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ig Data Analysis of the Citizen's Needs regarding the Life-friendly Businesses in New City

신도시 생활밀접업종에 관한 시민 니즈 빅데이터 분석 연구

  • Received : 2019.02.05
  • Accepted : 2019.02.14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e presence of shops necessary for everyday life is a factor that increases the satisfa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founders, establishing businesses with high needs of local residents is a factor that affects business success. In this paper, we try to find out the status of businesses closely related to everyday city life. And it analyzes whether the formation of these businesses is consistent with the initial consumer needs of the new c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rive meaningful results that both the business founder and consumer can win-win. The current status of the life-friendly businesses and the needs of citizens were analyzed in the S city. As a results of analysis, the needs for education appears strongly at the early stage of urban development. And it shows a characteristic of being weakened to some extent with the passage of time. On the other hand, the needs for food, which is the basic requirement of life, has a low starting and steadily increasing character.

일상생활에 필요한 상점의 존재는 주민의 주거환경 만족도를 높여주는 요인이 되며, 창업자의 입장에서 지역주민의 니즈가 높은 업종의 창업은 사업 성공을 좌우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일상생활과 밀접한 업종의 창업현황을 알아보고, 이러한 상점의 형성이 신도시 초기 소비자 니즈에 부합하는지 분석하여 창업자와 소비자가 모두 윈윈할 수 있는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S시를 대상으로 신도시 출범 직후부터 현재까지의 생활밀접업종 현황과 시민의 니즈를 분석한 결과, 생활밀접업종에 대한 주민의 니즈는 새로운 거주지로 이주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니즈가 도시 조성 초반에 강하게 나타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정착 과정에서 니즈의 해소 및 증대에 따라, 니즈의 크기가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S시의 경우, 교육에 대한 니즈가 도시 조성 초반 강하게 나타나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부분 약해지는 특성을 보인다. 반면 생활의 기본요건이라고 할 수 있는 음식에 대한 니즈는 낮게 시작해서 지속적으로 증대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Keywords

JBJTBH_2019_v12n1_43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생활밀접업종 사업체수 추이 Fig. 1. Number of Life-friendly businesses

JBJTBH_2019_v12n1_43_f0002.png 이미지

그림 2. S시 2012년 대비 2018년 생활밀접업종 증감율 Fig. 2. Rate of Increase and Decrease in LFB

JBJTBH_2019_v12n1_43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생활밀접업종에 대한 연도별 니즈 구성비 추이 Fig. 3. Annual Needs of LFB

JBJTBH_2019_v12n1_43_f0004.png 이미지

그림 4 생활밀접업종별 니즈 크기 변화 추이 Fig. 4. Changes in Needs of LFB

표 1. 국세청 100대 생활밀접업종 Table 1. 100 Major Life-friendly Businesses(LFB)

JBJTBH_2019_v12n1_43_t0001.png 이미지

표 2. 생활밀접업종에 대한 연도별 니즈 구성비 Table 2. Ratio of annual Needs of LFB

JBJTBH_2019_v12n1_43_t0002.png 이미지

References

  1. J. D. Suh, "Analyzing the Criterion of Site Allocation and It's Application to Enhance Self-sufficiency of New Town",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al thesis, pp.85-88, 2011.
  2. E. Howard, "To-morrow: A Peaceful Path to Real Reform", London : Swan Sonnenschein, 1898.
  3. https://news.joins.com/article/22538860
  4. http://kpenews.com/View.aspx?No=10658
  5. Korea Small Business Institute, "A Study on the Competitiveness of the Self-Business", KOSBI, 2016.
  6. Sejong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SEJONG STATISTICAL YEARBOOK", 2013-2018.
  7. http://stats.nts.go.kr/month/month.asp
  8. https://kssc.kostat.go.kr:8443
  9. http://www.sejong.go.kr/stat.do
  10. http://www.kostat.go.kr/office/giro/rogi_nw/2/6/index.board?bmode=read&aSeq=356045&pageNo=1&rowNum=10&amSeq=&sTarget=&sT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