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공임대주택의 유형별 주거환경 비교 분석: 최저주거기준 미달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by Public Rental Housing Type: Focusing on Failing to Meet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 이다은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
  • 오지영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 투고 : 2023.12.12
  • 심사 : 2024.03.06
  • 발행 : 2024.03.31

초록

본 연구는 유형별 공공임대주택의 주거환경을 최저주거기준과 세부 기준을 중심으로 ANOVA, 다항로지스틱모형을 활용하여 미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주요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입주자뿐만 아니라 최저주거기준과 세부 기준은 공공임대주택 유형별로 특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행복주택은 최저주거기준 미달비율과 설비기준을 제외한 나머지 세부 기준의 미달비율이 높아, 전반적인 주거환경이 가장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영구임대, 국민임대, 매입/전세임대 중 영구임대의 최저주거기준과 면적·방기준이 취약하였으며, 매입/전세임대는 구조·성능·환경기준의 미달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네 번째, 매입/전세임대가 다른 공공임대 유형보다 임대 불안감이 높았고, 특히 임대료상승과 보증금 미반환에 대한 불안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임대주택 유형에 따른 맞춤형 지원을 통해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public rental housing by type at a microscale, using ANOVA and multinominal logistic models, based on the minimum and specific housing standard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each type of public rental housing, as well as resident characteristics, varied in meeting the minimum and specific housing standards. Second, Happy House turned out to have the worst residential environments, as a high proportion of this type did not meet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and the remaining specific standards, excluding facility standards. Third, among permanent rental, national rental, and purchase/jeonse rental housing types, permanent rental housing was poor by the minimum housing standards, and area and room standards, while purchase and jeonse rental housing types showed a high proportion of failure to meet structural, performance, and environmental standard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purchase/jeonse rentals had higher rental anxiety than other types of public rental housing. In particular, anxiety about rent increases and the loss of deposits was high.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ublic efforts are called for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tailored support, depending on the type of public rental hous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권대철.고진수(2010), "입주자 주거만족도 분석을 통한 건설공공임대주택과 매입공공임대주택정책 비교 연구", 「국토계획」, 45(4): 43~55. 
  2. 김건우(1998), 「제2판 SPSSWIN 예제 통계학」, 경기: 신영사. 
  3. 김기중(2023), "주변 임대시세를 고려한 공공임대주택 거주자 임대료 편익 분석: 개별가구를 중심으로", 「부동산분석」, 9(1): 85~100. 
  4. 김미정(2022), "다변량 및 다변량 함수 데이터에 대한 분산분석의 활용", 「응용통계연구」, 35(5): 579~591. 
  5. 김민정.김회경(2020), "주행거리 기반 세제 도입에 따른 운전자 행태 모형 개발: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38(6): 507~519.  https://doi.org/10.7470/jkst.2020.38.6.507
  6. 김승연.김세림.이진석(2013), "주거환경이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34: 109~133. 
  7. 김승희(2007), "지방도시 공공임대주택 입주자의 주거만족도 분석: 강원도 공공임대주택 입주자를 중심으로", 「주거환경」, 5(2): 175~190. 
  8. 김용순.이미홍.백혜선.김옥연.조민수(2014), 「행복주택의 지속가능한 공급방안 연구」, 대전: 토지주택연구원. 
  9. 김재민(2019.10.3), "LH 영구임대주택 92% 20년 이상 돼... 68.6%는 25년 이상 노후 주택", 경기일보. 
  10. 김주현.안용진(2018), "공공임대주택 유형별 주거환경만족 결정요인 차이 연구: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패널조사 1차년도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주택도시연구」, 8(1): 1~17.  https://doi.org/10.26700/shuri.2018.04.8.1.1
  11. 김혜승.김태환(2008), "최저주거기준의 의의와 기준 미달 가구 규모 추정", 「국토」, 320: 96~107. 
  12. 노성화.진은애(2018), "공공임대주택 수요특성 및 거주만족도 분석: 전남.광주 행복주택.국민임대주택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9(6): 121~132.  https://doi.org/10.6107/JKHA.2018.29.6.121
  13. 박은철.김수경.진화연.김윤중.서종균.김지은(2019), 「공공임대주택의 유형통합 위한 배분체계와 임대료 체계 개선방안」, 서울: 서울연구원. 
  14. 박정민.오욱찬.이건민(2015), "최저주거기준과 주거비 과부담을 기준으로 한 빈곤가구의 주거취약 유형화와 관련요인", 「사회복지연구」, 46(2): 101~123.  https://doi.org/10.16999/KASWS.2015.46.2.101
  15. 박초롱(2023.10.9), "LH도 전세금 미반환 사고 당했다... 올해만 345억원 규모", 연합뉴스. 
