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Trends in STEAM Education: Focused on Mathematics

융합교육(STEAM) 연구 동향 분석: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 Shin, Dongjo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23.08.10
  • Accepted : 2023.08.20
  • Published : 2023.08.31

Abstract

STEAM education, which was introduced to address many of the issues raised in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field of education over the past 13 years.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STEAM education integrated with mathematics from 2010 to 2022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STEAM education. To this end, 89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KCI journ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than half of the STEAM studies were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EAM programs. The next most frequent studies were related to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 oaf STEAM education, followed by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and by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competencies.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STEAM education were addressed in only a few papers.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과제는 부산대학교 기본연구지원사업(2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강남화, 임성민, 변수용, 이준기, 이은경, 이나리, 서영석, 오기철. (2018). 2017년 융합 인재교육 (STEAM) 사업 성과분석 연구(연구보고 2017-47).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2. 강주영, 서혜애, 김동화. (2022). 융합 수업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초등 수학 영재들의 수학적 창의성과 컴퓨팅 사고 분석.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38(4), 463-496. https://doi.org/10.7858/EAMJ.2022.029
  3. 강하람, 임채령, 조한혁. (2021). 수학교과와 정보교과를 융합하는 코딩수학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연구. 수학교육, 60(4), 467-491.
  4. 곽혜정, 류희수. (2016). 융합인재교육 (STEAM) 연구 동향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40(1), 72-89. https://doi.org/10.21796/JSE.2016.40.1.72
  5. 교육과학기술부. (2010).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2011년 업무 보고 . 교육과학기술부.
  6.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7. 교육부. (2014).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교육부.
  8. 교육부.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8]. 교육부.
  9. 교육부. (2022).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22-33호 [별책 8]. 교육부.
  10. 권오남, 박재희, 오국환, 배영곤. (2014). 공동체단 위의 연수를 통해 나타난 고등학교수학 중심 융합수업의 개발 및 적용 사례. 수학교육, 53(3), 357-381.
  11. 권하정, 이기용. (2022). 중등 STEAM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4), 607-624.
  12. 김미경, 한혜숙. (2021).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수업 경험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모델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논문집, 35(3), 295-322.
  13. 김민경, 이지영. (2020). 체화된 인지 관점의 수학 중심 융합 수업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집단창의성 발현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1), 1257-1287.
  14. 김민서. (2019). 2015 개정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의 창의.융합 역량 관련 수학 과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9), 829-858.
  15. 김선희. (2020). 융복합 수업 설계 및 시연에서 수학의 특성과 역할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변화. 열린교육연구, 28(2), 21-45.
  16. 김선희. (2022). 수학 예비교사가 국어, 과학, 윤리 예비교사와 함께 설계한 융복합 수업의 특징 탐색. 학교수학, 24(4), 551-574.
  17. 김수금, 유시규, 김선배. (2014). 무게중심 확인 융합 프로그램의 수준별 수업 적용 사례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4), 771-804.
  18. 김영인, 서보억. (2022). 수학과 음악의 융합인재교육으로 변화된 학교 밖 청소년의 수학학습 특성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36(3), 313-334.
  19. 김영흥, 김진수. (2017). 국내 STEAM 교육 연구 논문의 현황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2(1), 140-159. https://doi.org/10.35140/KIIEDU.2017.42.1.140
  20. 김예미, 고호경, 허난. (2020). 파이썬을 활용한 중학교 1학년 소인수분해의 수학과 코딩 융합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34(4), 563-585.
  21. 김유경. (2018). 교과 융합의 관점에서 분류하기 지도방안 고찰. 초등수학교육, 21(2), 193-208.
  22. 김인경. (2016). 수학교육 관점에서 본 MST 교육에서 STEAM 교육까지 통합교육의 흐름 분석. 한국수학사학회지, 29(1), 45-69.
  23. 김진솔, 이정민. (2019). 국내 중등 융합인재교육 (STEAM) 프로그램 연구 동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8), 159-179.
  24. 김형원, 고호경. (2017). 고등학교 사회 수학 융합 프로그램이 수학 교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성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3), 239-254. https://doi.org/10.30807/KSMS.2017.20.3.002
  25. 김희경, 김영란, 김선희, 윤희숙. (2018). 융.복합 교수역량 신장을 위한 중등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가능성과 한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929-955.
  26. 류성림. (2015).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교과서의 STEAM 요소 분석: 3~4 학년군을 중심으로. 초등수학교육, 18(3), 235-247.
  27. 류성림. (2016).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수학교과서의 STEAM 요소 분석: 5~6 학년군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2), 333-351.
  28. 문종은, 박미영, 주미경, 정수용. (2015).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의 실세계 기반 과제 분석: 융복합교육의 맥락과 방식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7(3), 493-513.
