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췌장 유래 엘라스타제의 항원성 시험

  • 김순희 (동아제약주식회사 연구소) ;
  • 백남기 (동아제약주식회사 연구소) ;
  • 이상득 (동아제약주식회사 연구소) ;
  • 김원배 (동아제약주식회사 연구소) ;
  • 양중익 (동아제약주식회사 연구소) ;
  • 안병옥 (동아제약주식회사 연구소) ;
  • 이순복 (동아제약주식회사 연구소)
  • Published : 1990.09.01

Abstract

엘라스타제를 기니픽에 감작시킨 후에 항체검출시험을 실시하였다. 감작은 경구투여 및 피하주사의 두가지 방법으로 하였다. 경구감작은 투여직전 엘라스타제를 생리식염수에 용해한 후 강제투여하였으며, 피하감작은 엘라스타제를 Freund's complete adjuvant 에 현탁시킨 후, 목 뒷부분에 주사하였다. 항체생성의 양성, 음성 검출은 경구감작군에 대해, 능동적전신성아나필랙시 (ASA번)과 면역확산번 (ID법)으로, 피하감작군에 대해 수신피부아나필랙시 (PCA법)으로 행하였다. 결과, 경구감작군은 임상용량 (180 Unit/kg)의 경우는 ASA법 및 ID법 모두에서 음성을 보였으나, 임상 10배용량의 경우는 ASA법에서는 양성을 보인 동물이 있었으나 통계학적 우의성은 없었으며 (p<0.1), ID법에서는 음성을 보였다. 피하감작군은 모든 투여군에서 PCA양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엘라스타제는 항원성이 인정되나, 임상용량을 경구적으로 투여한 경우는 항원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