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2012 Cosmetics Act Amendment on Product Innovation

2012년 화장품법 개정의 제품혁신 효과

  • 최동욱 (상명대학교 경제금융학부)
  • Received : 2023.12.31
  • Accepted : 2024.01.15
  • Published : 2024.01.31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innovative effects of 2012 Cosmetics Act amendment on the cosmetics industry. By utilizing production data from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r the period 2008-2014 and estimating a panel fixed-effects model, the study demonstrate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gislative revision and firm production. Additionally, it is observed that both the number of brands and new products per manufacturer significantly increased following the amendment. Further, this study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mendment and the potential market size, with the potential market siz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nov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 that government regulatory improvements can positively impact industrial innovation and promotion.

본 연구는 기업의 자율성을 강화하는 내용은 담은 2012년 화장품법 전면 개정이 화장품 산업에 가져온 혁신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해보고자 한다. 2008년-2014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화장품 생산실적 자료를 이용하여 패널고정효과 모형을 추정한 결과, 법 개정 이후 화장품 제조업체 당 평균 생산액과 생산량 등 생산실적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법 개정에 따라 화장품 제조업체의 제품혁신 성과, 즉 품목 수와 신제품 수가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혁신을 유발하는 하나의 경로로서 잠재시장의 확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화장품법의 개정과 화장품 시장의 잠재적인 규모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잠재시장규모의 증가는 기업의 혁신 활동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부의 제도 개선이 산업의 혁신과 진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지영, 안영진. (2016). 우리나라 화장품산업 가치사슬의 공간적 분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3), 550-565. https://doi.org/10.23841/EGSK.2016.19.3.550
  2. OECD/Eurostat. (2018), Oslo Manual 2018: Guidelines for Collecting, Reporting and Using Data on Innovation, 4th Edition, The Measurement of Scientific, Technological and Innovation Activities, OECD Publishing, Paris/Eurostat, Luxembourg.
  3. 보건복지부. (2013). 2020화장품 산업, G7국가로 진입,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4. 오선정, 최동욱. (2019). 2012년 화장품법 개정의 고용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32(1), 349-373.
  5. 남영식, 이정현. (2015). 나고야의정서 하에서의 화장품산업의 최적 R&D 투자분석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28(5), 1965-2000.
  6. 구한민, 황의현, 김갑성. (2023)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과 기업의 매출액 간 상관관계 평가. 산업진흥연구, 8(2), 1-9. https://doi.org/10.21186/IPR.2023.8.2.001
  7. 정종서, 서영욱. (2023). 중소제조기업의 연구개발역량과 자원배분역량이 제품성과에 미치는 영향. 산업진흥연구, 8(1), 69-82. https://doi.org/10.21186/IPR.2023.8.1.069
  8. 최은영. (2015). 정부지원제도 및 내부 R&D투자와 R&D협력이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28(4), 1473-1492.
  9. 김치국, 박병기. (2023). 중소기업의 정부지원제도 활용, 연구개발서비스와 기술혁신역량 및 기업성과 간의 관계 연구. 산업진흥연구, 8(3), 19-35. https://doi.org/10.21186/IPR.2023.8.3.019
  10. 황선필, 유성용. (2023). 경제적 불확실성과 경영혁신: 연구개발을 중심으로. 산업진흥연구, 8(2), 11-19. https://doi.org/10.21186/IPR.2023.8.2.011
  11. Daron Acemoglu and Joshua Linn, "Market Size in Innovation: Theory and Evidence from the Pharmaceutical Industry",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19(3), 1049-1090, 2004. https://doi.org/10.1162/0033553041502144
  12. Pierre Dubois, Olivier de Mouzon, Fiona Scott-Morton, and Paul Seabright, "Market Size and Pharmaceutical Innovation", RAND Journal of Economics, 46(4), 844-871, 2015. https://doi.org/10.1111/1756-2171.12113
  13. 김종호, 심영섭, 유진근. (2009). 경제활력 제고를 위한 진입규제 개혁방안-진입규제 개혁의 창업, 고용, 생산성 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산업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