  29. 문종은. (2016). 융복합 수학수업의 실행 방향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19(4), 1-23. 
  30. 문종은, 주미경. (2018). 융복합 수학수업의 실행 방안 탐색: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0), 857-879.
  31. 박만구. (2013). 초등수학교육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한 융합적 접근의 탐색-한국 초등수학교과서와 미국 Investigations를 중심으로. 수학교육, 52(2), 247-270.
  32. 박모라, 문종은, 주미경. (2015). 수학 중심 융복합 수업에 대한 효과 분석: 학생 소집단 활동 참여구조를 기반으로. 학교수학, 17(2), 355-376.
  33. 박정인, 김성백. (2022). 특성화고등학교 맞춤형 인공지능 수학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5(3), 39-47. https://doi.org/10.32431/KACE.2022.25.3.004
  34. 반은섭. (2018). 실생활 맥락을 활용한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 수학교육논문집, 32(3), 341-362.
  35.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36.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최종현 (2012). 융합 인재교육(STEAM) 실행 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2012-12.
  37. 백희수. (2013). 수학영재를 위한 STEAM 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델파이 조사. 학교수학, 15(4), 867-888.
  38. 서동엽. (2014). 수학교육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STEAM 교육. 수학교육학연구, 24(3), 429-442.
  39. 서보억. (2017). 수학과 디자인 융합 교육을 위한 기리 타일의 수학적 탐색. 초등수학교육, 20(3), 237-252.
  40. 서유진. (2013). 2009 개정 초등수학 교과서와 익힘책에 나타난 학습부진 또는 학습장애 학생의 수학학습을 고려한 융합인재교육의 특징과 교수-학습 원리 분석. 학습장애연구, 10(2), 177-204.
  41. 신동조. (2021). 중등 예비 수학교사의 STEAM 과제 변형 방식과 과제 변형에서 겪는 어려움. 학교수학, 23(1), 211-234.
  42. 신지원, 유정애. (2019). 창의융합교육 관점에서 바라본 체육 교과서의 수학적 내용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22(2), 137-153. https://doi.org/10.22799/JCE.2019.22.2.006
  43. 양윤정, 유미현. (2017).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학 기반 STEAM 프로그램이 중학생 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수학 진로지향도 및 STEAM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영재교육연구, 27(4), 607-629.
  44. 윤경란, 김주후, 허난, 고호경. (2017). 드론을 활 용한 초등학교 수학 융합 자료 개발 및 적용 결과. 초등수학교육, 20(3), 225-235. 
  45. 이가은, 최재호. (2017). STEAM 기반 수학 수업이 문제해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4), 663-686.
  46. 이경진, 이상수. (2017). 융합인재교육 (STEAM)의 국내 연구 동향 분석-예술교육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9), 825-832. https://doi.org/10.35873/AJMAHS.2017.7.9.079
  47. 이동근, 권혜주. (2022). 주제기반 설계 모형에 따른 수학-윤리 연계.융합 수업 자료 개발연구. 수학교육논문집, 36(2), 253-286.
  48. 이명숙, 김미숙, 문은식. (2013). STEAM 수업이 수학영재의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영재와영재교육, 12(3), 75-94. https://doi.org/10.17839/JKSGT.2013.12.3.75
  49. 이민희, 임해미. (2013). 수학사를 활용한 융합적 프로젝트기반학습 (STEAM PBL)의 설계 및 효과 분석. 학교수학, 15(1), 159-177.
  50. 이봉우. (2022). 뉴턴의 '반사에 대한 그림 발명'을 이용한 물리-수학 융합형 교수-학습 전략 탐색. 과학영재교육, 14(3), 128-139.
  51. 이상구, 이재윤, 박경은, 이재화, 안승철. (2015). 수학과 예술을 3D 프린팅으로 연결하는 융합인재교육. 수학교육논문집, 29(1), 35-49.
  52. 이승우, 백종일, 이정곤. (2013). 융합인재교육 (STEAM)을 적용한 초등 수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효과. 초등수학교육, 16(1), 35-55.
  53. 이영은, 이효녕. (2014). 공학적 설계와 과학 탐구 기반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과학, 수학, 기술에 대한 흥미, 자기효능감 및 진로 선택에 미치는 효과. 교과교육학연구, 18(3), 513-540. https://doi.org/10.24231/RICI.2014.18.3.513
  54. 이유진. (2022). 나는 STEAM 교사인가? STEAM PBL 연수를 통한 예비교사의 정체성 및 PCK 발달. 학교수학, 24(1), 147-171.
  55. 이은경, 유미현. (2018). 자연과 실생활 예를 활용한 수학기반 융합프로그램이 초등 영재의 수학적 성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통합교육과정연구, 12(4), 99-133.
