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 indecision in college students

대학생의 부모에 대한 심리적 애착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 Kyung-In Min (Shinhan University Student Counseling Center) ;
  • Sung-Sim Cho (Department Social Welfare at Shinhan University)
  • 민경인 (신한대학교 학생상담센터) ;
  • 조성심 (신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23.12.29
  • Accepted : 2024.01.12
  • Published : 2024.0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 indecision among college students, and to examine the goodness of fit and influence of variables in a model that assumes that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has an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 indecision. It's about verification.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y randomly sampling 250 college students attending 4-year institutions across the country,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three-stage regression method using SPSS Win 25.0.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attachment to parents appears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career indecision, confirming that the more a stable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parents is formed, the less difficulties in career decision-making.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attachment to parents and career indecision. This shows that the more stable the psychological attachment to the father and mother is formed, the lower the level of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and career indecis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practice and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부·모 애착과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 애착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한 모형의 적합도 및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고 검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4년제에 재학중인 대학생 250명을 무선표집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했으며, 자료분석은 SPSS Win 25.0을 사용하여 3단 회귀 방식으로 매개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에 대한 심리적 애착이 진로미결정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와 안정적으로 애착관계를 잘 형성할수록 진로결정에 대한 어려움이 줄어든 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부·모에 대한 심리적 애착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부와 모에 대한 심리적 애착이 안정적으로 잘 형성될수록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진로미결정은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 상담 실제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Ginzberg, E.(1972), Toward a theory of occupational choice ; A restatement. Vocational Guidance Quarterly, 20, pp, 169-176. https://doi.org/10.1002/j.2164-585X.1972.tb02037.x
  2. 김민선(2014), "대학생들의 완벽주의와 진로미결정의 관계 : 적응유연성과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진로교육연구, 27(4), pp, 145-166.
  3. Bowlby, J. (1982), Attachment and loss, Volume 1, Attachment(2nd ed.). New York : Basic Books.
  4. Wright, S. L., & Perrone, K. M. (2008), Theimpact of attachment on career-relatedvariabl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proposed theoretical framework to guide futureresearch.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35 pp, ,87-106. https://doi.org/10.1177/0894845308325643
  5. 임수진(2015), "부모애착과 심리적독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 학교, 12(3), pp, 349-363.
  6. 손영미, 박정열(2020), "애착불안, 애착회피와 진로미결정수준과의 관계 : 사회비교경향성, 자기비난, 부정적 평가 두려움의 다중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문화 및 사회문제, 26(3), pp, 145-166. https://doi.org/10.20406/KJCS.2020.8.26.3.145
  7. 용래경(2006),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의 애착 및 심리적 독립과 진로 결정 수준".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단비, 최바을(2019), "여대생의 애착불안과 진로미결정의 관계 :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지연행동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26(4), pp, 27-47.
  9. 신현숙, 정혜경(2019), "인문사회계열 대학생의 심리적 자본과 학업만족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10(5), pp, 1087-1102.
  10. 김계현, 김봉환(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9(1), pp, 311-333.
  11. Frost, R. O., Marten, P., Lahart, C., & Rosenblate, R. (1990). The dimensions of perfectionism.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 pp, 449-468. https://doi.org/10.1007/BF01172967
  12. Barrow, J. C. & Moore, C. A.(1983), "Group interventions with perfectionist thinking". Personal and Guidance Journal, 61, pp, 612~615. https://doi.org/10.1111/j.2164-4918.1983.tb00008.x
  13. 김하늬, 손은령(2020), "대학생의 진로미결정 관련 변인 간 메타분석". 진로교육연구, 33(4), pp, 43-68.
  14. Hamacheck, D. E. (1978), "Psychodynamics of normal and neurotic perfectionism". Psychology, 15, pp, 27-33.
  15. Enns, M. W., & Cox, B. J. (2002), "Perfectionism and depressive symptom severity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7, pp, 783-794. https://doi.org/10.1016/S0005-7967(98)001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