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장수명주택 인증을 고려한 OSC공법 주택의 가변형 평면계획 연구

Flexible Unit Floor Plan of Off-Site Construction Housing Considering Long-Lasting Housing Certification System

  • 이지은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공공주택연구실) ;
  • 노정열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
  • 권수혜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
  • 김승모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 투고 : 2021.11.28
  • 심사 : 2021.12.05
  • 발행 : 2021.12.30

초록

인구 및 기술의 변화속도가 빠른 현재 상황에서 장수명주택인증은 건물의 물리적 및 기능적 수명 연장 견인책이다. 장수명주택 인증요건인 가변성과 수리용이성은 인필요소를 구조와 구분하여 교체 및 변경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방식은 공업화주택의 특징과도 부합하여 설계 및 시공방법의 변화로 두 가지 주택 유형은 함께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OSC공법을 활용한 공동주택 모델이 장수명주택 인증기준을 충족하도록 계획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평면가변성 및 설비배관의 설치방법, 화장실 공사 방법 등을 습식 공법과는 다른 방식을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가변형 평면은 22m2와 46m2의 두 가지 타입 평면을 확장하여 69m2평면을 만드는 세대통합방법 그리고 가변 가능한 건식패널 벽체를 활용하여 69m2평면을 여러 가지로 계획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이러한 가변성은 9m×10.5m 스팬의 강콘크리트 합성구조 및 일체형 슬래브로 SI시스템 중 서포트 부분을 구성하고 비내력 외벽 및 내벽, 배관 등을 인필부분으로 구분하여 건축구성재를 부품화하는 방식으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와 인필 분리 만으로도 시공법과 관련된 기준을 상당부분 충족할 수 있다. 현재 인필요소를 교체 용이하게 하는 기술은 탄소저감 등에서 국가에 편익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활성화를 위해 세제혜택 등의 인센티브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With the current rapid changes in population and technology, the long-lastig housing certification system is a means of prolonging the physical and functional lifespan of a building. The certification requires differentiation between the structure and infill elements to allow for variability and ease of repairs. This works well with prefabricated houses 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long-lastig housing certification requirements to apartment construction using off-site construction (OSC) methods focused on the installation of bathrooms (plumbing and toilet) that differ from the traditional wet method. This study examined three different sized floor plans at 22 m2, 46 m2, and a combined one resulting in 69 m2. The larger 69 m2 plan utilized a removeable non-load bearing wall to increase flexibility in the layout of the floorplan. The apartments are constructed of steel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on a 9 m × 10.5 m grid with integrated slabs. The exterior and interior infill walls are all non-load bearing with some containing plumbing. This separation of the structure and infill walls can help meet some of the criteria in the long-lastig housing certification, particularly with the ease of repairs. Technologies that facilitate the replacement of infill elements that contain plumbing and other building services can benefit the nation by reducing carbon emissions and therefore tax incentives should be introduced to increase the adoption of the proposed construction method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교통부(2018.8.28), "장수명 주택 건설.인증기준".
  2. 국토교통부(2020), "2020년 주거종합계획".
  3. 김수암.김상호.장재호.황은경(1995), 「공동주택의 주거생활 향상을 위한 설계 및 공급체계 개선방안 연구(II)-거주자 요구에 대응한 평면개발 및 설계수법 연구」, 경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4. 김수암(2021.7.2), "장수명주택 최조의 민간 양호등급 단지 입구에 대한 바람", 아파트 관리신문.
  5. 김요셉(2020), "장수명주택 인증제도에 대한 실효성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6. 모정현.이연숙(2003), "오픈하우징의 설계방식에 관한 유형체계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3(4): 15-22.
  7. 양현정.김수암(2017), "장수명 주택의 화장실 층상 배관 시스템 기술 분석 및 가변 용이성 모색 연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8(4): 1-9. https://doi.org/10.6107/JKHA.2017.28.4.001
  8. 이기석(2016),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SANAA 작품의 비위계적 공간구성 특성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집」, 17(8): 735-744.
  9. 이정원(2003), "오픈하우징 시스템을 기초로 한 도시주거모델 제안",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0. 이혜원(2003), "평면 패브릭을 이용한 가변형 평면계획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1. 장철훈(1996), "소형 아파트 가변형 평면구성을 위한 건축계획적 요소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12. 조지형(2020), "국내 공동주택의 오픈하우징 시스템(SI system)적용범위 및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13. 최해권(2012), "공동주택 세면욕실의 당해층 이중배관 시스템",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701-705.
  14. 통계청(2019), "장래가구특별추계(시도편): 2017-2047년".
  15. 하민호.김진모(2020), "행복주택 평면의 변형에 관한 연구-N.J. Habraken의 주거대 시스템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20(5): 81-86.
  16. KOSIS국가통계포털, "세대구성 및 가구원수별 가구(일반가구)", 2021.11.01 읽음. http://kosis.kr/search/search.do
  17. NI스틸, "AU Beam", 2021.03.01 읽음. http://ni.hcrs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