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Changes in Consumers' Interest Areas Related to Skin under the Pandemic: Focusing on Structural Topic Modeling

팬데믹에 따른 소비자의 피부 관련 관심 영역 변화 분석: 구조적 토픽모델링을 중심으로

  • 김나경 (부경대학교 데이터정보과학부 통계.데이터사이언스전공) ;
  • 박지원 (부경대학교 데이터정보과학부 통계.데이터사이언스전공) ;
  • 문형빈 (부경대학교 데이터정보과학부 빅데이터융합전공)
  • Received : 2024.01.24
  • Accepted : 2024.03.20
  • Published : 2024.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beauty industry due to the pandemic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based on consumers' opinions about their skin online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Furthermore, this study tries to derive strategies for companies and governments to support sustainable growth and innovation in the beauty industry. To this end, posts on social media from 2017 to 2022 that contained the keyword 'skin concerns' are collected, and after data preprocessing, 96,908 posts are used for the structural topic model. To examine whether consumers' interest areas related to skin change according to the pandemic situation, the analysis period is divided into 7 periods, and the variables that distinguish each stage are used as meta-variables for the structural topic model.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consumers' interests can be divided into 22 topics, which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main categories: beauty manufacturing, beauty services, skin concerns, and 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in construction of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of related companies and the establishment of economic support policies by the government in response to changes in demand in the beauty industry due to the pandemic.

최근 뷰티 산업은 급격한 성장과 혁신으로 빠르게 발전하였으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마스크 착용 및 비대면 생활의 증가와 같은 생활 양식 변화에 따라 새로운 전환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상에 나타난 소비자의 피부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여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뷰티 산업의 변화를 수요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소셜 미디어에 게재된 게시글 중 '피부 고민'을 포함한 96,908개의 게시글을 수집하고 이를 구조적 토픽모델에 적용하여 피부 관련 주제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가 고민하고 있는 피부 관련 주제는 총 22개로 구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주제는 크게 뷰티 제조업, 뷰티 서비스업·연관산업, 피부고민, 기타 등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분석 기간을 코로나19 팬데믹의 확산 양상을 기준으로 7개 단계로 나누고 각 토픽의 비중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상승, 하강, 일정, 진동으로 구분하여 보았다. 코로나19 팬데믹 전과 후 시점에 대하여 주제별 비중의 변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 피부 고민 중 피부 트러블(여드름)과 이와 관련된 제품(스팟패치)은 상승 분야로, 뷰티 연관산업 중 성형외과와 한의원은 하강 분야로, 뷰티 제조업 중 수분 마스크팩, 메이크업 제품은 큰 변화가 없는 일정 분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 발생기간 내에서 팬데믹이 최고조에 달한 시기에는 바디케어 제품과 관련된 토픽이 급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뷰티 산업의 수요 변화에 대응하여 기업이 제품 개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으며, 팬데믹 발생 시 정부가 경제적 지원 정책을 수립하는 경우 정책 추진의 근거로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과제번호: 2022R1F1A1076189, RS-2023-00242528)

References

  1. KOSIS 국가통계포털 (2022). 주요국의 화장품 시장규모.
  2. 고경화 (2012). 뷰티산업 정책.제도조사.분석-뷰티산업 해외진출 방안
  3. 김동환, 유태경, 이윤예, 안미라, 안성은, 백상주 (2022).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의 공공 및 민간의료기관의 입원의료이용 변화. HIRA Research, 2(2), 183-201.
  4. 김성연 (2022). 구조적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한국과 미국의 산업수학 연구동향 비교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3(8), 140-155.
  5. 김정연 (2007). 뷰티전문서비스의 유형별 고객가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서울.
  6. 노경란, 유수현, 최현규 (2011). 효율적 연구를 위한 소셜 미디어 활용.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7. 노예영, 김기한 (2020). 트위터에 반영된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사회적 시청 이슈 분석: 구조적 주제 모형(Structural Topic Modeling)의 적용.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5(6), 1-17.
  8. 바야르마, 안은재 (2021). 뷰티 산업의 에코 트렌드 분석. 한국뷰티경영학회지, 9(1), 53-64.
  9. 박한샘, 김동현, 장성주 (2019). 구조적 토픽 모델링 기반 스마트 시티 연구 동향 분석.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20(9), 1839-1846
  10. 백혜연, 조선영 (2017). 글로벌 뷰티산업 트렌드 및 시사점에 관한 연구.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7(1), 47-52.
  11. 백혜연 (2022). 코로나-19가 뷰티산업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12(3), 433-441.
  12. 산업연구원 (2022). 서울형 뷰티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학술용역. 산업연구원.
  13. 서울대학교병원 (2022). 서울대학교병원 코로나19 백서.
  14. 선정은, 정재은 (2023). 전기차에 대한 소비자 인식 연구: 구조적 토픽모델(STM)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34(3), 211-242. doi: 10.35736/JCS.34.3.9
  15. 손희영, 이명종, 변영조 (2022). 토픽모델링으르 활용한 한국의 창업생태계 드랜드 변화 분석. 한국지식경영학회, 23(4), 315-338.
  16.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 화장품, 2년 연속 10조 수출 달성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등 수출 다변화. 식품의약품안전처 보도자료.
  17. 신기동, 손성민, 장동찬, 한영숙 (2023). 코로나19에 따른 뷰티트렌드 변화와 경기도 뷰티산업 대응 전략. 경기연구원.
  18. 신명자 (2014). 우리나라 뷰티산업의 현황과 향후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메이크업디자인학회지, 10(2), 1-10.
  19. 안산환경재단 (2022). 안산시 뷰티산업 발전과제 및 정책방향. 안산환경재단.
  20. 안세환, 고강욱, 김영민 (2022). 디지털 전환: D.N.A.(Data, Network, AI) 키워드를 활용한 토픽 모델링. 지식경영연구, 23(3), 129-152.
  21. 안재영, 심소연, 윤혜정 (2022).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메타버스 증강현실 연구 동향 분석. 지식경영연구, 23(2), 123-142.
  22. 안진정 (2022). 코로나19 이후 MZ세대 남.여의 화장품 구매동향 비교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30(4), 180-198.
  23. 윤은지, 강보영 (2023). 구조적 토픽 모델링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코로나 19 백신 보도 프레임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8(5), 129-153.
  24. 이윤진, 김기영 (2010). 우리나라 뷰티산업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한국미용학회지, 16(3), 644-651.
  25. 정유경, 송종대 (2023).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교육정보화 이슈 분석: 교육정보화 기본계획 및 코로나19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61(2), 1-32.
  26.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2020). 생활 속 거리 두기 기본지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27. 조성배, 하성호 (2020). 구조적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공공데이터 수요 분석. 정보화연구, 17(2), 103-118.
  28. 차현주 (2023). 딥러닝 언어모델을 활용한 구조적토픽모델링 (STM) 기반의 지식그래프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54-158.
  29. 최에스더, 이명주, 서수연 (2022). 빅데이터를 활용한 K-뷰티산업 트렌드 예측. 한국미용학회지, 28(6), 1373-1382.
  30.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6). 화장품산업 분석 보고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31.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7). 화장품산업 분석 보고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32.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9). 화장품산업 분석 보고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33.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0). 화장품산업 분석 보고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34. 한국언론진흥재단 (2021). 2021 소셜미디어 이용자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35. 황제이, 김금란 (2021). 비건 뷰티와 뷰티산업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9(1), 45-49. 
  36. Roberts, M. E. (2019). Stm: R package for structural topic models.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10(2),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