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congruence Between Housing Affordability and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of Young Renters Living Independently in Non-Seoul Metropolitan Area

비수도권 지역에 독립 거주 중인 미혼 청년 가구의 월세 부담 및 거주성 비교 분석

  • 이현정 (경희대학교 주거환경학과 고령서비스-테크 융합전공) ;
  • 남상준 (경희대학교 주거환경학과 주택및도시연구실(HUAL))
  • Received : 2023.07.14
  • Accepted : 2023.12.06
  • Published : 2024.03.31

Abstract

This research explores the household and housing characteristics of young renters aged between 19 and 34 living independently in rental housing of non-Seoul Metropolitan Area (non-SMA)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of their housing affordability and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ies in two districts of non-SMA - metropolises and non-metropolises. Using the 2020 Korean Housing Survey (KHS), this study identified 1,191 unmarried young renters, and most were single adults in mid-twenties who were salaried workers with a bachelor's degree or higher. Also, many lived in single-room occupancy of non-APT housing for less than 2 years and rarely relied on social service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distinction of local housing market between metropolises and non-metropolises forced the former to spend more housing expense (tenancy deposit and rental fees) than the latter. With regard to housing affordability indices (Schwabe index, housing expense ratio and rent to income ratio), most were housing cost-burdened and nearly one quarter were severely rent-burdened. Th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housing affordability in both districts was positively affected by income increase and social services, and housing satisfaction in non-metropolises was added to its determinants. Further,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ies were largely divided into two groups of livelihood and urban infrastructure, and the two factors influenced residential assessment in both districts. Since young renters interdependently living had suffered with housing affordability, both income growth and housing assistance are critically required to enable them not just to reduce the burden but to ensure livability.

본 연구는 독립된 주거생활을 영위하는 비수도권 지역의 청년(19-34세) 월세 가구를 대상으로 거주지 2곳으로 나뉘어 거주실태와 주거소비수준을 비교하였다. 조사대상 주거 독립 청년은 대체로 20대 중반의 대졸 이상 고학력 임금근로자로 1인 가구였고, 특・광역시에 거주하는 청년 가구 중 고학력자가 많은 반면 비특・광역시에서 임금근로 자가 많았다. 청년 가구는 원룸형의 아파트가 아닌 주택에 2년 미만 거주해 오는 무부채 가구로 주거복지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았다. 극소수만 이용 중인 주거복지서비스는 주로 공공임대주택과 주거복지 상담 및 정보 이용 서비스에 편향되었다. 또한 지역 주택시장의 차이로 비특・광역시보다 특・광역시 가구가 2배 더 많은 보증금과 약간 더 높은 임대료를 부담하였다. 주거비 지표 중 슈바베지수와 소득대비주거비에서 두 지역 모두 기준선(25%) 이상의 과부담 가구가 다수였고, RIR 30% 이상인 주거빈곤층도 상당수였다. 주거비 지표의 영향 변인으로 소득 증가와 주거 복지서비스 이용이 슈바베지수와 소득대비주거비를 감소시켰고, 추가로 비특・광역시에서 주택만족도를 증가시켰다. 한편 거주환경의 세부 요소들은 생활환경과 편의시설 요인으로 대별되었고, 생활환경 요인 중 치안 및 방범 상태, 주변 도로의 보행 안전, 대기오염 정도, 이웃과의 관계 4가지 요소만 지역 간 차이를 보여 특・광역시보다 비특・광역시에서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아울러 거주환경 지표로 주택 및 전체 주거환경 만족도는 생활환경과 편의시설에 만족할수록 상승하였으며, 공통 설명 변인으로 주택 만족도에서 주택규모와 노후주택 거주, 전체 주거환경에서 주택만족도가 추가되었다. 이처럼 주거 독립한 비수도권 청년에게 주거사다리의 첫 진입 단계인 월세 거주는 주거비 부담을 현저히 키우므로 이를 경감시키는 지원과 함께 생활환경과 편의시설을 개선하는 거주성 확보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과제번호: 2023R1A2C1006288).

