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ng the Locational Advantage for Developing Overseas Industrial Park

해외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국가별 산업입지 비교우위에 관한 연구

  • 장인석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성장환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정연우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2.12.10
  • Accepted : 2013.05.30
  • Published : 2013.07.30

Abstract

The indices to choose the object countries for developing overseas industrial park were developed and applied in this paper. The results are showing as follows. First, the Korean enterprises are branched out into total 128 countries as of the first quarter of 2010, and the 13 asian countries including China, Vietnam, Japan, and Hongkong shows the majority of precedence 20 countries among the reported during 1980-2010. Second, the 3 steps of selecting the principal region to branch out, establishing assessment indices and criteria, and choosing strategical target counties were developed to choose the countries for developing overseas industrial park. The 38 of 128 countries were selected where the GDP per capita is lower than Korea, and the local reports of incorporation during 2007-2010 are more than 10 times. Then, the 10 countries were excluded where the minimum wages during 2008-2009 are similar to Korean ($815/month). Consequently, the 28 countries including China, Vietnam, and Cambodia etc. were selected as the major target regions. Third, the indices to choose countries for developing overseas industrial park are classified into 5 categories-investment condition, labor market flexibility, potential market demand, population, changing rate of the reported number of manufacturing industry, and detailed indices for each category were selected, then the weight were given with the consideration of importance. Finally, Indonesia, Mongolia, and Uzbekistan were selected as the strategical target counties where acquire the high score in labor market flexibility and investment condition, relatively undeveloped, and friendly to Korea.

이 논문은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전용산업단지 조성을 전제로 주요 국가들에 대한 산업입지결정변수를 적용하고 이에 따른 비교우위결과를 분석 한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2010년 1/4분기 현재, 우리기업이 진출한 국가들은 모두 128개국이며, 이 중 '80년~2010년 동안의 총 신고건수 기준 상위 20개국은 중국, 베트남, 일본, 홍콩 등 아시아 지역에 속한 국가가 13개로 가장 많았다. 둘째, 해외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주요 분석대상국을 선정하였다. 128개 국가 중에서 1인당 GDP가 우리나라 보다 낮고, 2007년~2010년 동안 현지 법인 신고건수가 10건 이상인 38개 국가를 선별하였고, 이 중 2008~2009년 기준 월 최저임금이 우리나라와 유사한 수준(815달러/월)의 10개 국가를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등 총 28개국을 주요 분석대상국가로 선정하였다. 셋째, 해외산업단지 조성시 국가별 비교우위 평가지표를 크게 투자유인정책, 노동시장 유연성, 시장수요 잠재력, 인구규모, 제조업 신고건수 변화율 등 5개 부문으로 구분하고, 부문별로 세부지표를 선정한 후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넷째, 28개 국가를 대상으로 평가지표를 적용한 바, 노동시장 유연성과 투자유인정책 부문의 평가점수가 높고 상대적으로 미개척된 지역으로서 우리나라와 우호 관계에 있는 인도네시아, 몽골, 우즈베키스탄 등이 전반적인 비교우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애, 김재범(2010), "산업별 차이가 외국인 투자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35(1): 103-105.
  2. 김정한(2012), "내국인의 대외투자와 외국인 대내투자간 성과차이", 주간금융브리프, 21(27): 10-11.
  3. 산업연구원(2003), 지역별 산업집적의 구조와 집적경제분석.
  4. 이기동, 황석중(2010), 산업입지, 환경 그리고 지역경제, 집문당.
  5. 이번송, 김지순(2005), "산업의 지역적 집중이 사업체의 규모에 미치는 영향", 경제학연구, 53: 210-220.
  6. 정의철, 이번송, 조찬호(2005), "우리나라 제조업 집적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국제경제연구, 11: 80-110.
  7. 최창규(2004), "국별 외국인 직접투자기업의 결정요인 분석", 국제경제연구, 10(1): 52.
  8. 한국수출입은행, 해외투자통계, 1980-2010.
  9. Anderson, R., J. Quigley and M. Wihehnsson (2008), "Agglomeration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reativity", Regional Science, 83: 450-463.
  10. Caves, R. (2006), "Multinational Enterprise and Economic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1. Fujita, M. and T. Mori (2005), "Frontiers of the New Economic Geography", Papers in Regional Science, 84(3): 377-405. https://doi.org/10.1111/j.1435-5957.2005.00021.x
  12. Glickman, N. and D. P. Woodward (2008), "The Location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he United States : Pattern and Determinants", International Regional Science Review, 11: 137 -154.
  13. Head, K. and T. Mayor (2004), "Market Potential and Location of Japanese Investment in European Union",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84: 959-972.
  14. IMF (2009),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April 2009.
  15. ILO, Global Wage Report 2008-2009.
  16. Kang, S. J. and H. Lee (2007), "The Determinants of Location Choice of South Korean FDI in China", Japan and World Economy, 19: 443-459.
  17. Krugman, P. R. (1991), Geography and trade, MIT Press, Cambridge.
  18. OECD, Working Conditions Laws 2006-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