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munity Recovery Consider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hanty Towns

저소득층 주거지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공동체 회복

  • 신행우 (세종대학교 한국스페이스신택스연구소) ;
  • 김영욱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Received : 2016.04.11
  • Accepted : 2016.04.29
  • Published : 2016.04.30

Abstract

It has recently become a major concern for us contemplating could regain the advantage with a 'village' concept of the traditional in a modern city. The village community recovery project which is one of the flagship projects of seoul is being actively conducted with the aim to form a network between residents and have even appeared positive results. Among the many efforts to recover community, spatial approach may be one solution. To secure a space for people to easily access, may bring about a small but significant effect. Community Space with high visual accessibility has a large effect as a space of communication and exchange of residents. Socio-economic efforts to restore the community has a limit. In some cases of poor village, Spatial relationship network was found to be a larg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socio-economic relations network.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people lived and formed a relationship within the space of traditional forms and space disappeared from rapid social change process. The community recovery efforts are needed through research and experiments for the residential network can reflec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급격한 산업화와 개발 시대를 살아오면서 우리가 애써 외면하며 살아왔고, 각 개인에게 책임을 전가해 온 '이웃'의 문제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 그 안에서 파생되는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 현대 도시에서 전통적 개념의 '마을'이 갖고 있는 장점들을 다시 회복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것이 최근 우리의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서울시의 주력 사업 중 하나인 마을공동체사업은 주민 간 네트워크 형성에 목적을 두고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긍정적인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마을 공동체를 회복하려는 노력에서 필요한 것 중 하나가 공간적인 접근을 통한 공동체성의 회복이다. 주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작지만 큰 효과를 가져 올 수도 있다. 가시적 접근성이 높은 공동체 공간은 주민들의 소통과 교류의 공간으로써 큰 효과를 보이는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급격한 사회변화를 거치면서 사라지거나 외면해 온 '소통과 생활공간으로서의 골목길'과 '마을'이 가지고 있었던 공간적 형태, 그 속에서 자신들의 삶을 공유하고 살았던 마을 사람들의 관계망을 제대로 이해하고, 이러한 공간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주거 공간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와 실험 등을 통한 공동체 회복 노력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현(2010), "도시빈민운동", 한국민주화운동사, 민주화운동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편, 돌배개.
  2. 노무라 모토유키(2013), 노무라 리포트: 청계천변 판자촌 사람들 1973-1976, 눈빛.
  3. 녹색사회연구소, 성북주거복지센터, 주거권운동네트워크, 한국도시 연구소, 구가도시건축연구소(2009), 장수마을(삼선4구역) 대안개발계획 2차년도 보고서.
  4. 박숙미(2002), "사라지는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 난곡", 복지동향, 40호.
  5. 서울시사편찬위원회(1996), 서울 600년사, 서울시.
  6. 서울역사박물관(2012), 104마을: 중계본동 산 104번지.
  7. 서울연구원(1996), 서울시 주택 개량 재개발 연혁 연구.
  8. 양윤재(1998), "서울시 저소득층 불량주거지의 공간구조와 형태적 특성 : 구로4동 및 금호3가동을 중심으로", 불량주택 재개발론, 나남.
  9. 정석(1999), 마을단위 도시계획 실현 기본방향(1): 주민참여형 마을만들기 사례 연구, 서울연구원.
  10. 조은, 조옥라(2013), 도시빈민의 삶과 공간: 사당동 재개발지역 현장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1. 한국도시연구소(1998), 철거민이 본 철거.
  12. 우리 동네 난곡, http://blog.ohmynews.com/nang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