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Korean Style of Typography - Aesthetic of Simplicity, the Essence of Style

타이포그라피의 한국성 연구 - 단순 미학, 그 고유성의 근거에 대하여

  • 유정미 (서울산업대 시각디자인과)
  • Published : 1999.02.01

Abstract

With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chnology since the late 1970s, we have been shifting from the industrial era into the information age. New communication systems have changed our concept of reality. Korea has a wealthy communication heritage with its own language and alphabet. However, Korean typography today has struggled to keep its originality, and does not hold up well to international standards. Korean contemporary typography is not efficient for communicating. It is not orderly, organised and simple. It has currently become complicated and decorative. Moreover, many young designers are attracted by imitations of western trends. It is now time for Korea to reveal its own identity. How can it develop a new typographic language that is more sympathetic to Korean tradition\ulcorner How will Korean information design produce a contemporary style with international relevance that contributes to world culture\ulcorner This thesis will be developed a new Korean typographic language that relies more on Korean traditions. Simultaneously, in this thesis will be examined Swiss typography as a relevant style for a new Korean typography to incorporate. Swiss typography maintained a similar philosophy to Korean tradition with its emphasis on clarity and simplicity. This study will be explored the potential of creating a contemporary Korean typographic solution which combines the traditions of Korea with the clarity of Swiss typography. The first attitude of the new typographic language should focus on legibility. The second condition of the new typographic philosophy based on the ability of designers is interpretation of context. The third concept of the new language is founded on an objective, rational design attitude. The final mental attitude of the new typographic language should feel a deep obligation to traditions. It is crucial time for Korean alphabet to establish a relevant standard rather than goes uncritically with the international current. Korea has had worthy traditions. It is suggested that the answers to 'good design' lie in the study of Korea's own history. Simultaneously, the research of Swiss design which is a

1970년대 후반에 소개된 디지틀 기술과 함께 우리 인류는 지금 산업화 시대로부터 '정보화 시대'로 이동해가고 있다.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은 기존의 현실 인식 체계를 바꾸어 놓을 만금 놀라운 것이다. 한국은 고유한 문자와 언어를 지니고 있는 민족이다. 그러나 타이포그라피 분야는 우리만의 고유한 규범을 제대로 갖지 못하고 있으며 국제적인 보편성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대 한국의 타이포그라피는 커뮤니케이션의 기본인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체계를 지니지 못한 채 복잡하고 장식적이며 혼란스러운 양상을 자주 드러내고 있다. 심지어 젊은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서구 스타일을 무분별하게 모방하고 있다. 이제 우리는 우리의 고유한 철학을 확립해야 할 때이다. 다양하게 변해 가는 정보화 사회 속에서 어떻게 한국적인 고유성을 확보할 것인가? 어떻게 보편적인 국제성을 지니고 세계 문화에 기여 할 것인가를 연구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적인 고유성을 갖는 철학의 바탕을 우리 전통 문화에서 찾고자 한다. 또한 한국 현대 타이포그라피에 적합한 통합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스위스 모더니즘의 철학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스위스 타이포그라피는 그 간결함과 단순함의 미학을 특징으로 했다는 점에서 한국 전통의 미의식과 유사한 점이 많다 이에 본 연구는 이 두 방향간의 공통적인 철학을 토대로 우리에게 적합한 새로운 한국적 타이포그라피의 규범을 확립해 보았다. 첫째, 가독성을 우선시하는 디자인 양식의 개발. 둘째 , 내용의 핵심을 담아낼 수 있는 디자인 셋째,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디자인 태도의 견지 마지막으로 전통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지닌 정신적인 자세를 가져야 한다는 점이다. 지금 우리는 세계적인 조류를 무비판적으로 따르기보다 우리 한글에 맞는 적절한 규범을 갖는 것이 더 중요한 시점이다. 우리 전통의 미의식에 대한 연구가 우리에게 '좋은 디자인'의 해답을 줄 것이다. 그와 동시에 객관적이고 간결한 양식인 스위스 디자인에 대한 탐구가 세계적인 보편성을 확보해 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