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ack of Money? Attitude toward Money? The Influence of Economic Factors and Material Values on the Marital Intention among Unmarried Young Adults in South Korea

돈? 가치관? 물질주의가 미혼 남녀의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탐색

  • Cho, Sung-Bong (School of Counseling Psychology & Social Welfare, Handong University) ;
  • Son, Hae-in (Dept. of Psychology, Handong University)
  • 조성봉 (한동대학교 상담심리사회복지학부) ;
  • 손해인 (한동대학교 심리학과)
  • Received : 2023.12.27
  • Accepted : 2024.02.19
  • Published : 2024.0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w economic factors such as income, parental support, perceived social status, and financial distress are associated with marital intentions among unmarried young adults in their 20's and 30's. Data were collected by an online survey, and a total of 567 people participated nationwide. Results from a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suggest that (1) women's income was associated with their marital intentions, but not men's; (2) perceived social status was associated with marital intentions among both men and women; (3) men's expected parental support for marriage was associated with marital intentions; and (4) when three subfactors of the material valu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mong women,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possessions to judge one's own success and that of other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marital intentions, and the belief that possessions and the acquisition of materials lead to happiness and satisfac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marital intentions. Further discussion is provided about the interpretation and implications of the results.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서 미혼 청년들의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된 경제적 변인들을 객관적/주관적, 개인 수준/부모 수준으로 구분하여 변인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고, 그러한 변인들의 영향력을 고려한 상황에서 물질에 대한 가치관, 즉 물질주의(성공판단, 소유중심, 행복추구)가 결혼의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성별에 따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2-30대 미혼 남녀 5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남성과 여성 각각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여성의 소득은 결혼의향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지만 남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주관적 계층인식은 남녀 모두의 결혼의향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결혼지원 기대 정도는 남성의 결혼의향을 예측하였다. 넷째, 물질에 대한 가치관은 다양한 경제적 요인들의 영향을 고려한 상황에서도 결혼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성의 경우 물질의 소유를 통해 자신과 타인의 성공을 판단하는 경향이 높을수록 결혼의향을 가질 확률이 높고, 물질의 소유를 통해 자신의 행복과 만족을 추구하는 경향이 높을수록 결혼의향을 갖지 않을 확률이 높았다. 남성의 물질적 가치관은 결혼의향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의의와 추후 연구를 통한 추가적 탐색과 이해의 필요는 논의를 통해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선강.어성연(2013). 30대 미혼남녀의 결혼의향에 대한 경제자원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63-79.
  2. 권소영.강시은.엄세원.박지수.이재림(2017). 청년 남녀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세대관계 특성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지, 21(4), 3-25.
  3. 권오재(2017). 결혼의 계층화와 전통적 성 정체성의 고착: 부모 자산이 성인 자녀의 결혼 이행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경미(2014). 대학생의 물질주의와 주관적 안녕감 및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1(10), 295-314
  5. 김경미(2019). 대학생의 사회비교 경향성이 물질주의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12), 865-874.
  6. 김상윤(2021). 미혼남녀의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구광역시 30-44세 미혼남녀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영희(1996). 빈곤층 편모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및 심리적 디스트레스가 부모 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희정(2018). 미혼 여성의 다차원적 빈곤과 결혼의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세미나자료, 2018(9), 199-220.
  9. 김혜영.선보영(2011).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결정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 12(2), 3-35. https://doi.org/10.22862/KJSR.2011.12.2.001
  10. 남희수(2009). 저소득 모자가정 가구주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가족기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모자보호시설을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박선영.이재림(2022). 한국 청년의 결혼의향 영향요인 메타분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7(1), 107-137.
  12. 박주희(2016). 가족가치관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기대가 남녀 대학생의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4(4), 21-35.
  13. 박주희(2017). 취업미혼남녀의 결혼지원정책 만족도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4), 1-15. DOI : 10.22626/jkfrma.2017.21.4.001.
  14. 박지수.이재림(2016). 부모의 경제적 지원이 청년의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진로기대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016 추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62-263.
  15. 박혜민.전귀연(2018). 미혼남녀의 정서적.당위적.기능적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2(4), 53-80.
