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과제는 부산대학교 기본연구지원사업(2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 강남화, 임성민, 변수용, 이준기, 이은경, 이나리, 서영석, 오기철. (2018). 2017년 융합 인재교육 (STEAM) 사업 성과분석 연구(연구보고 2017-47).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 강주영, 서혜애, 김동화. (2022). 융합 수업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초등 수학 영재들의 수학적 창의성과 컴퓨팅 사고 분석.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38(4), 463-496. https://doi.org/10.7858/EAMJ.2022.029
- 강하람, 임채령, 조한혁. (2021). 수학교과와 정보교과를 융합하는 코딩수학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연구. 수학교육, 60(4), 467-491.
- 곽혜정, 류희수. (2016). 융합인재교육 (STEAM) 연구 동향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40(1), 72-89. https://doi.org/10.21796/JSE.2016.40.1.72
- 교육과학기술부. (2010).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2011년 업무 보고 .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 교육부. (2014).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교육부.
- 교육부.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8]. 교육부.
- 교육부. (2022).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22-33호 [별책 8]. 교육부.
- 권오남, 박재희, 오국환, 배영곤. (2014). 공동체단 위의 연수를 통해 나타난 고등학교수학 중심 융합수업의 개발 및 적용 사례. 수학교육, 53(3), 357-381.
- 권하정, 이기용. (2022). 중등 STEAM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4), 607-624.
- 김미경, 한혜숙. (2021).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수업 경험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모델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논문집, 35(3), 295-322.
- 김민경, 이지영. (2020). 체화된 인지 관점의 수학 중심 융합 수업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집단창의성 발현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1), 1257-1287.
- 김민서. (2019). 2015 개정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의 창의.융합 역량 관련 수학 과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9), 829-858.
- 김선희. (2020). 융복합 수업 설계 및 시연에서 수학의 특성과 역할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변화. 열린교육연구, 28(2), 21-45.
- 김선희. (2022). 수학 예비교사가 국어, 과학, 윤리 예비교사와 함께 설계한 융복합 수업의 특징 탐색. 학교수학, 24(4), 551-574.
- 김수금, 유시규, 김선배. (2014). 무게중심 확인 융합 프로그램의 수준별 수업 적용 사례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4), 771-804.
- 김영인, 서보억. (2022). 수학과 음악의 융합인재교육으로 변화된 학교 밖 청소년의 수학학습 특성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36(3), 313-334.
- 김영흥, 김진수. (2017). 국내 STEAM 교육 연구 논문의 현황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2(1), 140-159. https://doi.org/10.35140/KIIEDU.2017.42.1.140
- 김예미, 고호경, 허난. (2020). 파이썬을 활용한 중학교 1학년 소인수분해의 수학과 코딩 융합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34(4), 563-585.
- 김유경. (2018). 교과 융합의 관점에서 분류하기 지도방안 고찰. 초등수학교육, 21(2), 193-208.
- 김인경. (2016). 수학교육 관점에서 본 MST 교육에서 STEAM 교육까지 통합교육의 흐름 분석. 한국수학사학회지, 29(1), 45-69.
- 김진솔, 이정민. (2019). 국내 중등 융합인재교육 (STEAM) 프로그램 연구 동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8), 159-179.
- 김형원, 고호경. (2017). 고등학교 사회 수학 융합 프로그램이 수학 교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성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3), 239-254. https://doi.org/10.30807/KSMS.2017.20.3.002
- 김희경, 김영란, 김선희, 윤희숙. (2018). 융.복합 교수역량 신장을 위한 중등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가능성과 한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929-955.
- 류성림. (2015).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교과서의 STEAM 요소 분석: 3~4 학년군을 중심으로. 초등수학교육, 18(3), 235-247.
- 류성림. (2016).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수학교과서의 STEAM 요소 분석: 5~6 학년군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2), 333-351.
- 문종은, 박미영, 주미경, 정수용. (2015).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의 실세계 기반 과제 분석: 융복합교육의 맥락과 방식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7(3), 493-513.
- 문종은. (2016). 융복합 수학수업의 실행 방향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19(4), 1-23.
- 문종은, 주미경. (2018). 융복합 수학수업의 실행 방안 탐색: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0), 857-879.
- 박만구. (2013). 초등수학교육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한 융합적 접근의 탐색-한국 초등수학교과서와 미국 Investigations를 중심으로. 수학교육, 52(2), 247-270.
