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도 조선대학교 연구지원금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References
- 김성옥 (2016). 대학의 미적분학 교과목에서 수업 방식에 따른 교육 효과 고찰. 수학교육논문집, 30(1), 106-119.
- 김은혜, 이정미 (2020).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수업의 학습참여활동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분석: A대학교 Smart Class를 중심으로. 상업교육연구, 34(6), 1-21. https://doi.org/10.34274/KRABE.2020.34.6.001
- 김미영, 안광식, 최완식 (2005). 블렌디드 학습, 온라인 학습, 오프라인 학습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 비교. 한국공업교육학회지, 30(1), 106-119.
- 김미용, 배영권 (2012). 스마트교육 현장 적용을 위한 스마트교육 모형 개발. 한국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3(5), 77-92.
- 김홍겸 (2021).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수학과 원격수업의 만족도 및 수학학습과의 연관성에 대한 사례연구. 수학교육논문집, 35(3), 341-358.
- 미래교실네트워크 (2021). 교실생존비법. 서울: 에듀니티.
- 오동주, 황홍섭 (2020) COVID-19가 교육에 미친 인식, 행동, 가치 및 태도의 변화 양상. 사회과교육, 59(3), 223-250.
- 이동주, 김미숙 (2020).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23(3), 359-377.
- 이상수 (2007). Blended learning의 의미와 상호작용 설계원리에 대한 고찰.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2), 225-250.
- 이시철, 김선영, 박상훈 (2020). 대학의 코로나-19 초기 대응과 수업만족도 평가: 경북대학교의 비대면 학기 사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0), 993-1019.
- 이헌수 (2019). 블렌디드 이러닝이 공학수학 교수.학습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2(4), 395-413. https://doi.org/10.30807/KSMS.2019.22.4.003
- 이헌수 (2020), 대학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3(3), 377-395. https://doi.org/10.30807/KSMS.2020.23.3.007
- 이현주 (2012).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대학생 영어학습에서의 상호작용과 자기주도적 학습의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8(1), 1-24.
- 임수현, 정은선(2021). 코로나19 기점으로 나타난 초등학교 4, 6학년 수학 학업성취도 변화 분석. 한국초등교육, 32(3), 249-266. https://doi.org/10.20972/KJEE.32.3.202109.249
- 임정훈 (2007). 대학 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온라인-오프라인 혼합방식 및 성찰활동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4), 49-76.
- 임진형, 고선영 (2015). 대학교육의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 및 활용 방안.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8), 5232-5239. https://doi.org/10.5762/KAIS.2015.16.8.5232
- 조성일 (2020). 대면수업과 온라인 수업의 학업 성취도 비교. 상업교육연구, 34(6), 23-39. https://doi.org/10.34274/KRABE.2020.34.6.002
- 전영주, 임해미, 김희정, 김선희, 노지화, 서보억, 손홍찬, 신보미, 이경언, 이봉주, 한인기(2023). 수학과 교수.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경문사.
- 정순모, 박혜연, 김응환 (2015). EBSmath의 활용이 농촌학생들의 수학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1), 123-148.
- 최영림 (2020). K-MOOC 강좌 개발과 학습자 만족도 분석-어패럴패턴캐드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44(2), 369-383.
- 최윤경 (2011).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기초중국어'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중국어교육과연구, 13(12), 1-21.
- 최종후, 전새봄 (2019). 설문조사 처음에서 끝까지. 경기도, 파주: 자유아카데미.
- 최병수, 유상미 (2013). 컴퓨터교과교육: 대학 강의실 수업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H형 블렌디드 이러닝 적용 효과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집, 16(3), 49-60.
- 한지영, 이은화 (2010).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e-learning에 한 학습자의 지각정도와 학습만족도-S대학 보건교육학 강좌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3(6), 69-77.
- 홍성연 (2020).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 환경에서 대학 교양교과목의 수업성찰. 교양 교육 연구, 14(6), 283-298.
- 홍성욱, 홍수민 (2022). 온오프라인 수업설계 퀵 모형, AMOS Model. 서울: (주)피와이메이트.
- 홍효정 (2017). 블렌디드 러닝기반 기초수학 수업에서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공학교육연구, 20(6), 3-11. https://doi.org/10.18108/JEER.2017.20.6.3
- Brown, B. W. & Liedholm, C. E. (2002). Can web Courses Replace the Classroom in Principles of Microeconomics?.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92(2), 444-448. https://doi.org/10.1257/000282802320191778
- Carmen, J. M. (2002). Blended learning design: Five key ingredients. Retrieved from http://mizanis.net/edu3105/artikel/Blended-Learning-Design.pdf.
-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 3(3), 54-56.
- Singh, H. & Reed, C. (2001). A White paper: Achieving success with blended learning. Retrieved from http://www.centra.com/download/whitepaper/blendedlearning.pdf
- Staker, H., & Horn, M. B. (2012). Classifying K-12 Blended Learning. Mountain View, CA: Innosight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