References

  1. 박영주.오가실.이숙자.오경옥.김정아.김희순.최상순.이성은.정추자.전화연(2002), "한국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생활사건 및 건강행위", 「대한간호학회지」, 32(6): 792~802.
  2. 유영주(1984), 「가족관계학」, 서울: 교문사.
  3. 이현정.김모윤(2019), "청년층 1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지위 및 주거수준 변화에 관한 종단적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0(4): 55~64. https://doi.org/10.6107/JKHA.2019.30.4.055
  4. 이현정.박상우(2022), "지역별 청년층 월세 가구의 거주환경 및 주거비 부담 결정요인 분석", 「주택도시연구」, 12(2): 21~49. https://doi.org/10.26700/shuri.2022.8.12.2.21
  5. 이현정.왕예원(2022), "중국 도시 비노년층 1인 가구의 주거궤적 및 거주환경 평가 분석", 「도시행정학보」, 35(1): 63~84. https://doi.org/10.36700/KRUMA.2022.3.35.1.63
  6. 이현정.임태균(2022a), "비수도권 및 수도권 지역 가구의 주거수준과 주거비 변화",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3(4): 85~100.
  7. 이현정.임태균(2022b), "청년층 가구의 주거실태 변화에 관한 종단 분석", 「LHI Journal」, 13(2): 31~47.
  8. 이현정.최경민(2019), "비수도권 소멸위험지역의 권역별 주거수준 비교",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0(3): 87~99. https://doi.org/10.6107/JKHA.2019.30.3.087
  9. 이현정.최재요(2022), "월세 거주 청년층 1인 가구의 거주지역별 주거실태 및 주거비 차이 비교", 「GRI연구논총」, 24(2): 31~64.
  10. 이현정(2020), "세대 간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거주 특성 차이 분석", 「LHI Journal」, 11(4): 1~13.
  11. 이현정(2021a), "인구과소화 지역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거주실태 변화",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2(2): 23~35.
  12. 이현정(2021b), "축소도시의 가구 및 거주특성 변화와 지역 간 비교",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2(1): 59~70.
  13. 增田寬也 (2014), 「地方消滅: 東京一極集中が招く人口急減」, 東京: 中央公論新社.
  14. Beer, A., D. Faulkner, C. Paris and T. Clower (2011), Housing Transitions through the Life Course, Bristol: Policy Press.
  15. Clapham, D. (2002), "Pathways Approaches to Homelessness Research", Journal of Community &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119~127. https://doi.org/10.1002/casp.717
  16. Clark, W. A. V., M. C. Deurloo and F. M. Dieleman (2003), "Housing Careers in the United States, 1968-93", Urban Studies, 40(1): 143~160. https://doi.org/10.1080/00420980220080211
  17. Dulberger, D. and H. Omer (2021), Non-Emerging Adulthoo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Forrest, R. and N. M. Yip (2013), Young People and Housing, New York: Routledge.
  19. Kendig, H., C. Paris and N. Anderton (1987), A Report Prepared for the National Committee of Non-Government Organisations: Towards Fair Shares in Australian Housing, Canberra: Highland Press.
  20. Kendig, H. L. (1984), "Housing Careers, Life Cycle and Residential Mobility: Implications for the Housing Market", Urban Studies, 21: 271~283. https://doi.org/10.1080/00420988420080541
  21. Lee, H. (2014), "Globalization and Its Impacts on Housing Pathways of Korean Households", In the Proceeding of the 2014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AAG) Annual Meeting, Tampa, FL.
  22. Morrow-Jones, H. A. and M. V. Wenning (2005), "The Housing Ladder, the Housing Life-Cycle and the Housing Life-course", Urban Studies, 42(10): 1739~1754. https://doi.org/10.1080/00420980500231647
  23. Rugg, J. (2002), Young People, Housing and Social Policy, London: Routledge.
  24. Stein, M. (2012), Young People Leaving Care, London: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5. 법제처(2023), "국가법령정보센터", 2023.7.10 읽음. https://www.law.go.kr.
  26. Statistics Korea (2023a), "Statistical Database", Accessed July 10, 2023. http://kosis.kr.
  27. Statistics Korea (2023b), "Statistic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GIS)", Accessed July 10, 2023. https://sgis.kostat.go.kr. (in Korean)
  28. 한국은행(2023), "경제통계시스템", 2023.7.10 읽음. https://ecos.bok.or.kr/
  29. KB부동산(2023), "월간KB주택가격동향", 2023.7.10 읽음. https://kbland.kr/map?xy=37.5205559,126.926572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