- 박모라, 문종은, 주미경. (2015). 수학 중심 융복합 수업에 대한 효과 분석: 학생 소집단 활동 참여구조를 기반으로. 학교수학, 17(2), 355-376.
- 박정인, 김성백. (2022). 특성화고등학교 맞춤형 인공지능 수학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5(3), 39-47. https://doi.org/10.32431/KACE.2022.25.3.004
- 반은섭. (2018). 실생활 맥락을 활용한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 수학교육논문집, 32(3), 341-362.
-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최종현 (2012). 융합 인재교육(STEAM) 실행 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2012-12.
- 백희수. (2013). 수학영재를 위한 STEAM 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델파이 조사. 학교수학, 15(4), 867-888.
- 서동엽. (2014). 수학교육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STEAM 교육. 수학교육학연구, 24(3), 429-442.
- 서보억. (2017). 수학과 디자인 융합 교육을 위한 기리 타일의 수학적 탐색. 초등수학교육, 20(3), 237-252.
- 서유진. (2013). 2009 개정 초등수학 교과서와 익힘책에 나타난 학습부진 또는 학습장애 학생의 수학학습을 고려한 융합인재교육의 특징과 교수-학습 원리 분석. 학습장애연구, 10(2), 177-204.
- 신동조. (2021). 중등 예비 수학교사의 STEAM 과제 변형 방식과 과제 변형에서 겪는 어려움. 학교수학, 23(1), 211-234.
- 신지원, 유정애. (2019). 창의융합교육 관점에서 바라본 체육 교과서의 수학적 내용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22(2), 137-153. https://doi.org/10.22799/JCE.2019.22.2.006
- 양윤정, 유미현. (2017).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학 기반 STEAM 프로그램이 중학생 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수학 진로지향도 및 STEAM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영재교육연구, 27(4), 607-629.
- 윤경란, 김주후, 허난, 고호경. (2017). 드론을 활 용한 초등학교 수학 융합 자료 개발 및 적용 결과. 초등수학교육, 20(3), 225-235.
- 이가은, 최재호. (2017). STEAM 기반 수학 수업이 문제해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4), 663-686.
- 이경진, 이상수. (2017). 융합인재교육 (STEAM)의 국내 연구 동향 분석-예술교육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9), 825-832. https://doi.org/10.35873/AJMAHS.2017.7.9.079
- 이동근, 권혜주. (2022). 주제기반 설계 모형에 따른 수학-윤리 연계.융합 수업 자료 개발연구. 수학교육논문집, 36(2), 253-286.
- 이명숙, 김미숙, 문은식. (2013). STEAM 수업이 수학영재의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영재와영재교육, 12(3), 75-94. https://doi.org/10.17839/JKSGT.2013.12.3.75
- 이민희, 임해미. (2013). 수학사를 활용한 융합적 프로젝트기반학습 (STEAM PBL)의 설계 및 효과 분석. 학교수학, 15(1), 159-177.
- 이봉우. (2022). 뉴턴의 '반사에 대한 그림 발명'을 이용한 물리-수학 융합형 교수-학습 전략 탐색. 과학영재교육, 14(3), 128-139.
- 이상구, 이재윤, 박경은, 이재화, 안승철. (2015). 수학과 예술을 3D 프린팅으로 연결하는 융합인재교육. 수학교육논문집, 29(1), 35-49.
- 이승우, 백종일, 이정곤. (2013). 융합인재교육 (STEAM)을 적용한 초등 수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효과. 초등수학교육, 16(1), 35-55.
- 이영은, 이효녕. (2014). 공학적 설계와 과학 탐구 기반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과학, 수학, 기술에 대한 흥미, 자기효능감 및 진로 선택에 미치는 효과. 교과교육학연구, 18(3), 513-540. https://doi.org/10.24231/RICI.2014.18.3.513
- 이유진. (2022). 나는 STEAM 교사인가? STEAM PBL 연수를 통한 예비교사의 정체성 및 PCK 발달. 학교수학, 24(1), 147-171.
- 이은경, 유미현. (2018). 자연과 실생활 예를 활용한 수학기반 융합프로그램이 초등 영재의 수학적 성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통합교육과정연구, 12(4), 99-133.
