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시각특수효과의 드라마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 -<태양의 후예>,<미스터션샤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Visual Special Effects to TV Dramas; Focus on ,

  • 정태섭 (청운대학교 융합기술경영학부)
  • Chung, Tae-Sub (School of Integrated Technology & Entrepreneurship, Chungwoon University)
  • 투고 : 2018.12.13
  • 심사 : 2019.03.08
  • 발행 : 2019.03.31

초록

본 논문은 TV 드라마에서 사용되는 시각특수효과 재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태양의 후예>와 <미스터션사인>을 통해 시각특수효과로 재현된 이미지를 대상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시대에 따른 TV 드라마 제작방식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이에 따른 시장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 드라마의 시각특수효과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시각특수효과의 완성도에 따른 표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의 분석을 위하여 재현의 이미지와 이를 통한 리얼리티에 따른 몰입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태양의 후예>의 경우에는 시대적 배경이 현실이면서도 연기자의 안전과 표현의 극대화를 위해서 시각특수효과가 사용되었으며, <미스터션샤인>의 경우에는 시대적 배경의 미장센의 극대화를 위하여 사용되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영상의 수출에 따른 PPL의 효과를 위하여 시각특수효과 사용되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리얼리티의 강조와 이미지 몽타주의 기법을 사용하여 하이퍼리얼리티를 추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제는 기술적 한계보다는 TV 드라마의 미장센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리얼리즘의 추구는 디지털을 이용한 시대적인 변화를 적극적으로 표현을 할 수 있다. 이는 배경과 일치하는 카메라의 각도와 조명, 원근법에 따른 적극적인 표현이다. 현실적인 표현을 위한 영상제작의 환경이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시각적 방향과 적용을 알아보았다. TV 영상에서 합성으로 자연스러운 시대적 변화를 만들 수 있는 재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후속연구로서 지금 영상의 표현을 바탕으로 새로운 4차 이미지의 변화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This study will explore the reenactment of visual special effects used in TV drama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images that are reproduced in visual special effects through and . Accordingly, we looked at the changes in the way TV dramas were produced according to the times, and looked at the changes in the market. Also, we looked at cases of visual special effects of Korean dramas, and looked at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letion of visual special effects. For the purpose of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argets, the images of reproducibility and the flow through reality were analyzed. In the case of , the period setting is realistic, but visual special effects were used to maximize the actor's safety and expression, and in the case of , the visual effects were used to maximize the aesthetic of the period backgroun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visual special effects were used for the effect of PPL on the export of images. This shows that the emphasis of reality and image montage techniques are being used to pursue hyperrealism. It is now possible to actively express and use the beauty of TV dramas rather than technical limitations. In addition, the pursuit of realism can actively express the changing times of digital age. This is an active representation of the camera's angle, lighting, and perspective that coincides with the background. The environment of video production is crucial for realistic expressions. The study examined various visual directions and applications. In TV images, we looked at reproduction, which can make a natural period of time by combining. As a follow-up study, we are going to study the changes in the new quadratic image based on the present image representation.

키워드

SHGSCZ_2019_v20n3_400_f0001.png 이미지

Fig. 1. VOD Sales Ratio [4]

SHGSCZ_2019_v20n3_400_f0002.png 이미지

Fig. 2. VOD User ratio[4]

SHGSCZ_2019_v20n3_400_f0003.png 이미지

Fig. 3. CG[5]

SHGSCZ_2019_v20n3_400_f0004.png 이미지

Fig. 4. Images with special effects before and after filming

SHGSCZ_2019_v20n3_400_f0005.png 이미지

Fig. 5. Image created by dropping similar objects

SHGSCZ_2019_v20n3_400_f0006.png 이미지

Fig. 6. Synthetic PPL used in Chinese television

Table 2. film version & TV version

SHGSCZ_2019_v20n3_400_t0001.png 이미지

참고문헌

  1.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7112333981
  2. Kwon, Hoyou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drama, pp.15-17 Communication Books, 2015
  3. Ryu, Heongsik, Lee, Ikheui,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Risk Management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Video Content, such as Dramas and Movies, p17,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uman Culture Arirang, 2013
  4. Lee, Hyojin, Content industry (drama/movie) preference, NH Research Center, www.nhqv.com, 2017.8.31. DOI: https://download.nhqv.com/CommFile/1000000011/35/1/IBSPPR20170830180040371.pdf
  5. http://m.todayhumor.co.kr/view.php?table=bestofbest&no=18525
  6. Design Cultural Laboratory, Design Culture Review 04, Chin, Jungkwon, Art in the Age of Digital Cloning, Ahn graphics, 2001, p.193-194
  7. Chung, Taesub, A Case Study on the Image Decomposition and Reorganization of Visual Special Effects, Design Knowledge Journal, 2009, pp93-102
  8. Shim, Hearyun, Aesthetics in the Age of cyberspace, Sallimbooks, 2006, p.130
  9. https://namu.wiki/w/%ED%83%9C%EC%96%91%EC%9D%98%20%ED%9B%84%EC%98%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