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 Model for Calculating the Construction Duration of Urban Residential Housing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다중 회귀분석 기반 도시형 생활주택의 공사기간 산정 모델 개발

  • 김준상 (인하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김영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Received : 2021.09.24
  • Accepted : 2021.10.04
  • Published : 2021.12.30

Abstract

As the number of small households (1 to 2 persons per household) in Korea gradually increases, so does the importance of housing supply policies for small households. In response to the increase in small households, the government has been continuously supplying urban housing for these households. Since housing for small households is a sales and rental business similar to apartments and general business facilities, it is important for the building owner to calculate the project's estimated construction duration during the planning stage. Review of literature found a model for estimating the duration of construction of large-scale buildings but not for small-scale buildings such as urban housing for small household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erify a model for estimating construction duration for urban housing at the planning stage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ependent variables inputted into the estimation model were building site area, building gross floor area, number of below ground floors, number of above ground floors, number of buildings, and location. The modifie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a2) of the model was 0.547. The developed model resulted in a Root Mean Square Error (RMSE) of 171.26 days and a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APE) of 26.53%. The developed estimation model is expected to provide reliable construction duration calculations for small-scale urban residential buildings during the planning stage of a project.

국내 소규모 가구가 점차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소규모 가구를 위한 주거공급 정책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 따라 정부에서는 소규모 가구를 위한 도시형 생활주택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오고 있다. 도시형 생활주택은 공동주택, 일반 업무시설과 동일하게 분양 및 임대 사업이므로 발주자는 프로젝트 기획단계에서 적정공사기간을 산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는 대규모 건축물의 공사기간을 산정할 수 있는 모델이 존재하나 도시형 생활주택과 같은 소규모 건축물에 대한 적정 공사기간 산정 모델은 부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획단계에서 발주자가 적정 공사기간을 산정할 수 있는 다중 회귀분석 기반 도시형 생활주택의 공사기간 산정 모델을 개발 및 검증하는 것이다. 개발된 모델에 입력되는 독립변수는 연면적, 수도권, 지하층수, 지상층수, 주 건축물 수, 강원권의 총 6개이며, 개발된 모델의 수정된 결정계수(Ra2)는 0.547로 분석되었다. 개발된 모델의 성능은 RMSE의 경우 171.26일, MAPE의 경우 26.53%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델은 발주자에게 신뢰성 있는 공사기간 산정 결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유준(2018), "건설프로젝트 기획단계에서의 복합건축물 공사기간 예측모델 개발",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2. 문수백(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3. 박소현(2011), "공동주택의 기획단계 건축공사비 적절성 판단모델",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4. 서해미(2015), "일반 업무시설을 대상으로 한 건설사업 초기단계에서의 개략공기 예측모델 개발",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5. 통계청(2018), "인구주택총조사에 나타난 1인 가구의 현황 및 특성", 대전.
  6. 신은영 외(2017), 「공공 건설공사 표준 공사기간 산정기준 연구」(2017년도 주요사업 연차보고서(정책지원사업)), 경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7. Lee, Alan. Ross, Ihaka and Chris, Triggs (2012), "Advanced Statistical Modelling", University of Auckland Paper STATS 330.
  8. Chan, A. P. C. and D. W. M. Chan (2014), "A Benchmark Model for Construction Duration in Public Housing Develop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truction Management, 3(1): 1-14. https://doi.org/10.1080/15623599.2003.10773032
  9. Durbin, J. (1950), "Testing for Serial Correlation in Least Squares Regreesion: I", Biometrika, 37(3): 409-428. https://doi.org/10.2307/2332391
  10. Dursun, O. and C. Stoy (2012), "Determinants of Construction Duration for Building Projects in Germany",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Architectural Management, 19(4): 444-468. https://doi.org/10.1108/09699981211237139
  11. Love, P. E. D., R. Y. C. Tse and D. J. Edwards (2005), "Time-Cost Relationships in Australian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31(2): 187-194.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5)131:2(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