획에 따른 Eox 증가로 게이트 누설 전류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그림 8(a)와 (b)의 전류 크기 차이로 확인된다.

JBJTBH_2023_v16n4_180_f0007.png 이미지

그림 7. 캐리어 분리 실험 개략도: (a) n+/nMOSFET, (b) p+/nMOSFET

Fig. 7.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the carrier separation experiment: (a) n+/nMOSFET, (b) p+/nMOSFET

JBJTBH_2023_v16n4_180_f0008.png 이미지

그림 8. 정공에 의한 전류 분리 결과: (a) n+/nMOSFET, (b) p+/nMOSFET

Fig. 8. hole current separation results: (a) n+/nMOSFET, (b) p+/nMOSFET

결국, 그림 2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에서 p+ poly Si 게이트에서 주입되는 정공의 영향을 고려하여 수정한 PBTI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은 그림 9와 같다. PBTI 스트레스 상황에서 n+/nMOSFET과 p+/nMOSFET 모두 전자가 Si 기판으로부터 절연층에 주입되지만, 게이트 쪽에서 절연층으로 주입되는 정공의 차이가 p+/nMOSFET의 열화의 증가를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절연층으로의 정공 주입은 그림 9와 같이 정공 포획에 의한 Eox 증가를 유발하여 그림 4와 그림 5에서처럼 더 많은 Nit와 Not를 생성하였고, 결국 그림 3의 더 큰 Vth 열화를 발생시킨 것이다.

JBJTBH_2023_v16n4_180_f0009.png 이미지

그림 9. PBTI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수정된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 (a) n+/nMOSFET, (b) p+/nMOSFET

Fig. 9. Modified energy band diagrams under PBTI: (a) n+/nMOSFET, (b) p+/nMOSFET

4. 결론

본 논문은 4세대 VNAND 공정으로 만들어진 고전압 SiO2 절연층 nMOSFET의 n+ 및 p+ poly-Si게이트에서의 PBTI 열화에 대해 비교하고 각각의 메커니즘에 대해 분석하였다. 게이트 전극에 의해 발생한 일함수 차이로 인해 PBTI 스트레스 인가 시, n+/nMOSFET에서의 열화가 더 클 것이라는 예상과 다르게 오히려 p+/nMOSFET의 열화가 더 크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각각의 경우에 대해 Nit와 Not를 각각 추출하였고, 소스/드레인 플로팅 PBTI 측정과 전하 분리 기법으로 전하의 주입과 포획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p+ poly-Si 게이트에 의한 정공 주입 및 포획이 p+/nMOSFET의 열화를 가속시킴을 확인하였다.

References

  1. P. Cappelletti, C. Golla, P. Olivo, E. Zanoni, A. Modelli, "Flash memories", pp. 399-441, Springer, 1999. 
  2. Y. G. Lee, S. H. Lee, S. K Park, "A Study of High Voltage NMOSFET degradation for NAND HVSW circuit", IEEE Electron Devices Technology & Manufacturing Conference, vol. 3, no. 7, pp. 1-3, IEEE, 2023. 
  3. Tibor Grasser, "Bias temperature instability for devices and circuits", pp. 447-481, Sringer, 2013. 
  4. Souvik Mahapatra, "Fundamentals of bias temperature instability in mos transistors", pp. 127-134, Springer, 2016. 
  5. Y. Wang, Y. Li, Y. Yang, W. Chen, "Hot Carrier Injection Reliability in Nanoscale Field Effect Transistors: Modeling and Simulation Methods." Electronics, vol. 11, no. 21, pp. 3601-3617, 2022  https://doi.org/10.3390/electronics11213601
  6. Ortiz-Conde, F. G. Sanchez, J. J. Liou, A. Cerdeira, M. Estrada, Y. Yue, "A review of recent MOSFET threshold voltage extraction methods." Microelectronics reliability, vol. 42, no. 4, pp. 583-596, 2002  https://doi.org/10.1016/S0026-2714(02)00027-6
  7. A. Martin, P. O'Sullivan, A. Mathewson, "Dielectric reliability measurement methods: a review.", Microelectronics Reliability, vol. 38, no. 1, pp. 37-72, 1998  https://doi.org/10.1016/S0026-2714(97)00206-0
  8. N. H. Lee, S. Lee, S. H. Kim, G. J. Kim, K. W. Lee, Y. S. Lee, S. Pae, "Transistor Reliability Characterization for Advanced DRAM with HK+ MG & EUV process technology", IEEE International Reliability Physics Symposium. vol. 1, no. 3, pp. 6-12, IEEE, 2022. 
  9. M. Denais, V. Huard, C. Parthasarathy, G. Ribes, F. Perrier, N. Revil, A. Bravaix, "Interface trap generation and hole trapping under NBTI and PBTI in advanced CMOS technology with a 2-nm gate oxide." IEEE Transactions on Device and Materials Reliability, vol. 4, no. 4, pp. 715-722, 2004  https://doi.org/10.1109/TDMR.2004.840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