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공임대주택 유형별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Residential Satisfaction by Types of Public Rental Housing

  • 이미정 (가천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학과) ;
  • 김찬호 (중앙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 이창수 (가천대학교 도시계획.조경학부)
  • 투고 : 2024.01.26
  • 심사 : 2024.03.08
  • 발행 : 2024.03.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공공임대주택 본격 공급 시기에 맞추어 유형통합 대상인 영구임대, 국민임대, 행복주택 유형별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와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공공임대주택 단지계획 시 입주자의 주거만족도 제고를 위해 우선 고려해야 하는 요소를 도출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범위는 공공임대주택 유형별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고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비교하는 것이다. 분석대상 자료는 2021년도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 마이크로 데이터이며 분석방법으로는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와 국민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수준에 차이가 있었으며 국민임대 거주자의 주거만족도가 더 높았다. 임대유형별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으로 전반적 주택상태만족도의 경우 영구임대와 국민임대 거주자는 주택상태, 주택소음, 시설접근성 요인, 행복주택 거주자의 경우 주택소음과 주거환경요인으로 나타나 상이하였다. 전반적 주거환경만족도의 영향요인은 영구임대 거주자의 경우 주택상태, 시설접근성 및 주거환경 요인이었으며 국민임대 거주자는 주택소음, 시설접근성, 주거환경 요인, 행복주택 거주자는 주택상태, 주택소음, 시설접근성 요인으로 나타나 상이하였다. 세 가지 유형 모두 공통적으로 주택소음 요인을 주택상태만족도의 영향요인으로, 시설접근성 요인을 주거환경만족도의 영향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어 단지계획 시 우선 반영해야 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후속 연구를 통해 영향요인의 변화 추세에 대한 시계열 분석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e housing satisfaction among residents of different types of public rental housing-permanent, national, and happy housing-following the integration of housing types upon the full-scale supply of integrated public rental housing. By identifying key factors that influence residential satisfaction, our goal is to inform the planning of public rental housing complexes and derive policy implications. The study focuses on analysing discrepancies in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residents of different types of public rental housing and compar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is satisfaction. Microdata from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Housing Situation Survey' in 2021 is utilized for analysis, employing one-way ANOVA and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methods. Empirical analysis reveals variations in residential satisfaction levels between residents of permanent and national rental housing, with national rental housing residents exhibiting higher satisfacti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overall condition satisfaction are consistent for permanent and national rental residents but differ for happy housing residents. Additionally, the influencing factors of overall resident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vary across all three housing types. Nonetheless, common factors across all types include housing noise and facility accessibility, highlighting their significance in complex planning. Subsequent studies may involve time series analysis to assess changes in influencing factors over time.

키워드

참고문헌

  1. 구한민.김갑성(2021),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형성과정: 특성요인에 대한 만족도의 매개효과", 「주택연구」, 29(1): 33~78.
  2. 국토교통부(2017),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구축을 위한 「주거복지로드맵」 발표", 세종.
  3. 국토교통부(2020), "내 삶을 바꾸고,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주거복지 2.0시대", 세종.
  4. 국토교통부(2022), "2021년도 주거실태조사 요약보고서", 세종.
  5. 국토교통부(2024.1.25), "공공주택특별법".
  6. 김규리(2022),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임대유형별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
  7. 김선영(2020),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커뮤니티 환경과 주거 만족 실증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9(6): 33~78.
  8. 김성용.이수진(2018), "공공임대주택 입주자의 주거만족도 연구에 관한 정책적 함의: 서울시 국민임대주택과 50년 공공임대주택을 중심으로", 「주거환경」, 16(1): 227~243.
  9. 김옥연.신형섭.최보미(2023), "수요자 관점에서 통합개선한 통합공공임대주택의 모든 것", 「LHRI Focus」, 11: 3~7. https://doi.org/10.1016/j.focat.2023.10.036
  10. 김주영(2020), "가구의 공공임대주택 선호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지역개발연구」, 52(1): 121~134.
  11. 김주현.안용진(2018), "공공임대주택 유형별 주거환경만족 결정요인 차이 연구: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패널조사 1차년도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주택도시연구」, 8(1): 1~17. https://doi.org/10.26700/shuri.2018.04.8.1.1
  12. 문현승.이석원.이용훈(2018), "주거만족을 통한 도시 활성화에 관한 연구-전주시를 중심으로", 「부동산정책연구」, 19(1): 61~78.
  13. 민병규(2021), "공공임대주택의 주거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4. 박선호(2021),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의 주거 만족도 영향요인 및 차이 분석", 박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15. 신홍기(2020), "공공임대주택 입주자의 주거만족도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경남지역 LH 공공임대주택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16. 안치환(2014), "임대유형별 공공임대주택 주거만족도 연구: 수도권 신도시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17. 오정석.천현숙(2020), "혼합주택단지가 입주민의 주거만족도와 사회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패널 2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주거환경」, 18(2): 1~13.
  18. 이선화(2021), "공공임대주택의 생애주기별 주거안정 효과에 관한 연구: 2019년 주거실태조사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19. 이준선(2011), "친환경 인증 계획요소가 공동주택 거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박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20. 장세옥(2006), "국민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
  21. 장한수.박태원(2017), "사회적 혼합 유형별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비교 분석: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도시정책연구」, 8(2): 5~20.
  22. 정현.문상호(2020), "주거환경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기전세주택(SHift)과 민간전세주택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107: 129~149. https://doi.org/10.15793/KSPR.2020.107..008
  23. 천성희(2020), "공공임대주택의 주거만족도 비교분석: 서울시 영구임대주택 및 기존주택 다가구 매입임대주택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4. 황윤희.정재호(2023), "주거환경특성이 주거만족도, 주거보유의식과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코로나 19 시기의 MZ세대를 중심으로", 「토지주택연구」, 14(1): 47~66.
  25. Fried, M. and P. Gleicher (1961), "Some Source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in an Urban Slum",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27(4): 305~315. https://doi.org/10.1080/01944366108978363