- 이종학. (2017). STEAM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융합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4), 345-368. https://doi.org/10.30807/KSMS.2017.20.4.001
- 이종학, 윤마병. (2014). 건축을 활용한 초등학교 수학 중심의 융합교육 수업 자료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6), 499-512.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499
- 이지해, 신항균. (2018). 합동과 대칭의 지도를 위한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2(3), 267-282.
- 이혜숙, 민주영, 한혜숙. (2013). STEM 기반 수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2), 337-362.
- 이혜진, 박만구. (2021). 수학영재교육에서의 STEAM 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영재와영재교육, 20(3), 5-29. https://doi.org/10.17839/JKSGT.2021.20.3.5
- 임영빈, 홍진곤. (2019). 수학 기반의 융합 문제해결 과정에 나타나는 초등영재학생의 수학적 사고와 태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8), 239-257.
- 전미숙, 박문환. (2015). 수학 기반 융합인재교육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초등수학교육, 18(2), 91-106.
- 정민석, 고호경. (2018). 영재학교의 수학 중심 융합 교육과정 평가 사례 연구.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34(4), 511-536. https://doi.org/10.7858/EAMJ.2018.033
- 정서진, 조민식. (2020). 수학영재 학생들의 STEAM 수업 과정에서 통계적 소양의 발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2), 1585-1605.
- 정웅열, 이영준. (2018). SW.수학.과학 융합형 교수.학습 자료에 나타난 교육과정 성취기준 내용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1-23.
- 주미경, 문종은, 송륜진. (2012). 수학교과와 융복합교육: 담론과 과제. 학교수학, 14(1), 165-190.
- 주미경, 송륜진, 문종은. (2013). 수학교과에서의 융복합교육 실행 방안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4).
- 주미경, 김래영. (2016). 융복합적 수학수업에서 나타난 PCK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4), 1029-1063.
- 주희선. (2018). 음악중심 융합인재교육 (STEAM)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 849-863.
- 진주은. (2018). 학습부진아를 위한 수학 STEAM 프로그램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1), 597-623.
- 최은영, 문병찬, 한광래. (2017). 국내 융합인재교육 (STEAM)의 연구 동향 분석-2011~2016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2), 185-198.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2.185
- 최희선, 한혜숙. (2021).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학교수학 수업과 융합수학 수업에 대한 수업 장면 그리기를 통한 이미지 분석 사례 연구. 학교수학, 23(2), 317-336.
- 한진수. (2015). 넛지를 이용해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경제 내용 융합하기. 시민교육연구, 47(1), 247-271. https://doi.org/10.35557/TRCE.47.1.201503.009
- 한혜숙. (2013).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동향 분석 및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수학교육논문집, 27(4), 523-545.
- 한혜숙. (2015). 코티칭 전략을 활용한 STEAM 수업이 예비수학교사의 융합인재교육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2), 283-317.
- 한혜숙. (2017).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수업이 중학생들의 STEM 분야 진로 흥미도 및 융합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논문집, 31(1), 125-147.
- 한혜숙. (2018). STEAM 수업에서의 멘토교사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수 역량에 미치는 효과. 수학교육논문집, 32(1), 1-22.
- 함형인. (2020). STEAM 교육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5), 567-586.
- 황혜정 (2018). 2015 개정 수학 교과서에 반영된 창의.융합 역량 요소 탐색-중학교 1학년 그래프 단원을 중심으로. 수학교육논문집, 32(4), 477-493.
- DeCoito, I. (2016). STEM education in Canada: A knowledge synthesis. Canadian Journal of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Education, 16(2), 114-128. https://doi.org/10.1080/14926156.2016.1166297
- Honey, M., Pearson, G., & Schweingruber, A. (2014). STEM integration in K-12 education: status, prospects, and an agenda for research. Washington: National Academies Press.
- Horak, V. (2006). A science application of area and ration concept.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11(8), 360-366. https://doi.org/10.5951/MTMS.11.8.0360
- Li, Y., Wang, K., Xiao, Y., & Froyd, J. E. (2020). Research and trends in STEM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of journal pub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TEM Education, 7(1), 1-16. https://doi.org/10.1186/s40594-019-0200-5
- Shaughnessy, M. (2013). By way of introduction: mathematics in a STEM context.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18(6), 324-326. https://doi.org/10.5951/mathteacmiddscho.18.6.0324
- Widya, Rifandi, R., & Laila Rahmi, Y. (2019). STEM education to fulfil the 21st century demand: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Physics: Conference Series, 1317(1), 012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