  16. 변수정.조성호.이지혜(2018). 청년층의 주거특성과 결혼 간의 연관성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7. 손지성(2017). 한국 빈곤층 남성들의 연애와 결혼 포기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손해인.이수민.조성봉(2022). MZ세대 미혼 남녀의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통합적 탐색. 한국가족치료학회 2022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05-122.
  19. 신희성.김태익.박유빈.박선웅(2017). 물질주의와 정신건강: 경제적 수준으로 조절되지 않는 부적관계. 보건사회연구, 37(3), 368-397. https://doi.org/10.15709/HSWR.2017.37.3.368
  20. 양다연.유계숙(2020). 주관적 사회계층 인식이 결혼 및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생애학회지, 10(1), 77-100. https://doi.org/10.30528/JOLSS.2020.10.1.005
  21. 어주경(1998). 저소득층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아동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오민지(2021). 여성의 결혼과 출산에 관한 연구: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통합모형의 검토.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오지혜(2020). 부모의 사회경제적 자원이 자녀의 결혼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패널 1998-2016년 자료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40(4), 50-81. https://doi.org/10.15709/HSWR.2020.40.4.50
  24. 유지혜.설경옥(2018). 한국판 물질주의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4(3), 385-410. https://doi.org/10.20406/KJCS.2018.8.24.3.385
  25. 윤태실.민주홍(2020). 부모-자녀 쌍 자료를 활용한 가족가치관과 미혼성인자녀의 결혼의향과의 관련성: 세대관계의 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5(3), 105-124.
  26. 이수민.조성봉(2022a). 20-30대 성인의 결혼에 대한 태도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경제적 수준의 조절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 2022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44-146.
  27. 이수민.조성봉(2022b). 결혼-자녀가치관에 따른 미혼 성인 남녀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물질주의가 미치는 영향 탐색. 한국가족치료학회 2022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59.
  28. 이정은(2017). 미혼여성의 결혼의향 결정요인에 관한 통합적 연구. 평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원아름(2015).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정의준.유승호(2018). 물질주의적 가치관과 주관적 계층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18(3), 89-99.
  31. 정희경.신형진(2020). 결혼가치관의 변화가 초혼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학회, 32(1), 132-155.
  32. 조성호.변수정(2020). 미혼인구의 이성교제와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0(4), 82-114.
  33. 조예랑(2020). 발현성인기(20-29세) 청년의 가족건강성, 결혼가치관, 성역할태도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최연주.문정희.안정신(2020). 미혼 남녀의 가족건강성과 결혼의향의 관계: 가족가치관의 매개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31(4), 663-679.
  35. 최효미(2017). 청년 미혼층의 결혼 및 출산 의향에 관한 연구. 가정과삶의질학회 2017 공동춘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49-55.
  36. 홍은영(2011). 미혼성인의 결혼의향 및 태도와 부모의존의 관계.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황인자(2021). 부모의 지원과 조직문화, 결혼지원정책이 미혼직장인의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1), 15-34. DOI : 10.22626/jkfrma.2021.25.1.002.
  38. Belk, R. W.(1984). Three Scales to Measure Constructs Relatedto Materialism: Reliability, Validity, and Relationships to Measures of Happiness. Advances inConsumer Research, 11, 291-297.
  39. Dean, L. R., Carroll, J. S. & Yang, C.(2007). Materialism, perceived financial problems, and marital satisfaction.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35(3), 260-281. https://doi.org/10.1177/1077727X06296625
  40. Dittmar, H., Bond, R., Hurst, M. & Kasser, T.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ism and personal well-being: A meta-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7(5), 879-924. https://doi.org/10.1037/a0037409
  41. Lempers, J. D., Clark-Lempers, D. & Simons, R. L.(1989). Economic hardship, parenting, and distress in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25-39.
  42. Li, N. P., Lim, A. J., Tsai, M. H. & O, J.(2015). Too materialistic to get married and have children?. PloS one, 10(5), e0126543.
  43. Richins, M. L. & Dawson, S.(1992). A consumer values orientation for materialism and its measurement: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9(3), 303-316. https://doi.org/10.1086/209304
  44. Silver, L., Kessel, P., Huang, C., Clancy, L. & Gubbala, S.(2021). ''What Makes Life Meaningful? View From 17 Advanced Economies'' Pew Research Center. https://www.pewresearch.org/global/2021/11/18/what-makes-life-meaningful-views-from-17-advanced-econom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