  56. 이종학. (2017). STEAM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융합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4), 345-368. https://doi.org/10.30807/KSMS.2017.20.4.001
  57. 이종학, 윤마병. (2014). 건축을 활용한 초등학교 수학 중심의 융합교육 수업 자료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6), 499-512.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499
  58. 이지해, 신항균. (2018). 합동과 대칭의 지도를 위한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2(3), 267-282.
  59. 이혜숙, 민주영, 한혜숙. (2013). STEM 기반 수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2), 337-362.
  60. 이혜진, 박만구. (2021). 수학영재교육에서의 STEAM 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영재와영재교육, 20(3), 5-29. https://doi.org/10.17839/JKSGT.2021.20.3.5
  61. 임영빈, 홍진곤. (2019). 수학 기반의 융합 문제해결 과정에 나타나는 초등영재학생의 수학적 사고와 태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8), 239-257.
  62. 전미숙, 박문환. (2015). 수학 기반 융합인재교육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초등수학교육, 18(2), 91-106.
  63. 정민석, 고호경. (2018). 영재학교의 수학 중심 융합 교육과정 평가 사례 연구.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34(4), 511-536. https://doi.org/10.7858/EAMJ.2018.033
  64. 정서진, 조민식. (2020). 수학영재 학생들의 STEAM 수업 과정에서 통계적 소양의 발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2), 1585-1605.
  65. 정웅열, 이영준. (2018). SW.수학.과학 융합형 교수.학습 자료에 나타난 교육과정 성취기준 내용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1-23.
  66. 주미경, 문종은, 송륜진. (2012). 수학교과와 융복합교육: 담론과 과제. 학교수학, 14(1), 165-190.
  67. 주미경, 송륜진, 문종은. (2013). 수학교과에서의 융복합교육 실행 방안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4).
  68. 주미경, 김래영. (2016). 융복합적 수학수업에서 나타난 PCK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4), 1029-1063.
  69. 주희선. (2018). 음악중심 융합인재교육 (STEAM)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 849-863.
  70. 진주은. (2018). 학습부진아를 위한 수학 STEAM 프로그램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1), 597-623.
  71. 최은영, 문병찬, 한광래. (2017). 국내 융합인재교육 (STEAM)의 연구 동향 분석-2011~2016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2), 185-198.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2.185
  72. 최희선, 한혜숙. (2021).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학교수학 수업과 융합수학 수업에 대한 수업 장면 그리기를 통한 이미지 분석 사례 연구. 학교수학, 23(2), 317-336.
  73. 한진수. (2015). 넛지를 이용해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경제 내용 융합하기. 시민교육연구, 47(1), 247-271. https://doi.org/10.35557/TRCE.47.1.201503.009
  74. 한혜숙. (2013).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동향 분석 및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수학교육논문집, 27(4), 523-545.
  75. 한혜숙. (2015). 코티칭 전략을 활용한 STEAM 수업이 예비수학교사의 융합인재교육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2), 283-317.
  76. 한혜숙. (2017).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수업이 중학생들의 STEM 분야 진로 흥미도 및 융합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논문집, 31(1), 125-147.
  77. 한혜숙. (2018). STEAM 수업에서의 멘토교사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수 역량에 미치는 효과. 수학교육논문집, 32(1), 1-22.
  78. 함형인. (2020). STEAM 교육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5), 567-586.
  79. 황혜정 (2018). 2015 개정 수학 교과서에 반영된 창의.융합 역량 요소 탐색-중학교 1학년 그래프 단원을 중심으로. 수학교육논문집, 32(4), 477-493.
  80. DeCoito, I. (2016). STEM education in Canada: A knowledge synthesis. Canadian Journal of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Education, 16(2), 114-128. https://doi.org/10.1080/14926156.2016.1166297
  81. Honey, M., Pearson, G., & Schweingruber, A. (2014). STEM integration in K-12 education: status, prospects, and an agenda for research. Washington: National Academies Press.
  82. Horak, V. (2006). A science application of area and ration concept.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11(8), 360-366. https://doi.org/10.5951/MTMS.11.8.0360
  83. Li, Y., Wang, K., Xiao, Y., & Froyd, J. E. (2020). Research and trends in STEM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of journal pub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TEM Education, 7(1), 1-16. https://doi.org/10.1186/s40594-019-0200-5
  84. Shaughnessy, M. (2013). By way of introduction: mathematics in a STEM context.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18(6), 324-326. https://doi.org/10.5951/mathteacmiddscho.18.6.0324
  85. Widya, Rifandi, R., & Laila Rahmi, Y. (2019). STEM education to fulfil the 21st century demand: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Physics: Conference Series, 1317(1), 012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