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Foliar Spray of Urea on Urease Activity in various Plant Leaves

요소엽면시비(尿素葉面施肥)가 Urease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 Hong, Jong-Uck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Kyugb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Hyo-Sa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Kyugbook National University)
  • 홍종욱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이효사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Published : 1981.03.31

Abstract

Changes of urease activity in plant leaves following foliar application of urea were investigated with soybean, rye, tomato, radish and cabbage which were actively growing in a field. In this experiment, the procedure of the enzyme assay included incubation of the reaction mixture at $60^{\circ}C$ for 3 hr in order to inactivate heat unstable enzmes which may utilize ammonia produced by urease. The leaves with urea application showed somewhat higher urease specific activities for 2-4 days immediately after the foliar spray as compared with controls. The most difference of the specific activies between urea treatment and control was usually observed 2 days after urea application regardless of the plants. The difference of the specific activities disappeared completely 4 or 5 days following urea treatment. Protein contents in the leaves of soybean and tomato were increased for about 5 days after urea treatment,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with rye, radish and cabbage. Urea application showed slightly lower ammonia concentration in the leaves which had higher urease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liar spray of urea is very effective when nitrogen supply is required for rapid growth.

본 실험에서는 요소(尿素) 엽면시비(葉面施肥)에 의한 잎내 urease 효소의 활성도(活性度)에 미치는 영향을 콩, 라이맥, 토마토, 무 및 배추를 공시재료(供試材料)로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urease 활성도(活性度)의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효소조액(酵素粗液)에 포함되어 있는 암모니아 이용 효소 중에서 열(熱)에 약한 효소의 불활성화(不活性化)를 꾀하고져 효소 반응액을 $60^{\circ}C$에서 3시간 동안 처리시켰다. 뇨소 처리를 받은 잎에서 urease 비활성도(比活性度)가 뇨소 무처리구(無處理區)에서 보다 엽면살포 후 일반적으로 2 내지 4일 동안에는 약간 높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뇨소 처리구와 무처리구 간의 효소비활성도 차이는 어느 식물에서나 뇨소 처리 후 48시간 경과하였을 때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콩과 라이맥의 경우에는 각가 6%와 10% 정도 높았고 토마토와 무에서는 약 20%정도, 배추에서는 60%정도의 차이가 있었다. 단백질의 함량은 콩과 토마토의 경우에서는 뇨소 처리구에서 엽면살포 후 약5일 동안 대조구(對照區)에 비해 높은 수준(水準)을 유지했으나 라이맥, 우무 및 배추에서는 본 실험기간 동안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잎내의 암모니아 농도는 urease 활성이 증가된 뇨소 처리구에서 오히려 약간 낮은 값을 보였다. 이상(以上)의 실험결과들은 뇨소의 엽면살포시 식물의 잎속으로 흡수(吸收)되어 들어간 뇨소가 urease의 생합성을 유도(誘導)하여 빨리 질소원(窒素源)인 뇨소를 식물 성장에 필요한 다른 대사물로 전환시켜 결과적으로 단기간내에 식물의 생육상태(生育狀態) 개선(改善)을 촉진시킨다고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