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Linked Data from Authority Data in National Archives of Korea

기록물 전거통제 기반 Linked Data 구축에 대한 연구

  • 박옥남 (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2.05.21
  • Accepted : 2012.06.14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inked data of authority data in national archives of Korea as a cornerstone for linked data cloud of Korea. The study analyzed data structure of authority data as well as a retrieval system. It finally developed linked data based on RDF/OWL, Dublin Core, and SKOS. The study also employed TopBraid ComposerTM as a tool for ontology construction. The visualization of the tool provides users with flexible search and browsing between data as well as access of detail authority data. It complements the search of a current system in terms of flexible linking between records and authority data. The study also suggests future work to publish linked data of archival data set itself and make rich relationships among data in museums, libraries, and other archives.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Linked Data Cloud를 위한 단계로 국가기록원 전거데이터 셋을 Linked Data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가기록원 전거 데이터의 구조 및 검색시스템을 분석한 후, 전거데이터 셋을 RDF/OWL로 모델링하는 과정을 거쳐 Linked Data로 구축하였다. 또한 기록물의 Linked Data화를 위해 Dublin Core, SKOS(Simple Knowledge Organization System)를 활용하였고 온톨로지 설계도구로 TopBraid Composer TM을 사용하였다. 구축된 RDF/OWL 데이터는 시각화화면을 통해 전거데이터의 자유로운 확장, 전거데이터 용어간의 탐색, 용어의 상세 전거데이터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기록물과 연계를 통해 기존 기록물 검색에서 한계로 지적되었던 기록물과 전거데이터간의 연계의 부족을 보완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혁. 2011. 도서관 자료공개와 활용을 위한 링크드 데이터 기술. 국회도서관보, 48(3): 24-33.
  2. 김태동. 2010. Gov2.0시대의 공공정보 공유․ 연계 강화를 위한 전략. 국회도서관보, 47(7): 22-28.
  3. 류미숙. 2009. 행정기관의 기록물 전거레코드 구축 밀 활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협동 과정.
  4. 배정현. 2007. 디지털 문화 유산 콘텐츠 공동 활용을 위한 협력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5. 서혜란. 2005. 도서관과 기록관의 협력방안 모색. 한구비블리아학회 발표논집, 13: 111-128.
  6. 설문원. 2010. 기록 검색도구의 발전과 전망. 한국기록학연구, 23: 3-43.
  7. 신동수, 이상철, 김신열. 2008. FOAF 온톨로지 기반 프로젝트 팀 구성 시스템. 한국정보과학회, 35(2): 228-233.
  8. 안태성. 2010. Linked Open Data(LOD) 소개. [cited 2012.5.12]. .
  9. 오원석. 2009. Linked Data 동향과 전망. 서울: (주)탑쿼드란트코리아.
  10. 이만재. 2011. 빅데이터와 공공데이터의 활용. Internet and Information Security, 2(2): 47-64
  11. 이연호, 오경진, 신위살, 조근식. 2011. 링크드 데이터를 이용한 협업적 비디오 어노테이션 및 브라우징 시스템. 지능정보연구, 17(3): 203-219.
  12. 정효숙, 김희진, 박성민. 2011. 일반인을 위한 링크드 데이터 생성 시스템 개발 및 활용.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4(2): 47-59.
  13. 한성국, 이현실. 2006. 시소러스를 활용한 온톨로지 구축방안 연구: 시소러스의 SKOS 변환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1): 285-303.
  14. Berners-Lee, T. 2006. Linked Data-Design Issues. Retrieved. [cited 2012.5.12]. .
  15. Bizer, C., T. Heath, and T. Berners-Lee. 2009. "Linked Data-The Story So Far." International Journal on Semantic Web and Information Systems. [cited 2012.2.17]. .
  16. Fripp, D. 2010. "Using linked data to classify web documents." Aslib Proceddings, 62(6): 585-595. https://doi.org/10.1108/00012531011089694
  17. Soderback, A. Why Libraries should embrace Linked Data. [cited 2012.2.17]. .
  18. Stuart, D. 2010. "Linked Data and Government Data." Online, 34(3): 36. Linked Data. [cited 2012.4.15]. .
  19. Linked Data. [cited 2012.4.15]. .
  20. Linked Data Open Project. [cited 2012.5.5]. .
  21. RDF Primer. [cited 2012.5.10]. .
  22. SKOS Primer. [cited 2012.5.4]. .

Cited by

  1. SKOS를 이용한 신학 시소러스의 온톨로지로의 변환에 관한 연구 vol.43, pp.3, 2012, https://doi.org/10.16981/kliss.43.3.201209.143
  2. 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링크드 데이터 국가 연계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vol.30, pp.1, 2012, https://doi.org/10.3743/kosim.2013.30.1.259
  3. LOD 기반 한국사 콘텐츠 서비스 구축에 관한 연구 vol.30, pp.3, 2013, https://doi.org/10.3743/kosim.2013.30.3.297
  4. LOD기반의 문화콘텐츠 정보서비스 확장에 관한 연구: K-Food 분야를 중심으로 vol.32, pp.1, 2015, https://doi.org/10.3743/kosim.2015.32.1.109
  5. 온톨로지 기반의 기록물 검색 시스템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안 vol.17, pp.1, 2017, https://doi.org/10.14404/jksarm.2017.17.1.217
  6. 오픈소스 도구를 이용한 기록정보 링크드 오픈 데이터 구축 절차 연구 vol.34, pp.1, 2012, https://doi.org/10.3743/kosim.2017.34.1.341
  7. 기록정보 LOD 구축을 위한 의미 상호연결 자동화 실험 연구 vol.17, pp.4, 2012, https://doi.org/10.14404/jksarm.2017.17.4.177
  8.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시맨틱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이용자 중심 관계형 패싯 네비게이션을 중심으로 vol.19, pp.4, 2019,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4.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