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ife-Cycle Home Ownership and Residential Patterns: An Empirical Analysis of Home Ownership Across Generations

생애주기별 주택소유와 주거유형: 연령대별 손바뀜 현상에 대한 실증분석

  • 심승규 (Aoyama Gakuin University 국제정치경제학부) ;
  • 지인엽 (동국대학교 경제학과)
  • Received : 2021.10.09
  • Accepted : 2021.12.09
  • Published : 2021.12.30

Abstract

In the present article we examine life-cycle housing demand for Korea. Distinguished in this work from prior research is the consideration of non-monocinity in the life-cycle housing demand. To this end, we adopt spline logistic regression models. Our findings suggest that life-cyclicity is most clear in Korean housing demand; namely, 1) small (mid-large) house ownership falls (grows) dramatically as households age into middle aged; 2) middle aged households do not participate in the rental or purchase market actively; 3) elderly population does not dispose of their housing to the same extent as younger generations acquire housing.

본 연구는 연령에 따른 주택수요의 비단조성에 착안하여 주택 소유 및 거주 형태를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스플라인 로짓 모형을 채택하였고 생애주기에 따라 주택소유수요가 비단조적임을 밝혀내었다. 우리나라 가구의 무주택 확률은 생애주기에 따라 가변적이다. 청년층일 때 소형 무주택으로 시작하여 중장년 때 중대형 주택을 소유하게 되고 노년층에는 주택을 처분하고 소형주택을 선호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철.김근용.천현숙.강미나.이윤상(2016), 「생애주기별 주거소비 특성을 반영한 주택정책 방안 연구」, 세종: 국토연구원.
  2. 김정섭(2015), "주택필터링 실증분석: 주택정책에의 함의", 1-17차년도 노동패널 학술대회 발표자료.
  3. 김주원.정의철(2011), "소형가구 연령대별 주택수요특성 분석", 「주택연구」, 19(2): 123-150.
  4. 박수진.유승동.김경환.조만(2020), "주택 수요 탄력성에 대한 실증분석: 시기별 지역별 변화를 중심으로", 「응용경제」, 22(3): 51-84.
  5. 박천규.이수욱.손경환(2009), "가구생애주기를 감안한 주택수요특성 분석 연구", 「국토연구」, 171-187.
  6. 방송희(2020), 「미래 주거트랜드, 생애주기별 주택 수요분석을 통한 신상품 개발 및 제도개선」, 부산: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금융연구원.
  7. 이창무.박지영(2009), "가구 특성을 고려한 장기 주택 수요 예측 모형: 보완된 Mankiw & Weil 모형을 적용하여", 「국토계획」, 44(5): 149-161.
  8. 전이봄.안영수.윤진성.이승일(2019), "서울시 가구 특성별 주거입지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가구주연령과 자녀유무를 기준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1(2): 167-190.
  9. 정의철.조성진(2005),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장기주택수요 전망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0(3): 37-46.
  10. 홍기석(2015), "인구고령화와 주택 시장: 연령별 주택소비 수요의 분석", 「한국인구학」, 38(1): 33-67.
  11. 홍성효.유수영(2012), "세대별 시군구 간 인구이동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서울도시연구」, 13(1): 1-19.
  12. Greene, W. H. (2000), Econometric Analysis 4th Edition, International Edition, New Jersey: Prentice 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