  16. 서원석(2019), "대도시권 주거이동 가구의 이동유형별 주거특성 및 주거만족도 비교분석", 「GRI 경기논총」, 21(1): 49~69. 
  17. 서원석.김찬혁(2022), "공공임대주택 거주유형에 따른 생활 및 사회환경 특성 비교", 「부동산분석」, 8(3): 103~119.  https://doi.org/10.30902/jrea.2022.8.3.103
  18. 성진욱.남진(2019),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주택성능과 주거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국토계획」, 54(3): 49~62.  https://doi.org/10.17208/jkpa.2019.06.54.3.49
  19. 성진욱.정윤혜.김기중(2021), 「공공임대주택, 누가 어떻게 살고 있나(I): 연도별 및 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 SH도시연구원. 
  20. 송용진(2000), "통계사용 연구논문 이해방법: T-test, ANOVA, X2를 중심으로", 「교육연구」, 8: 77~100. 
  21. 송지준(2020), 「송지준 교수의 논문통계의 이해와 적용: SPSS와 AMOS를 활용」, 경기: 21세기사. 
  22. 엄동욱(2008), "중고령자의 취업결정요인: 국민노후 보장패널 1 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 8(3): 17~38.  https://doi.org/10.22914/JLP.2008.8.3.002
  23. 오정석.이성원(2018), "공공임대주택의 혼합주거형태가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임대주택 패널 1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주거환경」, 16(4): 243~256. 
  24. 윤호(2010), "인천시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환경과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다가구매입임대주택과 영구임대주택을 중심으로", 「부동산학보」, 41: 184~200. 
  25. 이길제.김근용.박천규.김지혜.진미윤(2019), 「지역 및 계층별 수요를 고려한 공공주택 공급.관리정책 추진방향」, 세종: 국토연구원. 
  26. 이길제.김지혜.이재춘.조윤지(2022), 「미래 트렌드와 주거의식 변화에 대응하는 주거복지 정책방향」, 세종: 국토연구원. 
  27. 이다은.서원석(2019), "콕스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한 최저주거기준미달 지속기간 영향요인 분석", 「국토연구」, 100: 45~60.  https://doi.org/10.15793/KSPR.2019.100..006
  28. 이다은(2023),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입주자의 향후 주거선택에 관한 연구", 「부동산분석」, 9(1): 65~83. 
  29. 이시우(2023.8.1), "계속 살아도 될까요? 철근 빠진 아파트 기둥에 청년 미래도 흔들", 뉴스1. 
  30. 이영민.성진욱(2017),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특성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총괄보고서」, 서울: SH도시연구원. 
  31. 이일우(2004), "현장에서 본 다가구매입임대주택 정책", 「도시와 빈곤」, 67: 30~37. 
  32. 이향미.최봉문.김종하(2023), "인구감소지역의 인구유입을 위한 정책 수요에 관한 연구", 「토지주택연구」, 14(2): 73~82. 
  33. 이희연.노승철(2017), 「고급통계분석론: 이론과 실습」, 경기: 법문사. 
  34. 임대주택사업협회(2013), 「한국의 임대주택제도」, 서울: 부연사. 
  35. 임세희.박경하(2017), "유형별 주거빈곤가구의 차이", 「사회복지정책」, 24(2): 31~62.  https://doi.org/10.17000/kspr.24.4.201712.31
  36. 임세희(2010), "주거빈곤이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62(4): 377~402.  https://doi.org/10.20970/KASW.2010.62.4.016
  37. 전훈식(2021.2.24), "부동산 안정화 선봉 자처하는 LH 실체 ① 행복주택 편", 프라임경제. 
  38. 정수영.전희정(2019), "매입임대주택 입주민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 매입임대주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28(1): 61~90.  https://doi.org/10.22897/KIPAJN.2019.28.1.003
  39. 조헌기.변병설(2017), "ANOVA에 의한 다가구주택 매수자의 의사결정 요인 분석: 부천시를 중심으로", 「국토지리학회지」, 15(1): 69~80. 
  40. 천성희.조명래(2020), "공공임대주택의 주거만족도 연구: 서울시 영구임대주택 및 매입임대주택을 중심으로", 「주택도시연구」, 10(1): 1~22.  https://doi.org/10.26700/shuri.2020.4.10.1.1
  41. 천현숙(2016), "공공임대주택 정책의 성과와 향후 과제", 「국토」, 422: 6~13. 
  42. 하성규(2018), 「주택정책론」, 서울: 박영사. 
  43. Coolen, H. (2015), "Affordance Based Housing Preferences", Open House International, 40(1): 74~80.  https://doi.org/10.1108/OHI-01-2015-B0011
  44. LH 청약플러스, "임대가이드", 2023.12.12 읽음. https://apply.lh.or.kr/lhapply/cm/cntnts/cntntsView.do?mi=1201583&cntntsId=1201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