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ortance Analysis of Experts on Eco-Cultural Regeneration Index in Island Regions

도서지역의 생태문화적 재생 요소에 대한 중요도 분석

  • Received : 2011.10.10
  • Accepted : 2011.12.27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is study induced ecological and cultural regeneration factors which can be introduced in island regions. And then, survey on recognition on importance was carried out with experts group. First of all, based on status and development trend of islands, farming and fishing village, ecological and marine city, eco-cultural regeneration factors fit to islands area were induced. Ecological regeneration factors were classified to land use, transportation system, buildings, and resources cycle. While cultural regeneration factors were classified to preservation, making tourism resources, and base facilities. This study compared recognition on importance by field such as occupation and major field. One-way ANOVA was used. As a result, this study compared recognition on importance about eco-cultural regeneration factors in island regions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

본 연구는 도서지역에 도입 가능한 생태 문화적 재생 요소를 도출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중요도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도서지역의 현황과 개발 동향, 농어촌 마을 및 생태 해양도시를 기초로 하여 도서지역에 적합한 생태문화적 재생 요소를 도출하였다. 생태적 재생 요소에는 토지이용, 교통체계, 건축물, 자원순환으로 분류하고, 문화적 재생 요소에는 보존 및 보전, 관광자원화, 기반시설로 분류하였다. 직업분야(학계, 공공기관, 민간회사), 전공분야(도서 해양, 문화 관광, 생태 환경, 도시계획)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차이분석은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도서지역의 생태문화적 재생 요소에 대한 전문가 집단간 중요도 인식을 비교하였다. 토지이용부문은 학계와 공공기관 간 충분한 협의가 있어야 하고, 전문가들은 생태문화자원의 보존을 통해 도서지역이 활성화 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본현, 2010, 도시중심부 공원의 친환경성 내재화 방안 연구 : 서울 용산공원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학 석사학위 논문.
  2.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06, 한국 사회의 질적 발전을 위한 구상 살기 좋은 지역만들기, 제이플러스 애드.
  3. 국토연구원, 2009, 수변공간․도시 디자인 전략연구.
  4. 국토해양부, 2008, 해양생태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5. 국토해양부, 2009, 중부권 해양관광자원개발사업 추진현황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6. 국토해양부, 2011, 경인권 탄소저감형 해양관광기반시설 계획기법 연구.
  7. 김선종, 2008, 지속가능한 해양관광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관광자원개발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공공정책전공 석사학위 논문.
  8. 김성귀, 2004, 해양관광론, 현학사.
  9.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9, 도시개발론, 보성각.
  10.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0, 도시계획론, 보성각.
  11. 대한주택공사, 2007, 문화공간조성을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에 관한 연구.
  12. 문화체육관광부, 2008, 섬 관광 활성화를 위한 과제 발굴 및 평가모델 개발.
  13. 문화체육관광부, 2009, 국토 끝 섬 관광자원화 기본계획(안) 수립 연구.
  14. 박소연, 2010, 자연친화형 해양관광단지의 계획요소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학 석사학위 논문.
  15. 박소연․신선미․변병설, 2009, "경인권 해양관광자원 개발사업의 특성 분석", 국토지리학회지, Vol. 43 No. 4, pp. 587-597.
  16. 박현신, 2010, 기후변화에 대비한 저탄소 신도시 계획지표 개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학 석사학위 논문.
  17. 변병설․전하나, 2008, "인천 도서지역의 해양환경자원과 관리실태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 11 No. 4, pp. 618-630.
  18.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6, 도시재생정책의 국제비교 연구: 영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19. 양회은, 2010, 연안마을 어메니티 자원의 발굴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여수시 화양면 장수리를 중심으로, 순천대학교 대학원 조경학 석사학위 논문.
  20. 염미경, 2000, "도서지역의 활성화 정체성 정치: 일본 미이라쿠의 역사마을 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34집 pp. 747-782.
  21. 정석중․이미혜, 2004, 해양관광론, 대왕사.
  22.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7, 해양 관광개발 사례연구: 국내외 관광개발 사례 연구(II).
  2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4, 수산시설 관광자원화 방안에 관한 연구.
  24.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7,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 살기 좋은 어촌, 가고 싶은 바다 조성에 관한 연구.
  25. 한무영, 2009, 신도시의 빗물이용계획 사례: 행정중심복합도시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세미나 자료.
  26. 홍선기, 2007, "도서해양의 생태․문화자원의 활용과 지역 활성화", 농촌계획 Vol. 13 No. 3 pp. 61-72.
  27. 황상규, 2009, 저탄소 에너지 절감형 신도시 녹색교통체계 구축방안,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세미나 자료.
  28. Baum, T., 1997, The fascination of islands: A tourist prospective. In D. G. Lockhart & D. Drakakis-Smith(Eds.), Island tourism: Trends and prospects, London: Pinter, pp.21-35.
  29. Davoudi.Crawford․Mehmood, 2009, Planning for Climate Change, Earthscan, London.
  30. Roberts Peter․Sykes H, 2000, Urban Regeneration: A handbook, London: Sage Publication.
  31. Tolley, Rodney, 1990, The hard road: The problems of walking and cycling in British cities, The Greening of Urban Transport, London : Belhave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