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Apartment Brand Image Characteristics on Purchase Intention

아파트 브랜드이미지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문효곤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3.06.03
  • Accepted : 2013.07.10
  • Published : 2013.07.30

Abstract

There have been a lot of previous studies that brand image has a positive impact on purchase as well as the value enhancement of the product with the spread of brand importance and the introduction of brand in the apartment. This study verified that brand image can be factorized and separated into two factors - basic characteristics and additional characteristics. The basic characteristics means essential parts that generally should be provided for housing and the additional characteristics are competitively developed concepts introduced by construction companies for sales promoti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that verified the effects of the two factors on purchase intention are as follows. The basic characteristics have the positive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while the additional characteristics are otherwise. This result suggests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be faithful to the basics than to be competitively differentiated by the addi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apartment market.

아파트에도 브랜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도입이 확산되었으며, 많은 선행연구들은 아파트의 브랜드이미지가 제품의 가치는 물론 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입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이미지의 특성이 기본적 특성과 부가적 특성이라는 두 가지 요인으로 세분하여 구성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기본적 특성은 대체로 주택이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사항들이며, 부가적 특성은 주로 건설업체들이 분양 성과를 높이기 위해 경쟁적으로 개발해 온 개념들이다. 이러한 특성 별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해 본 결과, 기본적 특성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부가적 특성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주택 제품에서 경쟁적인 차별화보다는 기본적 특성에 충실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두수(2007), 아파트 브랜드 아이텐티티 구축을 위한 마케팅 전략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2. 김철수(2007), 아파트 브랜드자산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3. 김홍규, 김갑성, 노대욱, 박일용(2005), "아파트브랜드가 아파트 청약경쟁률에 미치는 영향분석", 지역연구, 21(2): 125-144.
  4. 박혜성, 손숙리, 김재준(2006), "고객기반의 아파트브랜드자산 형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22(7): 83-90.
  5. 배수용, 유형한, 이상법, 김정길(2004), "POE기법을 통한 건설 업체의 브랜드마케팅 전략 평가",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24(2): 691-694.
  6. 소해숙, 장희순(2009), "아파트브랜드와 주택소비자의 구매태도", 사회과학연구, 48(2): 135-164.
  7. 신종칠(2004), "다차원척도법을 활용한 아파트브랜드의 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5): 155-168.
  8. 이문숙, 허종호, 박승배(2011), "아파트 브랜드가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품학연구, 29(1): 139-149.
  9. 이보라, 박승국(2012), 아파트브랜드가 가격형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대한건설정책연구원.
  10. 이상민, 김준석, 최윤희(2012), 브랜드 매니지먼트(케빈 레인 켈러 지음), 비즈니스북스.
  11. 이상범, 조영준, 임남기(2004), "건설업체의 브랜드아파트 마케팅 전략방안", 한국건축시공학회논문집, 4(3): 153-159.
  12. 이승영(2010), "아파트브랜드의 감성적 리인벤딩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6(1): 242-253.
  13. 이준하, 김호철(2008), "브랜드가 아파트 가격형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도시행정학보, 21(1): 185-201.
  14. 이창근, 김의준, 권영현(2011), "아파트브랜드가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분석", 도시행정학보, 24(3): 73-88.
  15. 정수연, 김태훈, 박홍희(2009), "서울 10대 브랜드가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22(3): 156-180.
  16. Aaker, A. David (1996), Managing Brand Equity. New York : Free Press.
  17.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1): 1-22.
  18. Keller, K. L. (2001), "Build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Marketing Management, 10(2): 1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